View : 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윤진-
dc.creator박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10-
dc.description.abstract2002년 현재 많은 논란 속에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 3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인 수준별 교육과정에 따라 사회과에서도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당위성이 충분히 인정되고 있으면서도 일선 학교 현장에서 실제 수준별 수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수준별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가 주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차원에서 이루어졌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이나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고안하고,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X.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 현장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앞으로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운영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II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개요를 밝히고, 사회과에 적용되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다가오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수준별 교육이 갖는 중요성에 대해 밝히고,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개별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대해 살펴본 다음,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과에 적용되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III장 수준별 교수-학습의 적용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회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직접 교수-학습 방법과 함께 소집단 단위의 협동 학습 방법을 수준별로 적절하게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절차를 보면 우선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일제 수업을 통해 기본 과정에서 공통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형성 평가를 실시한 후 학습 목표 도달 여부를 점검하여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평가하였다. 형성 평가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수준별 집단을 편성하였다. 심화 집단과 보충 집단은 소집단별로 협동 학습을 통해 심화보충 학습지의 해당 학습 과제를 해결하였다. 중단원 말에 제시한 심화보충 과정을 마치고 난 뒤 총괄 평가를 통해 대단원을 정리하였다. IV장 교수-학습의 실제에서는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동아시아사 단원을 중심으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는 기본 과정, 심화 과정, 보충 과정의 3종류 학습지를 제작하였다. 우선 10차시 분량의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각 주제에 따른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기초·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각 교과서별로 공통적인 내용을 추출하여 기본 학습지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기본 내용을 학습한 후 학습 목표 달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중단원별로 형성 평가 문제를 10개 문항씩 제시하였다. 형성 평가를 실시한 후 80%이상의 성취 수준을 보인 학생들에게는 심화 학습을, 80%미만의 성취 수준을 보인 학생들에게는 보충 학습을 실시하였다. 심화 학습에서는 기본 학습에서 다루는 내용이긴 하나, 교과서 외의 과제를 포함시키고 탐구 능력의 심도를 높이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보충 학습에서는 교과서 내용에 충실하되 반복 학습이 되도록 조직하여 기본 학습의 중요 요소를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2회에 걸친 심화보충 학습이 끝난 후 총괄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대단원의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준별 수업을 실시한 결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 30%이상의 심화 집단보다는 하위 30%미만의 보충 집단에서 그 효과가 더욱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제작된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한 후 평판도를 분석한 결과 기본학습지와 심화 학습지에 대한 호응도가 보충 학습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제 수업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비율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준별 수업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수준별 집단을 나눌 때 성적과 본인의 희망이 함께 고려되는 방법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V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른 동아시아사 단원의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의 연구이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취지가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되려면 우선 학습자의 수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수-학습 자료와 학습 목표도 세분화되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의 부족한 점들을 보완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thesis provides an example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7th grade(Junior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particularly chapter 10, entitled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East Asia" by applying the In-depth and Supplement teaching-learning method developed by the author of this thesis. In chapter 2 of this thesis, general outline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its In-depth and Supplement for the Social Studies are described. In chapter 3, advised to use wisely traditional direc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operative small group studying method. In chapter 4, which is about teaching-learning practic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Social Studies applying In-depth and Supplement Differentiated Curriculum are introduced and the result of actual experimental class is described in detail. Experimental classes applying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method and materials were held in 6 classes in O Junior High School in Songpa-gu,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weeks in April, 2002. In chapter 5, organized all the research results above and advised few ways how to manage efficiently the In-depth and Supplement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ocial Studies are described. This thesis is a study to explore a desirable teaching method for applying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the History of East Asia course in Junior High Schools. More studies and researches for the level of learners are needed in order to apply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actual classes. Also the proper teaching-learning materials must be developed for the differentiated levels. It is hoped that any shortcomings of this study can be overcome by future research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 5 1. 지식기반사회와 수준별 교육 = 5 2.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 7 3. 수준별 교육과정의 한계 = 13 B.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 = 15 1.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 15 2.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17 III. 수준별 교수-학습의 적용 = 25 A. 사회과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 = 25 1. 학습 목표 = 28 2. 학습 내용 = 30 3. 평가 방안 = 32 IV. 교수-학습의 실제 = 33 A. 동아시아사 단원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 33 B. 실험 설계 = 39 1. 실험 단원 및 대상 = 39 2. 단원 학습 목표 = 40 3. 지도상의 유의점 = 40 C. 수준별 수업의 검증 = 41 1.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41 2.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평판도 = 46 3.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 = 49 V. 결론 = 56 참고문헌 = 59 ABSTRACT = 62 부록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8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의 수준별 교수-학습 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