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옥-
dc.creator이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07-
dc.description.abstract교사중심의 교육이 점차적으로 학습자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면서 자기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제 교사는 기존의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쌍방향적 학습을 수행해야만 하게 되었다. 특히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참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사 교육에서는 교과목의 특성상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중 하나로 웹 기반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웹 기반 수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규제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원하는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필요 요건으로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진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웹 기반 역사 학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논의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역사학습에서 이론적 연구로 도출된 결과를 교실 현장에 적용·연구하고, 효율적인 웹 기반 역사 학습 방안에 대해 논의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과 자기규제 학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규제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통제된 내용과 학습자 자율 해결 과제로 나누어서 홈페이지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기초설문조사와 자기규제학습능력 및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중에서 조선의 건국과 정책 에 대한 내용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제작하여, 초등학교 학생 12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후검사 단계에서는 통제한 내용에 대한 평가를 위한 객관식 문항과 학습자의 자율 통제 학습을 위한 평가를 위해 과제 제출 게시판에 올린 글을 함께 평가하여 학업성취도를 합산하였다. 위의 실험에서 웹 기반 역사 학습에서 자기규제 학습 능력이나 컴퓨터 자기규제 능력, 역사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역사 자기효능감은 단편적인 지식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식 문항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터넷 자료 탐색의 결과를 조절하고 종합하여 작성하는 학습자 자율 통제 학습 과제인 과제 해결 서술형 문항은 자기규제 학습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활용 능력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학업성취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인터넷 활용 능력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인터넷에서 학습이나 과제 해결에 관련된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게임이나 E-mail과 같은 활동들을 주로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리하면 웹 기반 학습에서는 인터넷 활용 능력이나 인터넷 자기효능감 등의 인터넷에 대한 기술이나 동기의 영향보다는, 자기규제 학습능력이나 컴퓨터 규제능력 및 역사 자기효능감 등 전반적인 학습 태도나 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더욱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웹 기반 역사학습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첫째, 홈페이지는 내용이나 인터페이스를 어렵게 만들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 성취해야 할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길잡이 즉 참고사이트나 키워드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넷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려 수업에서 교사와 아동들이 직접 대화해보는 채팅과 게시판 등의 기능을 살린다면 수업에 대한 소속감이나 참여의식이 상승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단편적인 지식에 대한 학습에 중점을 두던 기존의 수업에서 과정적·종합적인 지식을 포함할 수 있는, 그리고 학습자들의 인터넷 활용 능력과 관계없는 웹 기반 학습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In these days when the information work has been universalizing socially, we need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ecause of Internet s introducing in schoolroom. Therefore, in the study using Internet, to achieve the aim of a lesson, it s important requisite that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that can inspect and control voluntarily the learning process with effect. At the same time strong Self-efficacy, having great confidence of successful achievement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know what it suggest in web-based history study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have affirm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Internet using study. Th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the higher Computer-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standard, the bette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efficacy about Internet has nothing to do with academic achievement statistically and numerically. That is, they have not meaningful relation, especially Self-efficacy about Internet seems to be negative academic achievement. But we can find the result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about history subject, the better academic achievement. Third, it s clear that Self-efficacy about Internet and Internet using proficiency are affirmative each other, although, are not insignificant with academic achievement. I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most activity in Internet to discover the cause. The learner who has higher Internet using proficiency and Self-efficacy uses more on-line game or E-mail than homework or learning subject solution. In other words, it s resulted in that Self-efficacy about Internet or using ability in Internet are never connec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linked to Self-efficacy about history subject. From this study I reached a conclusion that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have an ac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he web-based history education. But I verified that Self-efficacy about history is more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one about Internet even if in Internet using education. Because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e general Self-efficacy about history has more affirm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5 1. 연구 방법 = 5 2. 연구의 제한점 = 7 II. 인터넷 학습과 자기규제학습, 자기효능감 = 8 A. 역사 교육과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 8 B. 자기규제학습 = 12 C. 자기효능감 = 14 D. 자기규제 학습 및 자기효능감 이론의 접목 = 17 III. 연구의 실제 = 19 A. 실험 준비 = 19 1. 실험 도구 = 19 2. 검사 도구 = 24 B. 수업의 실제 = 28 1. 단원명 = 28 2. 단원 설정의 근거 = 28 3. 본시지도안 = 30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32 IV. 연구 결과 및 분석 = 34 A. 기초설문조사 분석 = 34 1. 가정의 정보화 환경 = 34 2. 인터넷 이용 능력 및 이용 실태 = 35 3.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활용 실태 = 38 B. 자기규제 학습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43 C.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46 D. 자기규제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 49 E. 자기규제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 웹 기반 역사학습 = 54 IV.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1 부록 = 65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2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인터넷 역사학습에서 자기규제 학습능?쩔?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