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아-
dc.creator김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69-
dc.description.abstract교육 평가 분야에서 실증주의에 기반한 양적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질적 평가의 가능성들이 모색되고 있다. 질적이고 자연적인 평가가 양적이고 실증적인 방법보다 부족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도 안되지만 모든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절대적인 평가 방식으로 인정되어서도 안된다. 질적이고 자연적인 평가 방식과 양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은 각각 나름대로의 장점을 갖고 있는 독특한 평가 방식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평가에서 양적 접근이 갖는 문제점을 현재 우리 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평가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학교 평가에서의 질적 접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학교평가에서의 구체적인 질적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 방안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우선은 질적 평가 개념화를 위해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철학적 기본 가정들을 비교 ·검토하고 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이 갖는 장점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 사례로서 영국의 학교평가 사례를 분석하였다. 영국은 200년의 학교평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 수준에서 왕실장학사와 지역교육청 수준의 장학사들이 수행해 오던 학교평가를 현재 교육기준청(Office for Standard in Education: OFSTED)이라고 하는 중앙 정부기관에서 주관하여 국가 수준의 학교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접근에 있어 기본적으로 질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제 사례 분석을 기초로 한국에서 적용 가능한 학교평가 방안을 구안하여 이를 평가의 목적, 영역 및 기준, 방법, 보고서 작성, 결과활용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 평가 모형에서는 ①학생의 성취, ②제공된 교육의 질, ③학생의 성취와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이끄는 지도성과 학교 경영, ④외부의 지원을 평가 영역으로 삼았다. 이 영역들은 분절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학생들의 성취 를 중심으로, 이를 위해 제공되는 교수활동의 질, 이를 지원하고 이끄는 지도성과 행정, 그리고 외부의 지원으로 입체적으로 조직된다. 이것은 Newman과 Wehlage(1995)가 학교 재구조화 연구에서, 학교 재구조화 노력은 학교 전체가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 혹은 참성취에 대한 비젼을 가지고, 이를 현실화 하기 위해 교사들이 참교육을 실천하고, 이러한 교사들의 노력을 지원할 수 있는 조직적 역량이 구축되었을 때, 그리고 지방, 중앙 교육행정기관이 이를 지원했을 때 성공할 수 있다고 하며 제안한 "지원의 구심(circle of support)"에 착안한 것이다. 그리고 평가 방법으로는 질적 접근 방법의 원리를 활용하였다. 이 평가 모형의 특징은 학교교육의 질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구성원들에게 의미있는 형태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이때 학교교육의 질이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즉 객관적인 도구나 절차에 밝혀 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에 의해 다르게 인식되며 구성원들에 의해 구성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구성된 실재라고 하여 이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이 평가에서는 평가자는 자신의 전문가적 감식안과 좋은 실제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평가 준거들을 토대로 그리고 학교의 자료들과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계속 견주어 가면서 그리고 평가자간에 상호 자료와 판단을 공유하면서 최종 판단을 내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잠정적인 평가일 뿐이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학교교육의 질에 대한 최종적인 진술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잠정적인 판단 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교육활동과 전체 학교가 제공하는 교육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이들이 앞으로 자신의 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problems in the quantitatively-oriented approaches to school evaluation focusing on the problems emerging from present school evaluation in Korea, and exploring possibility of qualitatively-oriented approaches to school evaluation, and sought to develop a qualitative school evaluation model. As an attempt to devise a qualitative school evaluation model,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underly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re-conceptualize qualitative evaluation, and the particular advantages of qualitative evaluation as applied to school evaluation were discussed. School inspection in England and Wales was reviewed as an exemplary case of qualitatively-oriented approaches to school evaluation. School inspection in England and Wales has a long tradition that has lasted over 200 years, and presently school inspec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a non-ministerial government body Office for Standard in Education(OFSTED), i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conducted by a qualitatively-oriented evaluation schem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case study, a qualitative school evaluation model adequate to Korea is presented in Chapter V, specifying the fundamental scheme and procedural elements such as the aim, criteria, and methods of school evaluation; reporting of the evaluative judgements; utilization strategies of the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내용 = 5 II. 한국의 학교평가 현황 분석과 양적 접근의 문제 = 6 A. 학교평가의 도입 배경과 논리 = 6 B. 평가의 목적 = 10 C. 평가 내용 = 11 D. 평가 방법 = 14 E. 평가결과의 활용 = 16 F. 현행 학교평가의 문제점 및 대안적 접근의 모색 = 17 III. 질적 평가의 이론적 기초 = 21 A. 질적 평가의 의미와 철학적 기본 가정 = 21 B. 질적 평가의 방법론적 특징 = 28 C. 학교 평가에서 질적 접근의 장점 = 34 D. 질적 평가의 타당화 방안 = 40 IV. 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 사례 분석 = 43 A. 영국의 학교평가의 두 가지 전통 = 43 B. 학교평가 도입배경-OFSTED로의 이행 = 44 C. 질적평가로서의 영국의 학교평가 = 46 V. 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 방안(모형) = 64 A. 평가의 목적 = 64 B. 평가 영역 및 기준 = 65 C. 평가 방법 = 74 D. 평가 보고서 작성 = 76 E. 결과 활용 = 78 F. 예상 문제점과 대응 방안 = 78 VI. 요약 및 결론 = 80 A. 요약 = 80 B. 결론 = 84 참고 문헌 = 86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59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교평가에서의 질적 접근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