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구비문학 교육 연구 :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과제의 분석적 검토

Title
구비문학 교육 연구 :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과제의 분석적 검토
Authors
유미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고등학교의 구비문학 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접근한 연구로서 현행 교육과정에 뚜렷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구비문학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문학 교과서의 내용적 분석과 구비문학 교육현장의 실태 조사를 통하여 바람직한 구비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학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은 교육의 현장에서 교수-학습 방향을 안내하는 중요한 지침이므로 구비문학 교육 연구의 접근 방안이 된다. 따라서 현행 18종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구비문학 작품단원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II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별도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구비문학교육의 목표를 밝히고, 구비문학 교육의 내용을 설화·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구비문학 교육의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III장과 IV에서는 현행 구비문학 교육의 구체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학교과서 분석과 구비문학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III장에서는 문학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작품을 구비문학 장르별로 선정하여 학습목표와 학습활동 과제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학습목표는 구비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종합적 관점에서 설정되었는가를 검토하였고, 학습활동과제는 수업 절차 중 지도단계에 활용되므로 지도단계의 절차인 전체적 접근-분석적 접근-종합적 접근 을 분석 틀로 하여 학습활동과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IV장에서는 구비문학 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를 구비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태도, 교수-학습 활동의 내용적 측면, 교수-학습 활동의 방법적 측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V장에서는 III장과 IV장에서 도출된 구비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학습목표, 학습활동과제, 교수-학습활동의 방법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문학교과서와 실태조사의 분석을 통하여 문학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과제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교육 현장에서도 교과서를 불신하고 있어 문학교과서를 잘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우선적으로 교사·학생들의 문학교과서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문학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며 또한 바람직하게 제작된 문학교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자가 제시한 개선방안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는 구비문학을 종합적 관점에서 이해·감상하도록 포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활동과제에는 구비문학의 특성에 대한 과제가 반드시 필요하며 학습활동과제의 문항수를 더욱 늘리되, 전체적 접근-분석적 접근-종합적 접근 으로 적절히 안배하여 위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셋째, 교수-학습 활동 방법적 측면에서는 교사가 먼저 구비 문학의 본질에 대하여 바르게 이해해야 하고, 수업시 학생에게 학습목표를 명확히 인지시켜야 한다. 또한 구비문학의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채록본을 텍스트로 선정하고,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제IV장에서는 본 연구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고 구비문학 교육의 개선과 차후의 연구에 대하여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구비문학 교육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교과서분석과 실태조사를 통해 교과서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학교 수업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학습목표, 학습활동과제, 교수-학습활동 방법 등의 세부적 교육 내용에 대하여 바람직한 방안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This research is a specific and practical approach to folklore education for establishing the goal of it, which is not presented clearly in current curriculum and finding a way to make it desirable through analyzing literature textbook and survey classroom situation where folklore class is given.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y tasks in literature textbook act as a guide leading where the teaching-learning in classroom situation is headed, which can make them one of approaches to examination of folklore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 was made centering around learning objectives and exercises from each work of folklore in 18 kinds of current literature textbooks. For settling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chapter II makes clear the goal of folklore education which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doesn t show obviously, dividing folklore into myth, ballad, songs for shaman ritual, Pan-so-ri, folk drama to explore the content of folklore education and finally figuring out how to teach folklore. Chapter III and IV tried to approach to specific current situation of folklor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literature textbook and examining realities of folklore education. Chapter III accordingly takes a work from each genre of folklore, which is most frequently found in literature textbooks, to find out how suitable thos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y tasks of them are. As for the learning objectives, it is considered whether they are established at the perspective of appreciating a work of folklore synthetically, while, as for the learning activity tasks--since they are used on the developing stage in the teaching procedure--they are examined under the format for analyzing of holistic approach - analytic approach - synthetic approach , one of developing procedure. Chapter IV shows the result of survey on the realities of folklore education analyzed at the aspect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folklore education, content-based aspect of teaching-learning activity, method-based aspect of it. Chapter V shows the problems of folklore education derived from chapter III and IV with solutions to them at the level of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activity tasks and method-based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 other words, by analyzing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realities of folklore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y tasks in literature textbooks does not satisfy neither teachers nor students, what s more, the textbooks are not reliable enough, they are not used in classroom. Thus, in order to raise the reliability for literature textbooks, most of all, we need not only to improve them, but also to invent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o use the improved textbooks. I suggest the core of improvement plan as followings. First,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y tasks must be general enough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folklore at the synthetic perspective. Second, learning activity tasks must include the items about characteristics of folklore, and they must be increased in number, at the same time, properly assigned through holistic-analytic-synthetic approach, constructed hierarchically. Third, in method-based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eachers must understand the essence of folklore perfectly, and let their students know the learning objectives clearly in classroom. In addition, they should try to choose the transcript of the folklore which was told by storyteller as a text for teaching, using audio-visual materials in classroom to show the way folklore exist. In chapter VI, both the improvement plan and the additional research following this are presented, summarizing the conclusion which resulted from this research.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at, by approaching the folklore education more concretely, I confirmed the necessity of textbook improvement through textbook analysis and survey and established desirable means about minute contents of education such as learning objectives directly ralated to instruction in schools, learning activity task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