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희경-
dc.creator한희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의 인식과 일선 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실시 실태 및 그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중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문제들을 연구하였다. 1. 일선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은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2. 현재 일선 중등학교에서는 수학과 수행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일선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제주도 제외)의 중등학교 수학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수행평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항들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선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대부분의 수학 교사들은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든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구별기준은 평가의 방법에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또한 수학과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주관식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 관찰법, 포트폴리오법, 연구 보고서법 등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게 되면, 개념에 대한 이해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교사도 상당수 있었다.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의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면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수행평가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은 정의적인 면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수행평가에 대하여 무관심한 교사들은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과 수행평가가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수행평가의 성적 반영은 1년 2회(1학기 1회) 30%를 반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일선 학교에서는 그 실시 유형으로 주관식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성적에는 1년 4회(1학기 2회) 30%를 반영하는 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교사들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여, 현재 일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학과 수행평가는 그 근본목적에 맞게 실시되고 있다기보다는 수행평가라는 것을 하고 있다는 형식에만 치우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대다수의 교사들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해, 그 본질과 실시의 근본취지에는 공감하나 아직 우리 나라의 교육여건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문제가 되는 요인으로는 과다한 학생수로 인한 평가와 채점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 및 교육 여건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지적하였다.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 연수는 다양한 수행평가 유형과 실시 방법에 관한 연수를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사의 잡무와 수업시수를 단계적으로 경감하여 교사 본연의 임무인 교수와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육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2. 성취기준을 정하여 그에 따른 평가기준을 세우고, 수행평가를 위한 다양한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3. 수행평가 실시에 적합한 교과서가 개발(집필)되어야 한다. 4. 학생들이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 사회 공공시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5. 수행평가의 정의와 그 실시방법에 대한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인 교사연수(교사 재교육)가 선행되어야 한다. 6. 수행평가는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에 의한 평가이므로, 교사를 평가에 대한 전문가로 인정하고 평가의 결과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7. 수행평가의 실시를 제7차 교육과정의 시작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그 이전까지는 수행평가를 하기 위한 준비기간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thought on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2.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 3. Problem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surveying teachers and studying performance assessment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teachers are concerned with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think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choice item format and performance assessment lies in the way to evaluate. They recommend the written test, observation, portfolio and project as its type. They also hope that performance assessment will help students work hard in clas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mathematics. They demand 30 percent of total grades should be alloted to performance assessment twice a year. 2. Most schools have performance assessment four times a year in written test type. Most mathematics teachers find the problems in performance assessment. 3. One of the probl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that too much time is needed for evaluating and grading too many students. A solution is to lessen the teachers working time for unnecessary job and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Teacher training on its various types and its method should be includ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here are some suggestions. 1. Teachers working time for unnecessary job should be reduced. 2. The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should be developed. 3. The textbooks for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published. 4. The social atmosphere for the students to use public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and museums should be created. 5. The training on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preceeded. 6. Students and their parent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7. The performance assessmen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reform. There be a preparation perio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before th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수학과 평가 = 5 1. 평가의 특징과 원리 = 5 2. 평가의 준거 = 10 B. 수학과 수행평가 = 12 1. 수행평가의 대두 = 12 2. 기존의 평가 체제와의 차이점 = 16 3. 수학과 수행평가의 정의 = 21 4. 수학과 수행평가의 유형 = 29 III 연구의 방법 = 35 A. 설문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 35 B. 설문 조사 방법 및 절차 = 35 1. 조사 대상 = 35 2. 조사 범위 = 36 3. 측정 도구 = 37 4. 자료 발송 및 수집 = 37 5. 자료 처리 = 38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9 A. 설문 조사 결과 분석 = 39 1.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39 2. 수학과 수행평가의 실시 실태 = 49 3. 수행평가 실시와 관련된 문제점 개선 방안 = 53 B. 수학과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을 위한 제안 = 58 1. 수행평가 실시를 위한 여건 조성과 관련된 제안 = 58 2. 수행평가의 구체적 실시와 관련된 제안 = 67 V. 결론 및 제언 = 71 참고 문헌 = 74 부록 = 78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09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과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