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희-
dc.creator김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5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ll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methodist women s missionary society in Korea based on Maria Harris education ministry curriculum theory and the feminist educational theology, and thereby, address the problems involving the educational ministry, and find their solutions to uphold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y as a community devoted not only to churches but also to women themselve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method, scope and limit of the study. In the second chapter, the history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is reviewed, and it was emphasized that the societies played a vanguard role in liberating women from under the feudal system since the late Han dynasty, and that the women liberated by the gospel proceeded to organize the societies to liberate other women from their miserable statu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thodist church has brought up more feminist leaders than any other church under the self-reliant mission policy of missionary services by Korean Women for Korean Women and the educational ideology of fostering the women who can lead churches and society , and thereby, that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had not only helped to consolidate the ground for the methodist church but also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s. Moreover, it was due to women s unswerving struggle not to lose the independence of women s missionary society that the current women s missionary society exist as independent autonomous organization despite its ties with their church. In the third chapter,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formed as above and their recent national federation s activities (from 1991 until 2000) are review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such guidelines of their activities as gospel preaching, women s liberation, autonomy and self-ruling, conformity and union are combined to provide for a theological identity for the societies linking present and future. Thus, the women s missionary churches has been able to maintain their identity despite the numerous divisions of their church and various pressure. In other words, for the last decade (from 1991 to 2000) the national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federation have played a model leading role in women s ministry not only internally but also externally; they have been very positive enough to associate their activities with other organizations. In the fourth chapter, Maria Harris educational ministry curriculum i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t educational the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y educational curriculum. Maria Harris expands the church educational curriculum and applies it more broadly. Such a theory of hers may well provide for a framework whereby all the activities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can be analyzed as educational curriculum, while her women s theology plays a role of engine in addressing the problems facing women and humanizing and liberating women. In this study, it is emphasized that the feminist educational theology should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men-centeredness to admit of women s conditions and thereby, help women to be aware of their status and contribute themselves to development of the human history. In the fifth chapter, Maria Harris educational ministry curriculum is analyzed against the recent (from 1991 to 2000) activities of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by dividing it into five areas: Koinonia Curriculum, Leiturgia Curriculum, Didache Curriculum, Kerygma Curriculum and Diakonia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mmunity but that they have served the women unilateral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the members to develop a channel through which they can serve each other and thereby, create an organistic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strike a balance between external devotion and services, it is deemed essential to design a praying society pursuing a deep spirituality and a worship enabling to change the life styles. Furthermore, in order to help the women form their identity and surmount the crisis of identity, it is also deemed necessary to develop worship codes befitting their life cycle and therewith, assist them in their ordinary life. Third, since the educational services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y are too biased towards practical benefits, it may well be necessary to make them aware of the past and foster womanpower for the future by changing the curriculum system and developing more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Fourth, since the activities are more or less passive as far as the announcement of Word is concerned, it is deemed necessary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in the church based on the feminist theology, wherein women can make their voices heard. Nevertheless, in the public and practical service areas, it is analyzed that they have done well by addressing the social problems, awakening women of their status, helping them to be engaged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urging the relevant authorities to enact necessary codes. In the sixth chapter, where the study is concluded, the researcher forecasts the activities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y and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women s missionary societies.; 본 논문은 여선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모든 사업을 분석하여 교육목회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여선교회가 교회뿐만 아니라 여성들 자신을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공동체가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 이론과 여성주의적 교육신학을 토대로 하였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제한점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여선교회의 역사를 고찰하여 여선교회의 역사는 봉건주의 사회의 질곡 속에서 살던 구한말 여성들의 해방의 역사였을 뿐 아니라, 복음을 접하고 해방된 여성들이 또 다른 여성들의 해방을 위해 조직한 단체였음을 살펴보았다. 감리교 여선교회는 한국여성에 의한 한국여성 선교 라는 주체적인 선교정책과 교회와 사회를 리드할 인물양성 이란 교육이념에 의해 한국의 다른 어떤 교파보다도 한국 여성 지도자들을 많이 배출하였으며, 이로써 감리교의 기틀을 마련한 것은 물론이고 민족의 독립운동을 지원할 수 있을 정도의 획기적인 여선교회 발전도 가능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여선교회가 교단과 유기적으로 연대하지만 독자적인 위치인 자치기구로 존속할 수 있는 것은 여선교회의 독자성을 잃지 않으려는 여성들의 끊임없는 투쟁의 결과였음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여선교회의 역사에 의해 형성된 여선교회의 신학적 정체성과 최근 10년 간(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여선교회 전국연합회의 활동 현황을 살펴보았다. 여선교회의 역사적 전통 속에서 형성된 복음전도, 여성해방, 자원과 자율에 의한 자치, 일치와 연합이라는 선교의식은 곧 여선교회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연결짓는 신학적 정체성이 되었다. 이러한 신학적 정체성을 가졌기에 여선교회는 교단이 여러 차례 분열되는 와중에서 비롯된 압력에도 끝까지 굴하지 않고 하나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최근 10년간(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여선교회 전국연합회의 활동 현황은 여선교회가 방대한 여선교회 사업을 잘 이끌어 나가고 있으며, 대내적 사업뿐 아니라 국내외의 여러 단체들과의 연대활동에서도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장에서는 여선교회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교육 이론적 기초로서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과 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는 교육신학에 대해서 서술했다. 마리아 해리스는 교회 교육커리큘럼을 교회생활의 전 과정으로 확대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해리스의 이론은 여선교회 전 사역을 교육커리큘럼으로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들에 대한 문제를 밝혀준 여성신학은 여성의 인간화와 해방을 지향하는 여성의 기독교교육에 동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논의했다. 본 논문에서의 여성주의적 교육신학은 종래의 남성 중심적 편견에서 벗어나 여성의 특성을 인정하며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여성들이 진정한 자신을 찾고 역사 안에서 구체적인 변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5장에서는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 이론을 중심으로 여선교회의 최근 10년간(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활동을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의 내용 범위인 코이노니아(Koinonia), 레이투르기아(Leiturgia), 디다케(Didache), 케리그마( Kerygma), 디아코니아(Diakonia) 커리큘럼(Curriculum)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분석에 의하면 첫째, 여선교회는 신앙공동체로서 기독교 공동체를 세우는데 훌륭하게 기여하고 있으나 모든 일에 있어서 일방적인 봉사를 하고 있음이 문제로 나타났고, 과업완수에 그 사업이 치중되어있어 피상적인 공동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회원들이 상호호혜적으로 섬길 수 있는 통로를 개발하여 유기적인 공동체를 만드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선교회의 방대한 사역에서 나타나는 외적인 헌신·봉사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깊은 영성을 추구할 수 있는 기도회와 생활의 변혁을 이룰 수 있는 예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성들의 정체성 형성과 정체성 위기 극복을 도와줄 수 있도록 여성들의 생활주기에 의한 예전들을 개발하고 시행함으로써 여선교회가 회원들의 일상적인 모든 삶에서 지원체계가 되어줄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선교회의 교육사역은 실용적인 교육에 너무 치중되어 있으므로 과거를 알게 하는 역사교육과 미래를 위한 여성 인재 양성에 비중을 두는 교육체제로 전환하여야 하며 다양한 교육형태들을 개발하는데 힘써야 한다. 넷째, 말씀 선포의 영역에서는 소극적인 경청에 치우쳐 있으므로 여성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성 신학에 근거한 여선교회 공과가 잘 사용될 수 있도록 교회 내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적이고 실제적인 봉사의 영역에서는 타인을 위한 사회적 돌봄, 사회문제를 표출시키는 사회적 의식, 사회적 능력부여, 사회적 입법 등의 모든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6장에서는 결론으로 본 연구를 요약한 후, 전망과 함께 여선교회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향모색으로서의 제언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역사적 고찰 = 5 A.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기원 = 5 1. 복음과 한국 여성의 만남 = 5 2.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기원 = 6 B.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발전 = 10 1. 초기 여선교회의 조직과 활동 (1897년부터 1919년까지) = 10 2. 남·북 감리회 여선교회 전국연합회 조직과 활동 (1920년부터 1930년까지) = 11 3. 통합여선교회 조직과 활동 (1931년부터 1933년까지) = 12 4. 일제말기 교회의 수난과 여선교회 해산 (1934년부터 1945년까지) = 13 5. 여선교회 재건과 활동 (1946년부터 1990년까지) = 15 III.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의 신학적 정체성과 활동현황 = 20 A. 신앙선교 공동체로서의 여선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 20 B. 최근 10년간의 여선교회 전국 연합회 활동 현황 (1991년부터 2000년까지) = 24 1. 국내 선교 = 25 2. 국외 선교 = 27 3. 출판 및 교육사업 = 28 4. 은급사업과 안식관 운영 = 29 5. 복지재단 운영 = 30 6. 전국대회 = 31 7. 국내외연합활동 = 32 8. 여선교회 전국연합회 행사보고 = 34 9. 각부별 사업보고 = 35 IV. 여선교회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교육 이론적 기초 = 38 A.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 = 38 1. 기독교교육 커리큘럼 이해 = 38 2. 마리아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 = 41 1) 교육목회 커리큘럼 설계를 위한 다섯 가지 원칙들 = 42 2) 교육목회 커리큘럼의 범위 = 45 B. 여성주의적 교육신학 = 50 1. 교육신학 전통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 50 2. 여성주의적 교육신학의 방향성 = 55 V. 한국 감리교 여선교회 교육과정 분석과 방향 모색 = 63 A. 공동체와 교제의 교육과정인 코이노니아(Koinonia) = 64 1. 역사적 전통을 이어가는 공동체로서의 여선교회 = 64 2. 현재적 성찰과 미래 공동체로서의 여선교회 = 65 3.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과제 = 66 4. 코이노니아 커리큘럼 분석에 대한 종합 = 69 B. 예배와 기도의 교육과정인 레이투르기아(Leiturgia) = 70 1. 여선교회의 기도 형태 = 71 2. 여선교회가 참석하는 예배 형태 = 72 3. 예배와 기도에서 지향해야 할 과제 = 75 4. 레이투르기아 커리큘럼 분석에 대한 종합 = 77 C. 가르침의 교육과정인 디다케(Didache) = 77 1. 가르침의 내용에 관한 분석 = 78 2. 가르침의 전달과정에 대한 분석 = 83 3. 디다케 커리큘럼 분석에 대한 종합 = 84 D. 말씀 선포의 교육과정인 케리그마(Kerygma) = 85 1. 여선교회 월례회의 설교 본문으로서의 공과 = 85 2. 말씀선포에서 지향해야 할 과제 = 89 3. 케리그마 커리큘럼 분석에 대한 종합 = 90 E. 봉사의 교육과정인 디아코니아(Diakonia) = 91 1. 사회적 돌봄(Social Care) = 92 2. 사회적 의식(Social Ritual) = 93 3. 사회적 능력부여(Social Empowerment) = 93 4. 사회적 입법(Social Legislation) = 94 5. 디아코니아 커리큘럼 분석에 대한 종합 = 95 VI. 결론 = 96 A. 요약 = 96 B. 전망과 제언 = 98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7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 감리교 여선교회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