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희정-
dc.creator류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89-
dc.description.abstract수행 평가는 과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능력 및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기르고자 하는 과학 교육의 목표 달성의 정도와 수준을 관찰, 판단하기에 가장 적절한 평가 방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평가 기준이 제시된 평가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현장에서 교사들이 좀더 쉽게 수행 평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과학과 교육과정과 개정된 7종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필수 학습 요소를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평가 기준은 앞서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균형 있게 평가하도록 명시한 과학의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영역에서 학생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상/중/하의 세 수준으로 개발되었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각 평가 도구마다 객관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다. 평가 도구는 수행 평가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평가 도구의 유형은 서술형, 논술형, 포트폴리오, 실험 보고서이다.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는 과학 교육 전문가와 현직 교사에 의해 검증되었다. 평가 도구의 개발을 위해 설정된 단원은 고등학교 과학의 물질 대사와 자극과 반응 단원이며, 개발된 평가 도구는 송파구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되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물질 대사와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각각 13개, 12개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성취 기준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영역으로 물질 대사와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각각 15개, 9개, 1개이며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각각 15개, 13개, 2개를 개발하였다. 평가 기준은 양적 진술과 질적 진술을 사용하여 상/중/하의 세 수준에서 개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가 가능하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물질 대사 단원에서 25개,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29개이다. 평가 도구는 물질 대사 단원과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각각 서술형 10개, 논술형 1개, 실험 보고서 1개, 포트폴리오 1개 총 13문항을 개발하였다.; Performance assessment, also known as alternative or authentic assessment, is a useful form of testing that observ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science and evaluates the achievement of goal of students. Also performance assessment is a dynamic process calling fo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who are learning even while they are being assessed. In this study, assessment instrument with well equippe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national education process was developed and it is helpful to actual teachers so as to utilize performance assessment easil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metabolism section and stimulus and response section in high school science. In order to develop the assessment instrument related with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metabolism section and stimulus and response section were abstracted from the 7 kinds of science textbooks. Also based o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th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learning object have been determined in term of the process skill(P), knowledge(K), and attitude(A).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ifferentiated students levels which are high, middle, low. Based on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eloped and also the grading standards for each assessment instruments were proposed. The content and valid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were verified by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nd present teachers. Also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 were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actually as a pilot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were determined each 13 items and 12 items in the metabolism section and stimulus and response sec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15 items, 9 items, 1 items of metabolism section and 15 items, 13 items and 2 items in stimulus and response section in detail in terms knowledge(K), the process skill(P), and attitude(A) region. Also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25 items in metabolism section and 29 items in stimulus and response section. A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at the 3 kind of level which are high, middle, and low by mean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atement, it is possible to evaluated students with considering the student s level. Based up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made 10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1 experimental report, and 1 portfolio. Finally, the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s were applied into actual field and modified after students respon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5 A. 7차 과학과 교육과정 = 5 B. 수행 평가 = 6 C. 과학과 수행 평가 = 9 1. 과학과 수행 평가의 정의 = 9 2. 과학과 수행 평가의 특징 = 10 3. 과학과 수행 평가의 종류 = 11 D. 선행 연구 = 12 III. 연구 방법 = 14 A. 연구 대상 = 14 B. 연구 단원 = 14 1. 필수 학습 요소 추출 = 16 2. 성취 기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16 3. 평가 기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17 4.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18 5. 수행 평가의 실시 = 20 IV. 연구 결과 및 고찰 = 22 A. 필수 학습 요소 = 22 B. 성취 기준 = 24 1. 물질 대사 = 25 2. 자극과 반응 = 25 C. 평가 기준 = 30 1.물질 대사 = 31 2. 자극과 반응 = 31 D. 평가 도구 = 32 1. 평가 도구의 개발 = 32 2. 평가 도구를 활용한 결과의 분석 = 46 V.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1 물질 대사 단원의 평가 기준 = 53 부록2 자극과 반응 단원의 평가 기준 = 58 부록3 물질대사 단원의 평가 도구 = 64 부록4 자극과 반응 단원의 평가 도구 = 93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3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수행평가도구개발 : '물질대사'와 '자극과 반응'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