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reator이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86-
dc.description.abstractPerformance Assessment is a system to observe and evaluat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for given problems. Performance Assessment can be applied to learning results of a curriculum. Future society will be a knowledge &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to search for, to collect, to analyze, to criticise, to synthesize and to creat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solve a given problem cooperatively are more inevitably required than the ability to memorize and understand a fragmentary and realistic knowledge[1]. Besides the intellectual aspect, education should deal with emotional aspect. Today s school education emphasizes on the extension of the intellectual ability. Accordingly, it causes abnormality of a school education. The enforcemen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will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a goal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to the abnormality of school education. The enforcemen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can plan the close relation between teaching and evaluation. That is, Performance Assessment is the most proper method to relat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evaluation activities. However, Performance Assessment has a difficulty for execution. First, a single teacher takes care of too many students. In case of a curriculum with a school hour per week, the number of students of which one teacher takes charge amounts to a thousand. Since the teacher should enforce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gives marks the enforcement in a limited time has a more difficulty. Second, with the enforc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workload is continuously increasing. Also, due to the ambiguity of a criterion of an objectivity and a justice and for fear of the inspection of the upper part a Performance Assessment becomes a target of a civil appeal from the parents. Due to the deficiency of the materials teachers ar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problems with types related to the experiment or the practice should be scored with an equilibrium. Also, the teachers should keep the resul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epare for students objection to the result of a Performance Assessment.[3]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system to recognize the actual problems of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alleviate the burden of teachers in charge of a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ystem enables teachers to score many problems in person on the spot and helps to mitigate teachers burden to make time additionally. Even automatization in the processing of the result after scoring enables to reduce time and effort of teachers. Since this system presents a list of scoring criterion, scoring point is reflected immediately at the evaluation and makes a fair scoring possible. The scored data is stored in DB(database) which can solve the difficulties of storing the resul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the problems between teachers, therefore lessens the difficulties caused by insufficient data and helps teachers to make an examination paper. With the analysis of plenty of data related to a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ystem enables to understand the lowly achieved unit easily not on a subject basis but on a unit basis. Our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alleviates teachers heavy burden caused by a performance assessment, and is expected to be a beneficial system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by providing fair evaluation criteria and helpful information. ; 수행평가는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생의 학습 활동, 과제 수행들을 관찰하고 평가하여 교과 학습 성적에 반영하는 제도이다. 미래 정보화 사회는 지식ㆍ정보화 사회이다. 단편적ㆍ사실적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능력보다는 정보의 탐색, 수집, 분석, 비판, 종합, 창출 능력, 협동적 문제해결 능력 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교육은 지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영역 또한 골고루 다루어야 한다. 현재 학교 교육은 지적인 능력의 신장에만 치중해왔고, 그로 인해 학교 교육의 비정상화를 초래했다. 교육부는 교육비전 2002 새 학교 문화 창조 라는 실천 운동에서 전인적인 인간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수행평가의 실시는 이러한 교육목표의 달성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것이다. 전통적인 지필식 검사는 수업한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업과 연계된다. 하지만 수행평가를 실시하면, 수업과 평가의 긴밀한 연계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수행평가는 수업의 과정에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활동을 접목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평가방법이며, 의미있는 평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그러나 수행평가는 실행 상 어려움이 있다. 교사가 제기하는 문제점으로 우선 교사 1인이 담당하고 있는 수업 대상 학생수가 많다는 것이다. 주당 1시간이 배정되어 있는 교과의 경우 교사 1인당 담당하고 있는 수업대상 학생수가 많게는 1000여 명에 이르기도 한다. 주당 시수가 적은 교과의 경우 제한된 시간 내에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채점해야 하므로 어려움이 더 크다. 수행평가는 교사가 학생 개개인의 학습 활동 과정을 관찰하여 누가 기록 한 후, 성적에 반영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평가시스템은 선택형의 결과에 대 평가 시스템으로, 이 업무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들어 실시된 일련의 교육개혁과제로 인해 교사의 행정적인 잡무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수행평가까지 실시하게 되면서 교사의 업무량이 폭증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객관성과 공정성 문제로 학부모의 민원을 받거나 상부기관의 감사가 두려워 실시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자료가 거의 없는 형편이어서 교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험ㆍ실습형의 문제유형은 동시 다발적으로 평가를 해야 형평성있게 채점을 할 수 있는 시행상의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수행평가 결과물을 보관해서 수행평가 결과에 대하여 학생들이 추후에 이의를 제기할 것을 대비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수행평가의 현실적 문제점을 인식하고 교사와 학생의 수행평가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1인 교사 당 평가해야 하는 학생들을 많은 문제를 직접 현장에서 채점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따로 시간을 내어 평가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였고, 채점 후의 결과처리까지 자동화하여 교사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였다. 채점기준표를 제시하여 평가시에 직접적으로 점수가 반영이 되므로 공평하고 정확한 채점이 되도록 한다. 평가자료는 전산화되어 DB에 저장이 되므로 보관상의 어려움도 해결한다. 교사들 상호간의 문제를 보관, 관리하여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자료부족으로 겪는 어려움을 적게 하며, 이러한 문제관리로 교사들이 수행평가 시험지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수행평가와 관련된 다량의 결과를 분석하여 과목별인 아닌 단원별로 성취도가 낮은 단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수행평가시스템은 교사들의 수행평가로 인한 막중한 업무를 줄이는 한편, 공정한 평가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유용한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 = 5 A. 수행평가 = 5 1. 수행평가의 특징 = 5 2. 수행평가의 유형과 평가방법 = 6 3. 수행평가의 절차 = 8 B. 성취기준, 평가기준 및 등급화 방안 = 9 C. 평가결과 보고 방안 = 14 III. 시스템의 설계 = 16 A. 시스템의 구성 = 16 1. 대영역, 중영역, 소영역 기초 자료 조사 = 17 2. 데이타베이스의 기본 모형 설계 = 20 B. 주요 구성 요소별 기능 = 23 IV. 시스템의 구현 = 28 A. 시스템 구현 환경 = 28 B. 시스템의 각 단계별 화면 구성 = 28 1. 사용자 인증 단계 = 28 2. 성취ㆍ평가 기준표 보기 단계 = 30 3. 문제 관리 단계 = 31 4. 성적 관리 단계 = 34 V.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03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제저작과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