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윤전-
dc.creator김윤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9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읽기 능력과 관련해서 유치원의 읽기 지도 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유치원과 그 다음 단계인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 교육의 연계성을 알아보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읽기 지도를 위한 문자 지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40기관의 유치원 만 5세반 교사 120명과 공립 초등학교 40기관의 1학년 교사 120명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유치원 교사용 51부, 초등학교 교사용 56부 등 총 107부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는 유치원의 읽기를 위한 문자 지도의 수준에 대해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글자의 의미와 기능 알기 의 수준이라고 응답하였고,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 모두 초등학교 입학 당시 읽기 수준으로 받침이 있는 간단한 글을 읽을 수 있다 는 수준이라고 응답하였다. 유치원 교사는 유치원에서 형식적 문자 지도를 실시하는 이유로 학부모의 요구 때문 이라고 응답하였다. 형식적 문자 지도의 필요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의 56.9%가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반면, 초등학교 1학년 교사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교사보다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교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두 기관 사이에 의견 차이를 보였다. 바람직한 문자 지도 수준에 대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 모두 친숙한 낱말을 읽는 수준의 학습은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고,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60.7%가 취학 전 문자 지도가 초등학교 1학년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치원에서의 읽기 지도 실태를 살펴보면, 유치원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읽기 지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은 읽기 지도의 시작을 그림이 들어간 동화책을 읽고 글자에 관심가지기 로 보았고, 책읽기의 목적을 유아가 책을 즐겨 읽는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서 로 보며, 글을 이해시키는 지도방법으로 읽어준 내용을 교사와 함께 이야기하기 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에게 읽기 지도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한 결과 유치원 교사의 84.3%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78.6%가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연계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교육의 효율성과, 체계성, 언어 발달단계의 특성 등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현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읽기 지도 교육의 연계 여부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유치원 교사 62.8%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 50.0%가 연계가 되고 있지 않다 라고 응답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이 각각 상대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 모두 상대의 교육과정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읽기 지도 연계의 저해요인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 모두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이 부족하기 때문 으로 응답하였고,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의 연계성 증진 방안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49.1%가 교사의 연계 교육을 위한 공동연수를 해야 한다 에,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44.7%가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집필 해야 한다 에 응답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awareness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reading instruction in the kindergartens and of the link of the reading instruction in the first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will address the following issues. 1. What is the level of the instruction of letter for reading in the kindergartens? 2.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the reading instruction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first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3. How is the continuum of the reading instruction in the kindergartens and the first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above questions, 12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of 7-year-old classes in forty private kindergartens and another 120 to teachers of frist grade in forty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rea. Of the total 240 questionnaires, 51 were collected from the kindergartens and 56 from th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en the teachers were asked what the level of the instruction of letter for reading in the kindergartens wa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functions of familiar words",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And teachers from both institutions replied that it was shown that many could read simple syllables in Korean that had consonant or vowel placed underneath a simple two-character syllable at the time of entering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kindergartens teachers said that the reason of the instruction of reading skill was owing to the request of parents. With regard to the need of the instruction of reading in the kindergartens, 56.9% of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negative responses, on the other hand, 44.7%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in a positive way. Teachers of both institutions replied that it was necessary to learn how to read the familiar words on a kindergarten reading level. 2.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he present reading instruction in all the kindergartens wa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s, reading instruction was began with reading picture books and stimulating interest in letters. The purpose of reading was to encourage the habit of reading for fun and the teaching method for reading comprehension was to talk about the stories with their teachers. 3. About the need of learning continuum for reading, 84.3%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78.6%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lied in a positive way. And it was shown that the learning continuum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as needed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al stages. 62.8%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50.0%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lied that there was not learning continuum between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of both institutions had very little or no knowledge of each other s reading curriculum. All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mpeding factors in reading instruction related to learning continuum was the lack of the continuum of the national curriculum between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mprove the learning continuum of reading between the two levels of institutions, 49.1% of kindergartens teachers proposed a cooperative educa tion research for teachers of both institutions and 44.7%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ed the joint development and writing of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읽기의 개념 = 5 B. 읽기 준비도 = 7 C. 읽기 발달 단계 = 10 D.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교육과정의 내용 = 13 III. 연구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조사 도구 = 25 C. 연구 절차 및 자료 처리 = 2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유치원의 읽기 지도를 위한 문자 지도의 수준 = 28 1. 유치원 문자 지도 수준 실태 = 28 2. 초등학교 입학 당시 읽기 수준 = 30 3. 유치원의 형식적 문자 지도 실시 이유 = 31 4. 형식적 문자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 = 34 5. 바람직한 문자 지도 수준 = 35 6. 취학 전 문자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36 B.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의 실태 = 37 1. 유치원 읽기 지도의 실태 = 37 2.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 실태 = 40 C.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의 연계성 = 42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 연계교육의 필요성 = 43 2.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읽기 지도 연계교육의 정도 = 45 3.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에 대한 상대교육과정의 인식 = 46 4.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 연계교육의 저해 요인 = 48 5.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지도의 연계성 증진 방안 = 50 V.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6 부록 (질문지) = 5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1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읽기 지도 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