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기독인의 동료상담자 훈련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기독인의 동료상담자 훈련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유근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인들을 대상으로 동료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들의 상담가적 자질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동료상담자 훈련을 받은 기독인들은 훈련받기 전과 비교할 때 훈련받 은 후에 의사소통 능력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일 것인가? 둘째, 동료상담자 훈련을 받은 기독인들은 훈련받기 전과 비교할 때 훈련받 은 후에 공감반응 수준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일 것인가? 세째, 동료상담자 훈련을 받은 기독인들은 훈련받지 않은 기독인들과 비교 할 때 의사소통 능력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일 것인가? 네째, 동료상담자 훈련을 받은 기독인들은 훈련받지 않은 기독인들과 비교 할 때 공감반응 수준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일 것인가? 위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H 교회 성인들 중에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동료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 시간은 3시간 씩 10회에 걸쳐 총 30시간을 교육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은 심수명이 기독인들을 위해 개발한 평신도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가지고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의사 소통 능력 검사는 Carkhuff의 인간 관계 척도를 동료상담 훈련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게 만든 Tindall & Gray의 의사 소통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는 객관식 유형과 주관식으로 기술하는 유형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유형만을 채택했으며 상황을 성인들에게 맞게 몇 군데만 바꾸어서 사용하였다. 공감적 언어 표현 검사로는 Carkhuff가 개발한 것을 우리나라 문화적 상황에 맞지 않은 두 문항을 제외하고 신경일이 새롭게 제작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의사 소통 능력 검사와 공감적 반응 수준을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상담자 훈련은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001) 를 보여 동료 상담자 훈련이 의사 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동료 상담자 훈련은 공감적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001) 를 보여 동료 상담자 훈련이 공감적 언어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료 상담자를 훈련시키면 상담자로서의 자질에 필요한 의사 소통 능력과 공감적 언어 표현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동료 상담자 훈련을 받은 기독인들은 훈련 받기 전과 비교해 볼 때 훈련 받은 후에 의사 소통 능력과 공감 반응 수준에서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상담자 훈련을 통하여 상담가적 수준이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기에 상담의 인력이 절실히 필요한 이때에 동료 상담자가 준 전문가로 활동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또한 동료상담자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추후교육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훈련대상자를 한 교회에서만 선정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일반화하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겠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unselor nature of Christian was developed after the peer counselor program. In this study, in order to know whether there was the development of counselor nature, I examined two main questions. Firs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progress of communication skill for Christian trainees after the peer counselor program? Secon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progress of empathic verbal response for Christian trainees after the peer counselor program? To see above two main questions, I carried peer counselor program for adult in Hanmil church. The total number of target group was 30, which meant experiment group was 15 and contro l group was 15 people each. Communication skill test and empathic verbal response test were used for evaluating and data process was made by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The results l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for the communication ski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o the peer counselor program was valid and effective to develop communication capabilities. Second, for the empathic verbal respons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o that program was also valid and effective to develop empathic verbal response for trainees. In conclusion, the counselor nature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 and empathic verbal response can be developed through peer counseling training program. This result can be applied that if peer counselor has adequate training program, he or she can contribute to develop the counseling as a para-professional in quantitative and/or in qualitative. But the target group was selected in one church. So the generalization of this result can be limited in some sen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