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

Title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
Authors
민혜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와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가 규칙을 위반했을 때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 교사의 반응전략에 대한 유아들의 이해여부 및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교사의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유아가 평상시 규칙을 잘 지키는지의 여부로 나누어 유아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규칙 위반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 자신의 규칙 준수 정도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와 유아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2. 규칙 위반 시 교사의 반응전략에 대한 유아들의 이해정도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규칙 위반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 자신의 규칙 준수 정도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와 유아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3. 규칙 위반 시 교사와 유아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3-1. 규칙 위반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2. 유아 자신의 규칙 준수 정도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3. 교사와 유아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9개 유치원 만 5세반 20학급을 임의로 선정한 후 대상 학급당 담임교사 1명과 10명의 유아를 선정하였다. 이 때 담임교사의 협조를 구하여 평상시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와 잘 지키지 않는 유아로 구분하여 각 5명씩 선정하여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 100명,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유아 100명,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Smetana(1981)의 연구를 기초로 장금순(1988)이 선정한 규칙 위반 사례 가운데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활동 및 상황 16가지 중 사전검사를 통해 4가지 위반사례를 사용하였으며, 이 가운데 두 가지는 도덕적 규칙위반이고, 두 가지는 사회·인습적 규칙위반이다. 그리고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들의 인식의 범주는 노정화(1997)와 김선영(2001)이 사용했던 분류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와 교사를 대상으로 4가지 규칙위반 사례에 대해 개방형 질문을 하였으며, 응답을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수와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 위반 시 교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교사와 유아의 인식간에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이유묻기 와 주시하기 등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보인다고 응답한 반면, 유아들은 명령·지시하기 와 벌주기 등 부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보인다고 응답해 유아와 교사의 인식간에 차이가 드러났다. 그리고 유아가 평상시 규칙을 잘 지키는지의 여부에 따라서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와 규칙을 잘 안 지키는 유아 모두 교사가 명령·지시하기 를 가장 많이 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두 번째 응답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들은 제안하기 를 두 번째로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유아들은 벌주기 를 두 번째로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에 비해 규칙을 잘 안 지키는 유아들은 교사의 부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규칙을 잘 지키는 유아들은 교사의 반응이 당연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더 많은 반면, 규칙을 잘 안 지키는 유아들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둘째, 규칙 위반 시 교사의 반응전략에 대해 대다수의 유아들이 교사가 왜 그런 반응을 보이는지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교사들도 유아가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는 응답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의 인식에 비해 유아들의 응답 중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들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들은 사회·인습적인 규칙위반을 했을 때 잘못해서 또는 말을 안 들어서 교사로부터 야단을 맞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규칙을 위반했을 때 교사들은 가장 바람직한 전략으로 제안하기 와 이유묻기 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유아들도 제안하기 를 가장 바람직한전략으로 인식하여 교사들과 유아의 기대가 같음을 알 수 있다. ; With 5-year old children and their charged teachers in kindergarten,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on the rule-transgressions strategy teachers used to apply. Children s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strategy teachers applied, and how much teachers perceive children s understanding on their strategy. What strategy do teachers and children think to be useful? Also, it identifies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level of observing the rule, and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bject of study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perception of rule-transgression strategy teachers used? 1-1.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transgression type? 1-2.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observance degree? 1-3. Does i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perception? 2. Do Children s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strategy teachers applied, and how much teachers perceive children s understanding on their strategy? 2-1.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transgression type? 2-2.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observance degree? 2-3. Does i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perception? 3. What strategy do teachers and children think to be useful? 3-1.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transgression type? 3-2. Does it have any difference in observance degree? 3-3. Does i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perception? For the study, 20 classes of 5-year old children are randomly selected in 9 kindergartens at Seoul. Then, it divides into those children who abide by rules and those whose do not usually in cooperation with 20 charged teachers. Each group consists of 100 children selected 5 children per class. This study is with 4 cases of violation cases that made by Jang, Keumsoon(1988) based on Smetana(1981) s research, which is selected through pretest for 16 activities and situations most frequently occurred. Two of them are moral rule-transgression and the rest are social and conventional rule- transgression. For the understanding category of strategy by teachers and children, it adjusts and complements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that Roh, Jeongwha(1997) and Kim, Seonyoung(2001) accepted. Teachers and children are asked open question about 4 rule-transgression cases and then the response a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analyzed are shown in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eachers and children s perception of the most strategy by teachers when occurring rule-transgression. Teachers said finding a reason and watching as strategy they take much. But, children said ordering/directing as much as used. It shows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hile teachers answered much more positive response they show, children appeared to perceive teachers negative response much more. It finds also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m. And looking at children s perception on teachers strategy when occurring rule-transgression, most children answered ordering/directing as teachers strategy for the both moral and social and conventional rule-transgressions. It means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transgression type and observation degree. However, when children hit and quarrel against friends, suggestion is the second perceived by children who abide by rules, while those who does not perceive making a punishment as the second. It leads to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observation degree. Besides, children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negative reaction than to positive reaction when rule-transgression, especially those who does not abide by rules rather than those who does. Also, children who abide by rules appeared higher response rate that they think teachers reaction is desirable, while children who does not indicated higher response rate that teachers reaction is not appropriate. It shows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observation degree of children. Second, most children understand the reason of teachers using reaction strategy when rule-transgression and most teachers perceive children s understanding. But children said they do not know the reason, while the rate that teachers said children may not understand the reason is less than children. It appeared that teachers tend to think children s understanding much more than their real understanding. Third, what is the most desirable strategy when rule-transgressions, teachers indicated finding a reason and suggestion , and children answered suggestion as the most desirable strategy. It shows coincidence of respons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