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규라-
dc.creator김규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5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makes a profound study on effective and desirable way of choral teaching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A chorus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has much difference between a chorus done in class in that it is the activity by voluntarily organized young student group whose primary purpose is to experience the joy of singing and beauty of harmony. In this thesis, I made a profound study on defective method of chorus in order to present a desirable method of chorus teaching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following categories from the context of theoretical context of chorus education. For a practical approach, the following six sub-studies have been made. First, chorus education is not remained as a musical training aiming to develop skill but it is definitely a higher dimentional art education by which joy and beauty of music can be appreciated thus musical experience is enlarged a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can be achieved in the long run. Second,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for an extracurricular activity, a chorus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is categorized into an educational and art activity for development considering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regular music class. As is explicitly addressed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chorus education is an special activity in that through this education, students get involved in group activity out of their willingness, their personality and musical talents developed, basic requirements as a democratic citizens, we-consciousness and volunteer attitude cultivated in addition to raising individual musical responses to the utmost level. Third, when interviewing an applicants to chorus,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sidered; choral experienc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terest in music, personality, range, matching pithes, tonal memory, sight reading, singing harmony, voc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it is also to be emphasized that a daily records need to be made for a individual improvement of members from the start and that when designating a singing part, more flexibility needs to be considered. Forth, for a methodical approach, the following four areas were deeply examined. a. Foundations fo choral singing; natural posture, diaphragm breathing, chest voice, proper mixture of head voice, vowel pronunciation. b. Refining the choral sound; flexibility of part for balance and blend for choir, uniform vowel production, full voice, tempo for expressive singing, phrase, dynamics, articulation. c. Teach part singing; various types of ostinato, partner song, discant song, round, duet, trio. d. Continuity and assisting measures; body expression and use of instruments for motivation. Fifth, from those examinations above, this study presents as a desirable method of teaching as follows; introducing new songs, experiencing the whole note, partial practice, whole practice, critical appreciation and memorizing the note. Sixty, it was usual so far for teachers to select limited numbers of difficult songs for contest or performance and concentrate on repetition and practical skills. To avoid this negative trends, I strongly maintains that for the purpose of letting young choir members experience various songs and grow in harmony sensitivity, teachers should cove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ppointment music in the contest between the year of 1998~2000 and songs supported by specialists. And teachers also should give discipline to students regarding , ostinato, partner song, discant song, round, duet, trio. Also this study suggests guideline with each songs of typ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elementary school chorus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is to make young students be involved in the activity by themselves instead of one sided discipline by teachers. This study includes organization,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planning a practice, practice music. Especially when it comes to selecting a song,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let children enlarge their range of harmony experience through many kinds of notes. In the long run, through these guideline, members of chorus are involved in the activity with joy, developing their individual talents,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numerous events. ; 초등학교 특별활동 합창은 정규 음악수업의 교실합창과 다른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합창 음악 활동을 통해 노래부르는 즐거움과 아름다운 화음의 묘미를 경험하고자 하는 공동의 관심과 흥미를 가진 어린이들이 자발적으로 활동을 하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별활동 합창부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합창교육 이론에서 첫째, 합창은 단순한 기능연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 화음으로 노래하는 것을 통해 음악의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느끼고 인성을 발달시키며 고차원의 예술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키는 음악 교육임을 밝혔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 본 합창부는 음악교과의 상호 보완적인 관련 속에서 계발활동 영역의 학술 문예활동에 속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바에 따라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개성과 소질을 계발, 신장하고, 공동체 의식과 자율적인 태도를 기름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함양하고 개개인의 음악적 반응을 최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특별활동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합창부를 조직할 때 인터뷰를 통해 합창경험여부, 악기의 연주여부, 음악에 대한 관심도, 음역, 화음감각, 인품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음역, 음정의 정확성, 선율 기억력, 시창, 화음 노래부르기, 음질, 전체적인 평가를 고려해 합창부원을 선발하고 위의 내용을 토대로 일지를 만들어 선발과정에서부터 개개인의 성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것과 파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한적이기보다는 유동적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합창 연습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지도 내용 및 방법을 합창의 기초적인 면에서 자연스런 자세와, 황경막 호흡, 흉성과 두성 발성의 적절한 혼용, 모음발음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소리 다듬는 면에서 소리의 균형과 융합을 위해 파트의 유동성, 음색통일, 풍부한 소리를 강조하였고, 표현력 있는 합창이 되기 위해서 템포, 프레이즈, 다이나믹, 아티큘레이션을 가사와 연관시켜 그 관계를 파악하고 지도해야함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파트를 지도함에 있어서 앙상블을 서두르지 말고 다양한 유형의 오스티나토 노래, 파트너 노래, 데스칸트 노래, 돌림노래, 2부 합창, 3부 합창을 경험시켜야 함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합창교육의 지속성과 보조적 수단측면에서 동기유발을 위해 신체표현과 악기사용을 권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합창연습의 순서는 발성연습, 새 곡 소개, 악곡 전체의 경험, 부분별 연습, 악보 전체 연습, 비판적 감상 능력 계발, 암보의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강조하였다. 여섯째, 합창수업 시간에 있어서 몇 곡만을 선정해 대회나 발표회를 위한 반복 기능 연습에 치중하기보다는 어린이들에게 합창 경험의 폭을 넓혀주고 화음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연습악곡을 제시하였다. 즉 초등 음악 교과서, 1998년부터 2000년까지의 초등학교 합창대회 지정곡, 어린이 합창 전문가의 추천곡을 중심으로 오스티나토 노래, 파트너(어울림)노래, 데스칸트 노래, 돌림노래, 2부, 3부 합창 유형으로 분류하고 연습곡으로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합창 지도의 실제에서 연습에 활용 할 수 있게 악곡유형에 따른 제재악곡을 가지고 하나의 지침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별활동 합창부가 합창을 통해 올바른 인성을 기르고 음악성을 계발하고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키는 음악 교육적인 활동임을 밝혔다. 그리고 합창부 조직, 합창 지도 내용 및 방법, 연습계획, 연습악곡 선정에 이르기까지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지시보다는 어린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지도임을 강조하면서 특히 합창 연습악곡 선정에 있어서 오스티나토 노래, 파트너 노래, 데스칸트 노래, 돌림노래, 2부, 3부 합창 순으로 다양한 유형의 악곡을 경험시키는 것이 어린이들 스스로 화음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하는 방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합창부 실제 지도의 지침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재 초등학교 특별활동 합창부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II. 합창 교육 이론 = 4 A. 합창 교육의 목표 = 4 B. 7차 교육과정의 특별활동 = 6 C. 합창부 조직 = 9 D. 합창 지도내용 및 방법 = 14 E. 연습 계획 = 34 G. 연습악곡 유형 분류 = 43 III. 합창지도의 실제 = 47 A. 오스티나토 노래 = 47 B. 파트너 노래 = 51 C. 데스칸트 노래 = 54 D. 돌림노래 = 58 E. 2부합창 = 62 F. 3부합창 = 65 G. 합창제 악곡 = 68 IV. 결론 = 73 참고문헌 = 76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52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특별활동 합창 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