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은경-
dc.creator강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36-
dc.description.abstract국가의 교육이념이자 성균관의 교육목표가 이념의 수호와 관리의 양성에 있음을 표방하고 있으며 경국대전에 있어서도 이념수호와 관리양성을 성균관의 역할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성균관 교육이 가장 중요시한 것을 이 두 가지라 전제하고 성균관에서 이 두 가지 역할이 확실하게 수행되기 위해서 조선 초기 제도 정비의 시기에 교육학자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논의를 하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에 앞서 본론의 배경으로 麗末 鮮初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麗末 鮮初의 사회는 일대 변혁기로서 이 시기의 대표적인 사회변화는 바로 신진사대부의 등장이며, 동시에 이들에 의한 성리학의 수용이었다. 12세기말 고려사회에 문벌귀족을 대신해 국가 행정을 담당할 새로운 관료들로 신진사대부가 등장하였고 이들은 고려 후기 학문적 능력과 軍功 등을 통해 중앙 정계에 진출하였다. 고려말의 권문세족이 막강한 권력을 바탕으로 광대한 농장과 노비를 소유하자 신진사대부들은 권문세족에 대항하면서 개혁정치를 주장하였고, 이들 중 보다 개혁적 성향을 지닌 신진사대부들은 이성계 등의 무장세력과 연합하여 새 왕조를 개창하게 되었다. 신진사대부들은 그들의 개혁사상으로 성리학을 수용하였다. 즉, 권문세족과의 정치적, 경제적 투쟁에 있어서 성리학을 이론적 무기로 사용한 것이다. 성리학은 고려말 개혁이념으로서 나아가서는 조선의 정치이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고려말 신진사대부는 그들의 정치력을 결집시키고 성리학을 전파하는 중요한 기구로서 성균관을 이용하였는데, 成均館의 성립은 그 기원을 고구려의 태학으로 하여, 신라의 국학, 고려의 국자감, 조선의 성균관으로 이어졌다. 조선 개창 후 성균관은 새롭게 重營되었다. 성균관 重營에 대한 기록은 태조 3년부터 등장하지만, 쉽게 이루어지지 않다가 제 2의 왕자의 난 이후 입지를 확고히 한 태종이 서울로 환도한 뒤, 문묘를 재건하고 양현고의 재원을 확보하는 등 성균관 교육에 힘을 기울임으로써 이루어졌다. 바로 이 시기, 즉 15세기는 조선의 제도를 정비하는데 주력하였던 시기로, 이는 前朝와 다른 새로운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교육에 있어서도 활발한 개혁의 논의가 일어났는데, 이는 당시 국립대학이었던 성균관의 교육과 과거시험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이러한 교육 개혁 논의에 대하여 건국 초의 정도전과, 태조-태종 시기의 권근 및 태종-세종 시기의 황희의 주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왕조 교육정책 수립의 주역이었던 정도전의 교육에 대한 견해는 『朝鮮 經國典』과 太祖의 卽位敎書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는 학교제도와 과거제도를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인재 양성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또한 학교과목에 있어서도 유교적 소양을 갖추기 위해 四書五經을 중심으로 공부하고 이것은 곧 과거 시험 과목이 된다. 당시 사회는 새로운 사회를 이룬 직후이므로 전조의 폐단을 고치고 보충해야할 필요성을 가진 시기였다. 따라서 그는 座主門生의 革罷, 과거 과목과 절차의 개편, 監試의 혁거를 중심으로 하는 개혁을 주장하였다. 권근의 교육개혁안은 『勸學事目』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는 경학 중심의 교육과 과거정책의 결함을 지적하면서 문장중심의 製述論을 주장하였다. 이후 여러 논의를 거쳐 세종대에 문과초장에 製述論으로 확정되었는데, 이러한 과거정책의 변화는 교육 경향 역시 제술 중심으로 변화하게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권근의 개혁안의 기본은 경학과 문장을 겸비하여야 한다는 것이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황희는 태종대와 세종대에 활동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황희의 교육에 대한 견해는 그의 상소를 통해 알 수 있다. 그 내용의 요지는 과거에 있어서 講經의 방법은 古今에 있어 좋은 법이며 이를 철저히 시험하기 위해 시험시간의 확보와 경서의 의미를 깊이 파악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선초기의 교육 개혁 논의는 성균관이 확충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敎官職의 정비나 자격 있는 교관의 임명에도 주의를 두게 되었으며, 성균관에서 공부할 수 있는 유생의 자격에 대한 폭이나 그 특전이 넓어지게 되었다. 성균관에서 유생들이 공부하였던 교과목은 經典類, 子集類, 史記類, 古文類, 編纂書類 등 다양하였으나, 가장 중요시된 것은 四書五經이었다. 이것은 성균관 유생의 교육에 기본이 되는 교재였으며 과거시험에 응시하는데 필요한 과목의 하나였다. 사서오경의 공부를 위해 九齋法을 제정하여 단계에 따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문장을 작성하는 製述의 방법이 있어서 작문의 능력을 키우고 交隣과 事大의 외교 문서 작성에 유익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성균관의 교육은 과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었다. 이는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과시험의 내용 변화가 성균관의 교육 내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초기에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교육에 대한 개혁 논의가 등장하였고 이때마다 과거의 법은 물론 교육의 내용이나 방법까지도 변화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성종대에 와서 『經國大典』에 어느 정도 규정되었으나 이 이후에도 끊임없이 논의되고 발전되었다. 이와 같이 확충된 성균관은 앞서 전제하였던 것처럼, 조선 사회에 대표적인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 하나는 유학 진흥의 역할이다. 조선은 유교이념이 통치의 근본이념이었다. 따라서 고려말 전래된 성리학은 백성과 유생을 대상으로 전파되어야 했으며 당시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은 성리학의 이념을 연구·보급하는 중심체의 역할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성균관 교육과 과거의 과목 및 九齋法의 제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른 하나는 인재 양성의 역할이다. 신진사대부는 고려말 그들의 입지를 굳히기 위한 방책으로 성균관을 정비하였고, 성균관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에 알맞는 인재들을 양성하고 등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성균관 교육을 장려하기 위하여 九齋法과 圓點制를 시행하고 또한 성균관 유생들에게 과시특전 등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는 성균관의 제도적 정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성균관 교육의 장려가 무엇을 위해서 , 어떻게 노력하였는가 에 역점을 두었다. 즉, 조선 초기에 활발하게 일어났던 교육 개혁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성균관이 자리를 찾고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음을 강조하였다. ; Major change in late Koryo and early Chosun is the appearance of Shinjinsadaebu and the acceptance of Sungrihak(性理學). As Kwonmunsejok exercised strong power, Shinjinsadaebu insisted on political reform, and established a new dynasty, united with armed power such as Lee Sung-gye. Shinjinsadaebu accepted Sungrihak as their ideology of reform, and it functioned as political ideology of Chosun. Looking at the developing process of Sungkyunkwan, we can find the origin from Taehak in Kokuryo, Kukhak in Shilla, Kukjagam in Koryo and Sungkyunkwan in Chosun. A record on Sungkyunkwan starts from third year of King Taejo s regime. However, it didn t come true easily, and the building of Sungkyunkwan started its construction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 s regime. Having consolidated its position since the second Prince s war, King Taejo concentrated on Sungkyunkwan education including re-structuring a Confucian shrine after coming back to Seoul. In the 15th century, there were a lot of discussions of educational reform part of system improvement of Chosun Dynasty. Jung Do-joen tried to smooth the growth of competent people by organically connecting school system and the state examination. Also, school subjects were focused on the Nine Chinese Classics to make them have Confucian culture. Society at that time was needed to correct the past s evil and make a supplement. Kwon Keun s plan for educational reform is known through his 『勸學事目』. Indicating the defects of Chinese classics-focused education and the past s policy, he insisted on the theory of literary composition which is focused on sentences. Since then, the past s policy had changed, and educational trends also had changed into literary composition. However, the very basic of Kwonkeun s reform plan is to have the ability of Chinese Classics and literary composition. Hwang Hee appealed to the king on the insufficiency of "科擧三場法", and he suggested a plan for strict testing at the state examination, insisting on the law of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This suggestion was not actively accepted, but it show that they made efforts to reform the system of the state examination for the reform of education and its related system. Thanks to these discussion of educational reform in early Chonsun dynasty. Also, the system of Sungkyunkwan was expanded in may ways. Education at Sungkyunkwan was changed, closely relating to the state examination. It is because the change of the contents of the test for Sungkyunkwan students was an important issue in mak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ungkyunkwan. Sungkyunkwan played two representative roles in Chosun dynasty. First, the role of Sungkyunkwan is promoting Confucianism. Confucianism was the basic ideology of Chosun s ruling. Accordingly, Sungkyunkwan plays the main role of studying and distributing Confucianism. The second role of Sungkyunkwan is raising competent people. Sungkyunkwan was the mecca of raising men of ability for a new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머리말 = 1 II. 麗末鮮初 敎育 改革 論議의 대두 = 3 1. 麗末의 사회변화와 成均館 = 3 (1) 麗末의 사회변화 = 3 (2) 成均館의 成立 = 8 2. 朝鮮初期 교육 개혁 논의 = 14 (1) 鄭道傳의 敎育改革論 = 14 2) 權近의 勸學論 = 23 (3) 黃喜의 敎育振興論 = 31 III. 成均館의 확충과 역할 = 36 1. 成均館의 확충 = 36 (1) 人事 = 36 (2) 敎育課程 = 48 2. 成均館의 역할 = 54 (1) 유학의 진흥 = 55 (2) 인재의 등용 = 58 IV. 맺음말 = 62 참고문헌 = 6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5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朝鮮 初期 敎育改革論議와 成均館의 役割 : 太祖-成宗代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