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공미라-
dc.creator공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35-
dc.description.abstractHistorical novels were translated or created from 1905 to 1910 as a way of patriotic and enlightening movement. These novels were outcomes of patriotic and enlightening movement, and they have strong national spirits and historical senses as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t will be more meaningful to examine a historical background at that time rather than underestimating these novels through literary criticism. Hereby, this paper is intended to grasp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se historical novels which were translated or adapted in this period of time. For this study, I chose a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study is limited to some historical novels and fictional biographies which are judged to have historical meaning. Hereb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four; first, it examines the publishment of historical novels and fictional biographies. Through this study, I examined a social background and outer influences. And second, history-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writers of historical novels and fictional biographies, and writers ideology in various aspects. Historical novels at that time. Third, historical novels at that time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with the development of journalism, and they were published in a book form. Also, I looked at Japanese colonists response to it. Generally examining the achievements of historical novels, I tried to criticize the historical status of historical no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triots such as Jang Ji-yeon, Shin Che-ho, Park Eun-shik and Hyun Chae translated historical novels to promote the public s patriotism. Materials of their translated novels are mainly history of national decay or independence that describes the history of western heroes. These novels of heroes came from great aspirations of heroes, which was prevailing at that time, and it brought the appearance of creative novels. Patriotism and enlightening ideology that was intended to deliver to readers is well presented in a foreword or an epilogue. It is more like adaptation that translation, and it promoted our nation s willpower of self-reliance. Second, historical novels were issued in Daehan Daily newspaper, and they had the number of their readers expanded. However, Japanese imperialists suppressed them, and their satire and critical ideology prevented them from being issued in newspapers. Third, historical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a book form, were popularized through newspaper ads, and grew with their readers expanded. However, they were banned by the publishing law of Japanese imperialists. Fourth, historical novels were utilized as the textbook of private schools before the period of patriotic and enlightening movement. Feeling threatened by the expansion of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education, Japanese imperialists suppress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by making an authorization for textbooks. After all, these historical novels were prohibited from publishing or using. Through the study as written above,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the historical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between 1905 and 1910, and suppression by Japanese imperialists. historical novel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levation of out nation s will of self-reliance at the time of Japanese colonization with their practicing spirit of resistance. Hopefully, more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usage of curricula of schools and night schools, which were prevailing at that time, and the traces of historical novels after 1910. ; 개화기 번역된 역사 소설이란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1905년경부터 1910년 사이에 애국계몽사상가들에 의해 번역된 작품들이다. 이들 역사 소설은 애국계몽운동의 소산이었으므로, 애국심에 호소력이 강한 만큼 투철한 민족의식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문학적 평가를 통해 그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것보다는, 그 당시 시대적 필요성에 맞추어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애국계몽기에 번역·번안된 역사 소설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 조사 방법을 택했으며, 연구 범위는 애국계몽기에 번역·번안된 작품들 중에서 민족 의식의 고취에 이바지했다고 판단되는 역사 소설로 한정지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내용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우선 첫째, 개화기 역사 소설의 발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배경, 외래적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개화기 역사 소설의 작가, 소재, 작가 의식 등 역사성과 관련하여 특색을 다각도로 분석해 살펴보았다. 셋째, 개화기 역사 소설의 대중화와 역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역사 소설은 당시 저널리즘의 발달에 힘입어 신문과 잡지에 연재소설로 전달되었으며, 신문 광고를 통해 대중화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구국 교육운동에 힘입어 사립학교의 역사교과서로 활용되어 민족의식을 자각시키는데 기여했는데, 이러한 출판 형태에 따라 사회에 끼친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에 대한 일본측의 대응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소설이 갖는 애국계몽운동으로서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알아보고, 민족문화사에서의 史的 위치를 평가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애국계몽운동가였던 장지연, 신채호, 박은식, 현채 등의 애국지사들은 소설을 통해 대중에게 접근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역사 소설을 번역하였다. 이들이 번역한 소설의 소재는 주로 亡國史나, 獨立史 등의 내용으로 우리 민족의 운명과 연관 있는 다른 나라의 외국사였으며, 혹은 서구 영웅의 일대기를 다룬 전기 소설이었다. 이러한 영웅 소재의 소설은 당시 팽배했던 영웅대망론에서 나온 것이었으며, 뒤이어 우리 민족 영웅의 일대기를 그린 창작소설의 등장을 가져왔다. 소설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애국계몽사상은 작가의 서언(序言)이나 발문(跋文)에 잘 나타나는데, 번역보다는 번안에 가까운 정도로 우리 민족에게 자립 의지를 고취시키고 있다. 둘째, 역사 소설은 애국계몽운동의 선두 주자인 대한매일신보에 연재되어 독자층을 확장해간다. 그러나 비판적 사상과 풍자성 때문에 일제의 언론 탄압이 이루어졌고, 한일합방 이후 민족지의 폐간과 함께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셋째, 단행본 서적으로 출간된 역사 소설은 신문 광고를 통해 대중화되고 새로운 독자층을 확대해 가면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출판법에 따라 판매금지 혹은 발매금지 처분을 당하였다. 넷째, 역사 소설은 애국계몽기 이전부터 사립학교의 외국사 교과서로 활용되고 있었다. 사립학교의 확장과 민족교육에 위협을 느낀 일제는 사립학교법과 교과용도서 검인정안을 만들어 교과서 내용에 탄압을 가하였다. 결국 정치적인 이유에 의해서 역사 소설은 역사 교과서로서도 발매금지, 사용금지 처분을 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1905년부터 1910년 사이에 간행된 역사 소설의 특성과 보급, 그리고 일제의 탄압을 알아보았다. 역사 소설은 그 어떤 문학 형태보다도 저항성을 내포하는 실천 문학으로 일제에 의해 탄압 받기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고취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 외에 바램이 있다면 당시 유행했던 서당과 야학에서의 교육과정에의 활용도와 1910년 이후 역사 소설의 자취에 대해 연구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 3 3. 연구 범위 및 방법 = 4 4. 연구의 한계점 = 5 II. 개화기 역사 소설의 발간 = 6 1. 정치적 배경 = 6 2. 사회·문화적 배경 = 7 (1) 개화 의식의 고조 = 7 (2) 사회 개혁의 흐름 = 8 (3) 인쇄 문화의 보급 = 10 3. 외래적 영향 = 11 (1) 청의 영향 = 11 (2) 일본의 영향 = 13 4. 역사 소설의 출현 = 14 III. 개화기 역사 소설의 분석 = 19 1. 작가의 의식 구조 = 19 2. 소재의 분석 = 23 3. 소설 속에 나타난 번역자의 의도 = 27 4. 독자층의 반응 = 39 IV. 개화기 역사 소설의 대중화와 시대적 의미 = 43 1. 신문 연재소설로서의 역사 소설 = 43 2. 단행본으로서의 역사 소설 = 50 3. 교과서로의 역사 소설 = 57 4. 역사 소설의 시대적 의미 = 73 V. 결론 = 75 참고문헌 = 77 ABSTRACT = 80 부록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95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개화기 역사 소설의 시대적 의미 고찰 : 1905년-1910년의 번역소설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