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1 Download: 0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Title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Authors
김미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일상생활의 감각경험에 대한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반응행동을 통해 두 집단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발달장애아동으로는 자폐와 전반적발달장애(PDD)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Dunn등의 Short Sensory Profile(SSP)척도를 번안한, 부모가 아동의 반응행동을 평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우선, 질문지의 문항 정련 작업으로 문항-총점간 상관검토와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완성된 척도로 일반아동과 자폐/PDD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척도의 총점과 7개 하위요인별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집단을 각각 학령전기와 학령기의 연령집단으로 나누어 연령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두 집단의 각각에서 성별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세부터 10세까지의 일반아동 186명과 자폐나 PDD진단을 받은 아동 95명이었다. 일반아동은 특수교육이나 치료를 받지 않는 아동이었고, 발달장애아동은 의사로부터 자폐나 PDD진단을 받은 아동이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문지 척도에 대한 문항 정련 작업으로 문항-총점간 상관검토와 요인분석을 실행한 결과, 총 38문항에서 2문항이 제거되었고 모든 문항은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척도 전체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서 내적 합치도는 .9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요인을 내용적으로 분리하여 7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2. 일반아동과 자폐/PDD아동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척도의 총점과 7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자폐/PDD아동의 점수가 낮았다. 점수가 낮을수록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자폐/PDD아동은 일반아동과 달리 일상생활의 여러 감각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 일반아동과 자폐/PDD아동을 각각 학령전기와 학령기의 연령집단으로 나누어서 연령집단간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폐/PDD아동은 연령집단간 차이가 없었는데 이것으로 이들이 연령의 증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일반아동은 총점과 4개의 하위요인에서 학령기의 평균이 학령전기의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본 연구의 사례수가 적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4. 일반아동과 자폐/PDD아동의 각각에서 성별 비교를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Dunn의 SSP척도를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일반아동과 자폐/PDD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자폐/PDD아동이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갖는다는 외국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조절, 감각처리를 주제로 한 첫 연구로서,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갖는 자폐/PDD아동을 위한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갖는 다른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연구와 그들을 위한 표준화된 검사도구 개발에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The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autism or PDD children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To accomplish this goal, was translate and change of Short Sensory Profile(Dunn, 1999). the first step was perform factor analysis, items-total raw score relations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Then,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as compared. Also, each two Age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ere compared. Finally, gender of eac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8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95 autism or PDD children aged 3 to 10 years.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d not have disability but autism or PDD children had been diagnosed by physicians. All parents of the subjects completed the scale of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e study have shown as follows: 1. Comparison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ren. Ther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otal score and sub factor score. This results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uggest that autism or PDD children had sensory precessing difficulties. 2. Comparison of Ag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ge groups differences of autism or PDD childre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ge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n fore sub-factor score and total score. 3. Comparison of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ender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utism or PDD childe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s the fact that differences between typical children and autistic PDD children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cern with those from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sensory processing of autism or PDD childen. This study implies an first research about th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lso, the scales utilized this study can be used to screening the autism or PDD childen with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tool for various disabilities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