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수임-
dc.creator배수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 과정의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에 나타난 전통 음악의 내용이 초등 학교 음악과 3, 4학년 교과용 도서에서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 과정과 초등 학교 3, 4학년 교과용 도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 음악의 음악 요소를 제7차 음악과 교육 과정 중 이해 영역의 7가지 음악 요소인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단선율 위주의 전통 음악에는 없는 요소인 화성은 제외시켰다. 본 연구는 이 음악 요소가 교과용 도서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하고, 이 내용이 활동 영역의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과 어떻게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이해 영역 중 리듬은 박자 표기나 장단의 제시 방법에서 이전 교육 과정 보다 많은 진전이 있었으나 장단 제시에 있어 난이도의 고려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가락에서는 제재곡의 대부분이 미 , 라 , 도 의 3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시김새 표현으로는 요성 표현이 주로 나타났다. 형식에서는 메기고 받는 형식 이 주로 나타났고 장구와 소고에 의한 연주 형태와 민요, 전래동요 등의 악곡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셈여림과 빠르기에서는 세고 여림 과 느리고 빠름 이라는 기본적인 형태가, 음색에서는 목소리나 타악기, 현악기 음색이 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2. 활동 영역 중 가창 활동에서는 듣고 따라 부르기 와 기본박 치며 부르기 가, 기악 활동에서는 장구와 소고에 의한 기본박 치기 와 장단 치며 노래하기 가, 창작 활동에서는 노래 가사 바꾸기 와 2음, 3음에 의한 가락 짓기 가, 감상 활동에서는 3학년에 악곡의 분위기에 맞는 신체 표현하기 와 4학년에 악곡의 특징 구별하기 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초등 학교 3, 4학년 교과용 도서에서는 이해 영역과 활동 영역이 비교적 잘 통합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4. 제7차 음악과 교육 과정과 교과용 도서에서는 전통 음악에 관한 내용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This thesis sets out to analyze how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are applicable to the textbooks.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and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ecause the analysis of koren traditional music does not have a systematic method, the field for analyzing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ven elements of rhythm, melody, harmony, form, expression, tempo, and timbre.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se seven elements are connected with music activity in th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are as following; 1. The curriculum on rhythm is more developed in marking beat and indi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s Changdan than the curriculum of past textbooks. However, the explan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exposition on Changdan is inadequate. The traditional songs in the textbooks mostly consist of three notes, mi , la , do , and Yoso˘ng in these songs are apparent as the expression of Sikimsae. Harmony is not apparent because all songs in the textbooks consist of an unaccompanied single melody. Form is mostly apparent as Megigo- Badgi style with Changgu and Sogo accompaniment, the form of folk song and traditional nursery rhyme. The expression and tempo are apparent as the basic types of loud and soft and fast and slow . timbre is apparent through the use of voice, percussion instruments and stringed instruments. 2. In student music activities, singing focuses on listening and following songs , performing focuses on beating with Changgu and singing while beating , composing focuses on changing the lyrics and improvising two notes and three notes , listening focuses on making gestures according to the mood of musical pieces in third grade and making a distinction distinguishing musical peculiar expressiveness between music in fourth grade. 3. The fields on understanding and activity have a comparatively intergrated in the textbook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s. 4.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propose the substance of Korea traditional music in more detail than past textbooks, but should be complemented with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er trai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학교에서의 전통 음악 교육의 중요성 = 6 B. 교육 과정의 변천에 따른 전통 음악의 내용 = 8 C. 제7차 초등 학교 음악과 교육 과정 개관 = 12 D. 선행 연구 고찰 = 17 III. 제7차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전통 음악의 내용 분석 = 20 A. 초등 학교 3, 4학년 교과용 도서의 전통 음악 제재곡 구성 = 20 B. 초등 학교 3, 4학년 교과용 도서의 이해 영역 내용 분석 = 23 C. 초등 학교 3, 4학년 교과용 도서의 활동 영역 내용 분석 = 38 IV. 결론 및 후속 연구 = 50 A. 결론 = 50 B. 후속 연구 = 51 참고 문헌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50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 과정에 나타난 전통 음악 내용 체계에 관하여 :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