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혜숙-
dc.creator안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애착장애/애착문제 치료시, 아동 치료 이외에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어머니 집단 치료를 실시함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하여 어머니 치료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하였다. 이에, 부모치료교육 참여군과 비참여군간 애착과 관련한 어머니 요인들의 변화를 실험 전·후로 비교하였다.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표상, 부모-아동 상호작용, 어머니 우울감,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등이 평가되었다. 또한, 아동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아동의 발달수준, 아동의 애착유형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5세의 애착장애/애착문제가 있는 아동과 어머니 10쌍이다. 부모치료교육에 참여 아동-어머니 5쌍과, 아동치료만 받은 아동-어머니 5쌍이 선정 되었다. 부모의 아동에 대한 내적실행모델을 알아보기 위해 Zeanah, Beonit & Barton(1986)에 의해 개발된 `아동에 대한 내적 실행모델 인터뷰 를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은 Mash & Terdal(1990)이 사용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평가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 우울척도는 Beck의 BDI를 이은영(1981)이 번안한 것을, 결혼만족도는 M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영역의 발달을 평가하고자 사회성숙도 검사와 덴버발달선별검사가 실시되었고, 낯선상황절차를 통해 애착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 부모 치료교육 참여군과 비참여군 어머니들의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을 비교한 결과, 참여군 어머니들에게서 부모치료교육 참여 후에 아동에 대한 내적 표상이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특히, 변화의 개방성, 개입강도, 일관성, 민감성 영역에서 참여전보다 의미있게 상승되었다. 2. 부모 치료교육 참여군과 비참여군 어머니들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비교한 결과, 참여군 어머니들은 상호작용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침해성, 주의, 민감성, 반응성에 있어서 의미있는 상승을 보였다. 비참여군 어머니들은 사전·사후에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부모 치료교육 참여군과 비참여군 어머니들의 우울감, 결혼만족정도, 양육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변화가 의미있지 않았다. 그러나, 두집단 모두 우울감이 낮아졌으며, 참여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한 반면, 비참여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의 감소가 나타났다. 4. 부모 치료교육 참여군과 비참여군 어머니의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수준, 애착유형 변화를 비교하였다. 참여군 어머니의 아동에게서 발달수준에서 의미있는 상승이 나타났으며, 애착유형도 안정애착이 없던 것에서 2명이 안정애착으로 변화하였다. 비참여군 어머니의 아동은 발달수준에서 평균 개월수의 상승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사후 검사에서 안정애착이 관찰되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parent group psychotherapy in treatment of disturbance /disorder for Attachment children. In this study, in order to carry out for the treatment for the mother group, two groups were set up, one for the 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5 pairs of mother and children and the other for non-participant group of which consisted 5 children. The children were between 3-5 years of age and diagnosed as disturbance /disorder for Attachment by psychiatrists and clinical psychologis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Working Model of Child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participa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participant group after the treatment especially. The changes of openness to change, intensity of involvement, coherence, caregiving sensitivity, more developed. Second, after the treatment of mother participant group, the mother-child interaction score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especially. The score of intrusiveness, attention, sensitivity, responsiveness changed positively. Third, comparing to the two groups, in the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and the Maternal str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pre-post test. Finally, disturbance /disorder for Attachment children of participant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f several parts of development that are Individuality, Sociality, Fine-motor movement and Gross-motor movement from DDST. And The types of attachment in participant group children changed from insecure to secure partially. In conclusion, parent group psychotherapy for disturbance /disorder for Attachment turns out to be useful improving Mothers internal represent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much higher than those of non-participant gro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5 1. 애착이론 =5 2. 애착과 관련된 어머니 변인 = 6 3. 애착문제에 대한 치료적 = 12 III. 연구방법 = 17 1. 연구대상 = 17 2. 측정도구 = 18 3. 연구절차 = 25 IV. 연구결과 = 27 1.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집단간 사전동질성 검증 = 27 2. 참여군과 비참여군 어머니의 실험 전·후 변화 비교 = 29 3. 참여군과 비참여군 아동의 실험 전·후 변화 비교 = 37 V. 결론 및 논의 = 39 참고문헌 = 44 부록 = 52 영문초록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7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애착장애 애착문제 아동의 부모 집단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