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라-
dc.creator김희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 문학 교육에서 희곡이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실정과, 교육 현장에서 희곡이 지니는 연극성의 본질이 무시된 채 문학성에만 치우친 파행적 수업으로 흐르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는 데서 출발하게 되었다. 희곡은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하기에 본질적으로 문학성과 연극성이라는 이중적 특성을 지닌다. 희곡은 상상력의 확대, 전인적 인간성 함양, 삶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함양시키는 측면에서 문학 교육의 목표에 가장 충실하게 부합될 뿐만 아니라 말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언어 교육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희곡에 대한 관심이나 희곡 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그나마 기존에 이루어진 희곡 지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가 희곡을 독서물로만 간주한 읽기 지도 방안이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과정에서 희곡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자연스럽게 희곡이 지니는 연극성의 본질을 체득할 수 있도록, 공연을 중심으로 하는 희곡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공연 중심 희곡 수업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희곡의 본질적 특성 및 문학 교육에서 희곡 교육이 갖는 의의를 다루고, 7차 교육과정의 문학교육 목표 및 내용에 비추어 희곡 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현행 희곡 교육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먼저 현재 제 6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 및 18종 문학 교과서를 토대로 작품 현황과 수록 부분의 적절성, 그리고 희곡의 연극성은 배제된 채 문학성에만 치중된 학습 목표 및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서 참고적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희곡 교육 실태를 조사한 바 있는 몇몇 선행 연구들의 설문조사 결과 가운데 의미 있는 대목들을 정리하여 소개했다. 4장에서는 실제 공연을 주축으로 하는 희곡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독자적인 희곡 수업의 교수-학습 모형을 극본 분석 단계, 형상화 준비 단계, 공연 단계, 심화 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에 해당될 학습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어서 실제 희곡 작품 이근삼의 <원고지>를 이 모형에 적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지도 방안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업에서 예상되는 기대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적으로 희곡 교육은 교사의 설명이 중심이 된 읽기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생 스스로 연극 체험을 할 수 있는 입체적 수업이 되어야 할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문학 교육 현장에서 희곡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어야 함은 물론 희곡의 특수성을 살린 독자적 교수-학습 모형이 더욱 활발히 모색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임을 언급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real current problem that drama has been more neglected than the other genres of literary works, and (it has been) accounted much of theoretical lesson as a genre of literary works in defiance of putting it on a stage in the present literary education. As a matter of fact, Drama essentially has two specific characters : One is a property of literary work and the other is a play acting on a stage. Drama is of great value in that not only falls well in the aim of literary education because it has magnified our imagination, cultivated the human nature for the whole man,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life but also has a good effect o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proceeded in order that students, learning drama in class, may have interests about drama and know it is a play acting on a stage as follows : In chapter II, I have treated drama in nature and the meaning of drama instruction in the field of literary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sement for teaching drama as a play acting on a stage, and also, the purpose of literary education and the forward direction of drama education in the 7th educational process. In chapter III, I have examined the problems of current drama instruction and its adequate volume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text and 18 kinds of literary books, and the aim of learning valuating drama in literature in defiance of putting it on a stage. Also, I have introduced some studies o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drama through historical commentaries. In chapter IV, I have declared the real teaching method of drama by acting on a stage. In the first place, I have divided the model of teaching method of drama into four steps : ① analysis of a play ② preparation of form ③ acting on a stage ④ deepening. I have concretely explained how to study the drama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four steps. Furthermore, in truth, I have developed the lesson programs of drama applied above four steps with a play named The Manuscript Paper by Lee Keun Sam in the first grade class of the high schools. In chapter V, in conclusion, I have declared that the drama education should be (so called three-dimensional learning) a play acting on a stage, not reading materials for students by teac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w teaching method of drama and the growing care of it should be studied and grown up more and mo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개관 = 4 C. 연구 방법 = 13 II. 공연 중심 희곡 수업을 위한 이론적 토대 = 15 A. 문학 교육과 희곡 교육 = 15 1. 희곡의 본질 및 특성 = 15 2. 문학 교육에서 희곡 교육의 의의 = 17 B. 7차 교육과정과 희곡 교육의 방향 = 21 III. 현행 희곡 교육의 제 검토 = 29 A. 교과서 수록 희곡 작품 검토 = 29 1. 작품 현황 및 문제점 = 29 2. 수록 부분의 문제점 = 40 3.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의 문제점 = 46 B. 수업 현장에서의 희곡 교육 실태 조사 소개 = 56 IV. 공연 중심의 희곡 지도 방안 = 63 A. 희곡 수업을 위한 전제 = 63 1. 문학 수업의 원리 = 63 2. 희곡 수업의 전제 = 65 B. 공연 중심의 희곡 수업 모형 = 68 1. 극본 분석 단계 = 72 2. 형상화 준비 단계 = 73 3. 공연 단계 = 75 4. 심화 단계 = 76 C. 수업의 실제 - 이근삼 <원고지> = 78 1. <원고지>를 채택한 이유 = 79 2. 교수-학습 전개 = 80 3. 평가 기준 = 101 D. 기대 효과 및 문제점 = 107 V. 결론 = 110 ※ 참고 문헌 = 113 ※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56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공연 중심의 희곡 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국어 및 18종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