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6 Download: 0

80년대와 90년대 청소년 잡지에 나타난 소비 이데올로기 연구 : '하이틴'과 '쎄씨'를 중심으로

Title
80년대와 90년대 청소년 잡지에 나타난 소비 이데올로기 연구 : '하이틴'과 '쎄씨'를 중심으로
Authors
차승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modern society, consumption has been having an important meaning not only as simply an economic activities, but also as a social and cultural way of life which indicates each individuals social identity and status, and it also has merged as a core element that makes it possible to manage and change the late period of capitalistic society. Korea s late period of capitalistic consumption culture has been built up since the latter part of 80 s, accelerated by rapid industrialism, growth in political freedom, change to liberal social circumstances. This sudden influx of comsumption culture also brought various changes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for the development of teenagers consumption culture. This is because they have grown in a wealthy economic surroundings, accustomed in sensible image through visual media such as TV, etc., and consequently, the economic market was aggressively form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What plays a decisive role in producing and developing this consumption culture is mass media, which makes it possible to keep and reproduce this consumption culture by inducing consumption through various consumption discourse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hange of teenager s magazines, Highteen for 80 s magazine and Ceci for 90 s one, in contents, way of expression and way of production, etc., by focusing on the change in teenagers magazines followed by the rise of their consumption culture, and has analyzed the consumption discourse in Ceci, consumption ideology in it, and the interactive between mass media and consumption culture. greatly affects on the way of production and production of consumption discourse in media. Also for contents, Highteen was mainly focused on entertainers, literature, today s people and society while Ceci was increasingly on fashion, beauty and new trend with consumption cultural code for entertainers, which shows a remarkable inclination on consumption. I look into the consumption discourse of teenagers magazine in 90 s by splitting it into two contents, mechanism which produces consumption discourse and consumption discourse produced by the title of pictorial and caption. Ceci s consumption discourse was produced through the interactive of three elements, desire for teenagers to achieve the information on products, desire for capital to enhance the sales through the magazine, desire for media to meet the needs of readers, and was formed in the course of planning of consumption discourse , decision of subject on consumption discourse , and delivery of consumption discourse , respectively. The title of pictorial is divided into four types, contents summarized type, value added type, style added type and fashion instigated type according to the style of expression on consumption discourse, and it drove readers to accept the consumption discourse by expressing the value of products in an implicit and sensible way. Caption also provides readers, who have gotten the interests on consumption discourse through the title, with concrete information on products and it led them to actually buy the products from the desire for purchase. Ceci s consumption discourse brought teenagers to get interested in seasonal new products, information on specific products forming a strong consumption discourse leading teenager s main fashion trends. It was recognized as well that the production of Ceci s consumption discourse has included consumption ideology to reproduce consumption culture by means of adding symbolized value on consumption, emphasizing aesthetic innovation and producing fashion. Through the study, teenager s magazine of 80 s defined readers as students and delivered the articles primarily on the scandals of entertainers and students school life whereas that of 90 s was all-round magazine which contains various trends of current consumption culture targeted on teenagers who is the leader of consumption . I could also confirm through this study that the development of teenagers consumption culture changed the contents of media and the way of production, and the magazines for Korea s teenagers, presently, affected to the society as a medium to produce strong consumption discourse apart from those of 80 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rough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eenagers magazine have been changed to focus on consumption discourse since the first period of 90 s, that the consumption culture of teenagers has been tremendously increased in Korean society, and this has been playing a great role to teenagers as their dominated way of life. ; 현대 사회에서 소비는 단순한 경제활동의 차원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과 지위를 나타내는 사회문화적 생활 양식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고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와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기제로 부상하였다. 한국의 후기 자본주의적 소비문화는 80년대 후반 이후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급속한 산업화, 정치적 자유의 신장, 자유분방한 사회 분위기의 변화 등에 의해 촉발되었다. 이러한 소비문화의 급부상은 한국 사회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새로운 청소년의 소비문화를 발달시켰다. 이는 현재의 청소년 층이 풍요로운 경제 환경에서 성장했고, TV 등 영상매체를 통해 감각적인 이미지에 익숙해져 있으며, 이러한 청소년 층의 특성을 이용해 자본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만들어낸 데에서 기인한 현상이다. 소비 문화의 생산과 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대중매체로, 소비문화를 반영, 전파시키는 한편 다양한 소비담론 생산을 통해 소비를 유도하고 조장하여 소비문화의 유지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문화의 부상에 따른 청소년 잡지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80년대 잡지인 하이틴과 90년대 잡지인 쎄씨의 소재와 표현방식, 제작 방식 등의 변화를 살펴보는 한편, 쎄씨가 생산하는 소비담론과 그 속에 내재된 소비 이데올로기, 그리고 대중매체와 소비문화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우선 하이틴과 쎄씨의 통시적 변화 분석을 위해 각 매체의 광고, 화보, 기사 텍스트의 구성비와 내용의 변화를 비교 분석했다. 하이틴은 기사가 광고, 화보 텍스트의 두배 가까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쎄씨에서는 광고가 매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고 소비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화보도 4배 이상 증가해 하이틴에 비해 쎄씨에서 소비담론 생산에 적합한 광고, 화보 텍스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 하이틴에서는 문구 서적, 식품, 의료 광고가, 쎄씨에서는 의류, 화장품, 잡화, 미용 광고가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쎄씨는 하이틴에 비해 보다 많은 상품에 대한 브랜드와 가격, 특장점, 활용법 등 다양한 소비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므로써 강력한 소비담론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쎄씨의 화보는 자본의 적극적인 협찬을 통해 소비 담론을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매체의 제작과정과 매체의 소비 담론 생산에서 자본의 상업적 전략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사의 내용에서도 하이틴은 연예인, 문학, 화제인물, 사회 등이 주를 이룬 반면 쎄씨는 패션, 미용 등에 대한 기사가 중심이 되었고, 연예인의 소비문화 코드를 담는 새로운 경향이 크게 증가해 뚜렷한 소비주의적 성향을 나타냈다. 90년대 청소년 잡지의 소비 담론 생산은 크게 소비담론이 생산되는 매커니즘과 화보 제목과 캡션이 생산하는 소비담론의 내용 등 두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쎄씨의 소비담론은 소비상품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청소년 독자의 욕구, 청소년 잡지를 통해 상품 판매를 극대화하려는 자본의 욕구, 그리고 청소년 독자의 매체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매체의 욕구, 이 세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산되며, 소비담론의 기획 , 소비담론의 대상물 결정 , 소비담론의 전달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화보의 제목은 소비 담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내용요약형, 단순가치부여형, 스타일 부여형, 유행 선동형으로 분류되는데 화보에서 소개하는 상품의 가치를 함축적, 감각적으로 표현하므로써 소비 담론이 독자들에게 소구되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캡션은 제목을 통해 소비담론에 관심을 가지게 된 독자들에게 소비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독자의 구매욕구가 실제 구매 행위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쎄씨의 소비 담론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시즌별 신상품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고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와 가치를 제공해 청소년 소비문화의 유행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강력한 소비 담론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러한 쎄씨의 소비 담론 생산에는 소비의 상징적 가치를 부각시키며 상품의 미적혁신을 강조하고 유행을 생산하므로써 소비문화를 재생산하려는 소비 이데올로기가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 80년대 청소년 잡지가 독자를 학생 으로 규정하고 연예기사, 학창생활과 관련된 기사를 중점적으로 전달하는 잡지였던 반면, 90년대의 청소년 잡지는 소비주체 로 사회적 위상이 달라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비문화의 다양한 유행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잡지라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유의미한 현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청소년 소비 문화의 발달이 청소년 매체 내용과 생산 방식에서 뚜렷한 변화를 가져왔고 현재 한국의 청소년 잡지는 80년대의 청소년 잡지와 달리 강력한 소비 담론의 생산자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손쉽게 이용하는 잡지의 내용이 9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소비 담론 생산에 중심을 두는, 전면적인 내용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청소년 소비문화가 크게 발달했고, 이 소비문화는 청소년들에게 지배적인 삶의 양식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시대적 변화상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