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어휘력이 텍스트 이해 및 회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휘력이 텍스트 이해 및 회상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읽기 활동에 있어서 주어진 텍스트와 관련하여 어휘력을 갖춘 경우와 어휘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 읽기 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읽기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장에서는 읽기의 중요성과,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어휘력과 독해력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방법을 소개하였다. II장 이론적 배경은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읽기의 세 가지 과정 모형인 상향식 모형, 하향식 모형, 상호작용 모형을 살펴봄으로써 읽기의 개념을 정리하고, 읽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어휘력과 독해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휘력과 독해력과의 관계는 Anderson & Freebody가 제시한 세 가지 가설인 도구 가설, 언어적성 가설, 지식 가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도구 가설에 대한 반대 주장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의 한 과정으로 학생들에게 어휘 학습을 실시하였다. 이때 어휘 학습의 방법은 국어사전식 학습이 아니라, Clarke & Nation이 제시한 문맥을 통한 추측 전략 에 따라 자연스럽게 어휘를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이러한 실험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어휘력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실험 대상은 여자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으로, 한 학급은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고 나머지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설정하여 텍스트와 관련한 어휘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사전 이해력 및 회상도 검사와 사후 이해력 및 회상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IV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의 어휘력의 차이, 이해력 및 회상도 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 이해력 및 회상도 검사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 분석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텍스트를 읽을 때 어휘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도구 가설을 반대하는 주장들처럼, 어휘 학습은 학생들에게 어휘 자체에 대한 지식은 향상시키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낼 정도로 독해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내용 분석 결과, 어휘력을 갖춘 학생들이 어휘력을 갖추지 못한 학생들과 비교해서, 주어진 텍스트를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었고, 더 능숙하게 회상해 내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다양한 읽기 활동과 꾸준한 언어 경험을 통하여 어휘력이 신장되면 읽기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ifference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students equipped with pre-knowledge about the vocabulary in the text before reading the text and students who are not and to present the influence on the reading education by this difference. ChapterI presents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concerned with the co-relevance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elements that a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lso introduce the method of the study. Chapter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consist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of it defines the conception of reading in three process models ;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model, and presents various factors which effect on reading process.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relation of vocabulary, specially one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and reading. The relation of vocabulary and reading is argued from the views of three hypotheses by Anderson & Freebody; instrumental hypothesis, verbal aptitude hypothesis, and knowledge hypothesis. The opposition to instrumental hypothesis is argued as well in this chapter. The third part of theoretical backgrounds deals with the method of Vocabulary learning by context. In the vocabulary learning which is one of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method was not the finding dictionary learning but the guessing strategy by context developed by Clarke & Nation. Therefore the third part sugges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experimental method. ChapterIII arranges the experimental process about the influence of vocabulary on reading comprehension. The subject group were two classes of the 2nd year in the girl s middle school. One class was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w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pre-learning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text before reading the text.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included the test of the abilities of pre-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and the test of the abilities of post-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ChapterIV analyz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This result is concerned with three parts; the difference of awareness of vocabulary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test of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the detail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former test. In conclusion, the result by the experiment in the study confirms that vocabulary learning develops student s knowledge about vocabulary itself but doesn t tell any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in reading. However as a result of detail analysis, students equipped with pre-knowledge about the vocabulary understood and recollected the given text better than other students who don t have pre-knowledge. Therefore the enrichment of vocabulary though learner s various reading activities and language experience will improve reading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