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경-
dc.creator김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45-
dc.description.abstract소설은 다양한 인생의 경험과 지식을 총체적으로 표현한 예술이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문학 교육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삶의 체험을 경험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파악하고, 자신의 경험의 깊이를 더하며, 올바른 삶의 자세를 지니게 하는데 큰 목표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 은 목표를 달성하게 하기 위해서는 소설 지도는 소설을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이고도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이 있어야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자의 지식이나 경험의 습득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의미 구성의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소설의 교수-학습은 학습자들의 다양한 참여가 가능한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반응과 탐구를 하게 해야 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소설 교수-학습은 활동을 이끌어내는 방법론이 부족하여 다분히 교사 주도의 일방적 지식 전달의 수업이 되어 왔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참여와 반응을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소설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실제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소설 감상 능력의 신장 및 자발적인 소설 감상 능력 그리고 토의 능력과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 II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수용이론, 독자 반응 문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을 통해 기존의 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이를 대체할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내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제 III장은 학습자 활동 중심의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의 필요성과 효용성 및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 방법, 교수 학습의 절차 등을 다루었다. 주로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업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활발한 의미 구성 활동을 제시하였다. 소설 수업이 지식 전수가 아닌 능동적인 감성의 내면화가 필요하다는 생각 하에 20여 가지의 다양한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또한 모둠 활동을 통한 동료들과의 활발한 의미 협상을 통해 깊이 있는 사고를 경험하게 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사고를 쓰기 활동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총체적인 국어 수업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제 IV장은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의 실제를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과정을 실제적으로 제시하고, 전통적 소설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학습자 중심 소설지도가 문학의 감상 능력의 신장에 발전을 가져왔는가, 그리고 활동 중심 소설 지도는 학습자들이 소설을 보다 가까이 하고 평생 독자로 소설 읽기를 즐겨하게 만들었나를 알아보았다. 제 V장은 결론으로서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로는 첫째, 문학 수업은 학습자의 활발하고도 능동적인 참여와 의미 협상 노력을 통해서 깊이 있는 문학 감상 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활동과 토의로 꾸준히 작품 감상의 능력과 의미 구성 능력의 향상을 가져 왔으며, 쓰기 능력도 점점 나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지도는 전통적인 소설지도보다도 훨씬 의미있는 감상 능력을 가져왔다. 줄거리 파악 능력과 작품의 해석 능력 및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에 있어서 훨씬 의미 있는 향상을 가져왔다. 셋째,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는 학습자들이 보다 소설에 대해 친근감을 표시했으며, 전통적인 소설 지도를 받은 학생들보다도 소설에 대한 흥미가 높았다. 따라서 이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이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와 적극적인 의미 구성,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학습자들의 소설에 대한 태도를 더욱 좋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문학 수업이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개념 익히기에 그쳐서 진정한 문학 감상 능력의 신장과 학습자의 능동적인 의미 구성 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고, 다양한 활동을 통한 소설지도가 훨씬 효과적인 문학 수업이 될 수 있다는 생각하에 방법을 구안하고, 이를 실천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설지도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통한 활발한 의미 구성 노력이 있을 때,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문학 수업은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업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 A novel is the art of comprehensive expression of diverse experiences of life and knowledge. Accordingly, literary education in school has its great goal in learners understanding of what is meaningful in life, deepening their experience, and attaining desirable attitudes of living by indirect experience of others various lives. To achieve such a goal,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novels requires learners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and responses. Learners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be accomplished thoush their positive activities to construct meanings. Consequent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novels should cre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nvolves learner diverse partcipation. Nonetheless, being short of skill to initiate learners activities, existing methods have resulted in the teacher-centered knowledge transmission model of teaching-learning novels, and are not able to induce learners various participation and respon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learners ablility and willingness of appreciating novels, and their discussion and writing proficiency by contriv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learners diverse activities, and making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m. Chapter Ⅱ criticizes drawbacks of existing literay education and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aner s activity-centered methodology, a new substition for the present methodology, which entails learner independent and active consrtuction of meanings. This learner s activity-centered methodology is based on reader resonse and constructive theory in literature, which are two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Chapter Ⅲ deals with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activity-centered novel teaching methodology, learner s activity-centered methods of teaching novels, and lesson procedure on the basis of the learner-centered pedagogical thery. It also presents learner s dynamic activities of consrtucting meanings by devising learner s activity-centered lessons centered mainly on the constuctive learning theory. It is belived that the novel lesson is not for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but it should stimulate learners active internalization of sensibility. Such a belief brings into being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make learners interested in learning and experience in-deers while doing tean-based activies. Such in-depth thoughts are followed by writing activites, which makes Korean class comprehensive. In Chapter Ⅳ, the procedure of learner-centered novel teaching methods is presented in pracice. Furthermore, it will be looked into whether competence of appreciating literature, and whether activity-centered novel teaching methodology gets learners closer to novels and makes them enjoy reading novels as a life-long reader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novel teaching methodology. As a conclusion. Chapter Ⅴ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learner s activity-centered novel teaching methodolog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teaching and learning of literature, improvement of in-depth compretence of appreciating literature can be achieved through learners enthusiastic and active endeavor of negotiating meanings. Learners ability of appreciating literature can be achieved through learners enthusiastic and active endeavor of negotiating meanings. Learners ability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 and of constructing meanings has been improved consistently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conducted in class. Besides, learners writing ability has been getting better. Secondly, learner s activity-centered novel teaching methodology has brought in far more meaningful appreciation competence than traditional novel teaching methodology. That is, learners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plot of a novel and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and their competence of interpreting the work have been improved much more meaningfully. Thirdly, through learner s activity-centerd methodology learners have expressed more affectionate attitudes towards novels by enhanc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enthusiastic construction of meaning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his study was initiated by a critical mind about literatute education hitherto which focuses on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acquestion of notions, and thus has not helped learners improve their competence of appreciating literature and enhance their ability of active construction of meanings. In this study, hence, methods were devised on the basis of the belief that novel teachig through various activities would be far more effective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hey were examined in practical ways.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ing of novels could not achieve its goals whitout learners efforts of constructing meanings throug diverse activities. Consequently, it can be claimed that literature lessons should be proceeded in the learner s activity-centered methodology that makes learners play a major role in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문제 = 2 II.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 이론적 배경 = 3 A. 반응 중심 문학 이론 = 3 1. 반응 중심 문학이론의 발생 = 3 2. 수용이론 = 6 3. 독자 반응 이론 = 9 B. 구성주의 문학 이론 = 18 1. 구성주의 이론의 발생 = 18 2. 구성주의 이론의 양상 = 24 3.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 27 C.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 = 32 1. 학습자 활동 중심 문학교육의 특성 = 32 2. 학습자 활동 중심 문학 교육의 효용성 = 37 3. 학습자 활동 중심 교수-학습 설계 = 38 4. 학습자 활동 중심 소설 교육의 활동 방법 = 40 III.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 연구 방법 = 51 A. 연구 방법 및 절차 = 52 B. 교수-학습 모형교수-학습 실제 = 53 IV.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의 실제 = 58 A. 단계별 활동 방법에 따른 분석 = 58 1. 단일 활동 = 58 2. 종합 활동 = 88 B. 독서 토의 = 105 1. 수업 중 토의 = 105 2. 웹 상에서의 토의 = 111 C. 활동 결과 비교 = 112 D. 소설 작품에 대한 태도 = 116 V. 결론 = 118 ※ 참고문헌 = 119 ※ 부록1 = 121 ※ 부록2 = 130 ※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08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