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중학교 국어과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 방법 연구 : 중1 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Title
중학교 국어과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 방법 연구 : 중1 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Authors
조혜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01학년도부터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이 중등학교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중학교 1학년(7학년)은 새 교육과정에 따른 새로운 교재로 개정된 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은 국어과에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기에, 그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바탕 아래 중학교 심화·보충형 수준별 문학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를 살펴보았으며, 국어과에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여러 가지 안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그리고 제6차 문학영역의 교육과정과 새로운 제7차 문학영역의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고, 어떻게 달라졌는지 정리해보고, 제7차 문학영역의 교육과정 구성 체제를 검토하여 보았다. III장에서는 수준별 문학교육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문학영역에서의 수준이란, 명확하게 그 수준을 측정하여 나누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다양한 개인차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을 개별화·개성화하는 것이라 보고 수준별 교육은 운영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그리고 문학영역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기초로 본고 나름의 문학영역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보았다. IV장에서는 위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제7차 문학영역 교육과정에서 부각된 문학의 수용과 창작 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반응 표현 활동을 통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업 방법의 구체안을 구성하여 보았다. 대상이 되는 단원은 현재 7학년 교과서의 현대 소설 단원 3편이며, 주로 학생들의 학습활동 중심으로 문학 감상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 반응 활동 중심의 수업 실제를 보였다. 기본과정에서는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그 단원에서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할 요소들을 포함시켰으며, 보충·심화 과정에서는 교재의 텍스트와 학습목표를 잘 구현할 수 있는 텍스트 상호성이 있는 교과서 외의 작품을 제시하거나 심도 있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들을 구성하여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 중인 7학년 <국어> 교과서 중 소설 단원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 방안 등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고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새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할 방향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하나의 완전한 방법적 연구는 아니다. 수업 현장에서의 진행 과정과 그 한계도 따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은 하나의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 연구가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수준별 문학교육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A revised 7th curriculum has begun to implemented in the secondary school since 2001. Therefore, this revised curriculum is executed to the current 1st grade in Middle school. The 7th curriculum require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orresponds to it because it is designed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Started from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the 7th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learner-centered education, aims to search for the method of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In chapter I, it is reviewed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7th curriculum that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several plans in which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executed.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7th curriculum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6th curriculum and then it is made clear how it has been changed. And the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of literature section is studied. In chapter II,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literature is discussed. First of all, the level in literature section is not that it is divided by measuring the level accurately but that it is an individualization and a personalization of individual learner through diversity of individuals. Therefore, it is emphasized that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should be approached by instruction. In addition, it is tried to make a pla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haracteristics, goal, content, and method of the leveled curriculum of literature section. In chapter III, a concrete plan of teaching method is shown, which will make individualized learning possible through diverse reaction-expression activities. And this plan reflexes the admission of literature and the importance of creation that are brought into relief in the 7th curriculum of literature section presented above. The chapters studied are 3 modern novels of current 7th grade s textbook. And the real class was lead mainly in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which is focused on reflex activities of which goal is an improvement of appreciation ability of literature. In the basic curriculum, the elements, which should be learned basically in the text, are included, and in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there are lots of activities that will make leveled learning possible. Those activities are to propose intertextual extra novels that are not in the textbook, or to appreciate a work profoundly. Based on this, reality, problem, and way of improvement of a chapter 1 of novel in the textbook of 7th grade, which is used currently, are reviewed and analyzed referring to questionaires. This study is not a perfect methodological study. It comes with the process in the classroom and the possibility of limit. So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one of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will help realize level differentiated literature education, which reflect the abilities of each students and their inter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