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한국 중등 종립(宗立)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비교 연구 : 천주교계,불교계,기독교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Title
한국 중등 종립(宗立)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비교 연구 : 천주교계,불교계,기독교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uthors
최명옥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Juvenile period is period of emotional instability and juveniles try to find their peace of mind through their interest in religion. Accordingly they are trying to establish firm conviction and attitude toward religion by being more conscious of religion, either more accommodating or critical through a process of gradually becoming more independent by changing their formely passive attitude of relying on their parents or elders. Therefore during such a period influence of religion upon forming sense of identity by juveniles is considerable.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educate juveniles to have religious propensity during the juvenile period. In particular in view of our educational structure here great portion of available time of juveniles being spent at schools significance of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 is enormous indeed. However currently due to educational policy centered to preparation of entrance examination and assigning schools through lottery without test religious education at ordinary secondary schools is close to nil. Furthermore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which played a role of a pioneer for enlightenment together with Christian mission is experiencing too much difficulty for maintaining its tradition.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attempted to address the topic of identity and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for juveniles through identifying the need of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theoretically an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n Chapter 1, the foreword part of this treatise, this writer treated the topic on the need of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and status and problems in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Also new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purpose of this treatise is presented and also methodology and limitations are included too. In Chapter 2, topic of religious education is studied theoretically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for religious education during juvenile period are described. This writer addressed the issue of how religious subjects were taught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in the past and also described current, problems with religions education at such schools. In Chapter 3, for the purpose of studying status and evaluating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status and evaluating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diagnosis on contemporary religious educa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are performed on 8 schools of Catholic, 5 Buddhistic and 7 protestants affiliation schools.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ith religious education at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future is presented. As specific alternatives first, re-establishing sense of identity for contempor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s required. Second, there should be search for change in curricula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more diversity in religious assemblies and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attempted. Fourth,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charge of religious education. In Chapter 5,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mature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 in the future. ; 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동요의 시기이며 정신적으로 불안의 시기이므로 마음의 안식처로서 종교에 관심을 가지려고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부모나 성인에 의존하고 있던 수동적 태도에서 차츰 독립하려고 하며 한편으로는 자신의 종교를 지각하고 비판 및 수용하며 명확한 종교적 신념과 태도를 확립하려고 한다. 때문에 이 시기에 있어서 종교가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바른 종교성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특별히 우리나라의 교육 구조를 생각해 볼 때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의미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나친 입시위주의 교육 정책과 무시험 추천에 의한 학교배정으로 인하여 일반 중등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그동안 선교와 함께 개화의 선구자 역할을 했던 각계 종립(宗立)학교의 종교교육 역시 그 명맥을 유지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종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청소년기에 있어서의 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밝히고,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나은 청소년 종교교육의 정체성과 교육내용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서론인 I 장에서는 청소년기의 종교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현황 및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인 종립학교에서의 새로운 종교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하였다. II 장에서는 종교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청소년기의 종교적 특성 및 종교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과거 각계의 종립학교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어떻게 종교교육을 시행하여 왔는지를 살펴보고 현행 종립학교에 있어서의 종교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III 장에서는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실태와 평가를 위해 특별히 임의로 선정된 천주교계 8개교, 불교계 5개교, 기독교계 7개교를 중심으로 하여 현재의 종교교육에 대한 진단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IV 장에서는 현행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의 실태와 그로 인해 발견되어진 문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종교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그 구체적 대안을 보면 첫째, 현행 종립학교의 정체성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둘째, 종교교육 내용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여야 하며 셋째, 종교집회 및 종교수업의 다양성 시도와 넷째, 종교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이다. V 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보다 종립학교에서의 보다 성숙한 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