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초등학교 아동들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아동들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에 관한 연구
Authors
연혜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들이 학급사회의 인간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의 내용과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른 갈등 지각 및 갈등 해결 방법 등을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급경영과 아동들의 학급생활에서의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아동들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내용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아동들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은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아동들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 해결방법은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아동 300명의 질문지에 대한 반응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연구자가 개발한 갈등에 관한 질문지와 성격차원검사를 사용하였다. 두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갈등에 관한 질문지가 교사와의 갈등영역이 α=.8214, 아동간의 갈등영역이 α=.8014로 나타났고 성격차원검사는 α=.7362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갈등의 내용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다. 또한 개인 특성 요인에 따른 갈등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개인특성 요인에 따른 갈등 해결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은 교사와의 갈등보다는 아동과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교사와의 갈등을 높게 지각하는 요인은 좌석배치, 벌과 창피, 타인과의 비교, 단체 벌, 수업의 비독창성, 차별, 불인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과의 갈등을 높게 지각하는 요인은 별명, 약속 불이행, 비협조, 친구의 잘못지적, 이성문제, 임원역할 기대, 용모, 무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라 교사와의 갈등을 지각하는 차이는 전체적으로 학년요인과 학업성적 요인에서 의미있게 나타났다. 교사와의 갈등 지각 차이를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별로 살펴보면 학년 요인은 수업활동 영역과 학급경영 영역, 교사기대 영역에서, 학업성적 요인은 의사교환 영역에서, 성격 특성 요인은 학급경영 영역에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4학년 보다 6학년이, 학업성적이 우수한 아동보다 낮은 아동이 교사와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성격특성이 외향적인 아동이 내향적인 아동보다 교사와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라 아동과의 갈등을 지각하는 차이는 전체적으로 학업성적 요인에서만 의미있게 나타났다. 아동과의 갈등 지각 차이를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별로 보면, 학년요인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업성적 요인은 친구관계 영역과 배척요인 영역에서, 성격특성 요인은 친구관계 영역에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6학년 보다 4학년이, 학업성적이 우수한 아동보다 낮은 아동이 아동간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성격특성이 내향적인 아동일수록 아동간의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아동이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교사 및 아동과의 관계 모두에서 타협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이 교사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타협형(47.7%), 동조형(24.0%), 협동형(16.3%), 회피형(6.3%), 경쟁형(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라 교사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학업성적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동이 학급 아동간에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타협형(46.7%), 협동형(27.3%), 동조형(16.7%), 경쟁형(8.0%), 회피형(1.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개인 특성 요인에 따른 차이는 성격특성 요인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좀 더 발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타당도가 높고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는 질문지의 개발과 아동의 갈등과정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그 해결 방법을 세우기 위해 관찰과 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Case Stdy)가 요구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onflict which elementary school children experience in their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 perception and solutions to conflic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 and to offer actual basic data for classroom management and better friendships. To achive the above objectives of this study, detailed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contents of conflict according to teachers and classmate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 perception of the conflict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by their personal background?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flict solu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sonal backgroun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300 children in the forth, sixth grade S elementary school in Kyong-Ki Province. The measurement of this study is a questionaire made by myself about the conflict and the personality dimension test prepared by Eysenk and Lee Hyen Soo. The statistical meathods applied in this study are the basic statistics including the Mean and standared Deviation, ANOVA, and chi-square by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children felt more serious conflict with teachers than classmates. The intensity rankings of conflicts with teachers are shown as follows; first one is seating arragements, second is punishment and disgrace, third is comparison, fourth is group discipline, and fifth is uncreative teaching. The intensity rankings of conflicts with classmates are shown as follows; first one is nicknames, second is breaking appointment, third is uncollaboration, and fourth is finding out another faluts, and fifth is problem with the other sex friends. 2. Conflict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lated to teachers. The diffrences in conflict perception according to children personal background were shown significantly as follows; In grade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actors of teaching activity, teacher expectations and class management. In general, students in the sixth grade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in the fourth grade. In achivement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actor of communication. In general, students on a low achivement level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on a advanced achivement level. In personality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actor of class mamagement. In general, students of extroversive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of introversive. 3. Conflict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lated to classmates. The diffrences in conflict perception according to children personal background were shown significantly as follows; In grade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all factor. In genera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in the sixth grade. In achivement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actor of relation with friends. In general, students on a low achivement level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on a advanced achivement level. In personality distinction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factor of relation with friends. In general, students of introversive have a higher level of conflict perception than those of extroversive.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hown the tendency to select a compromising style as solution meathods for conflicts related to teachers and classmates. On the who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hown the tendency to select a compromising style(47.7%) and to select an accomodating style(24.0%), as the solution meathods for conflicts related to teachers. The difference in conflict solution meathods according to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were shown significantly in the achivement distinction analyse. On the who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hown the tendency to select a compromising style(46.7%) and to select an collaborating style(27.3%), as the solution meathods for conflicts related to classmates. The difference in conflict solution meathods according to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were shown significantly in the personality distinction analy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