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0 Download: 0

초등학교 특별활동에서의 관현악반 평가 방안 연구

Title
초등학교 특별활동에서의 관현악반 평가 방안 연구
Authors
이세시리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초등학교 특별활동 관현악반에 접목시켜 봄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특별활동의 평가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다양한 개인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특별활동에서의 바람직한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특별활동의 의미와 변천, 평가에 대하여 살펴 보았고, 특별활동 관현악반에서의 바람직한 평가 방안과 그 원칙을 정리하였으며, 음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특징을 문헌연구하였다. 위에서 상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한 특별활동 관현악반의 평가 지도안 및 평가지의 예를 제재곡 J. S. 바흐의 G장조 미뉴엣(Minuet in G Major)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용한 평가의 방법은 면접, 관찰, 실기, 서술, 체크리스트, 자기평가, 토론, 동료평가 등이며, 평가 지도안은 1학기 첫 5차시 지도안이다. 특별활동에서의 평가 방안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학습의 결과뿐 아니라 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까지 평가하므로써, 학생들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의 성취수준만을 측정하지 않고, 다양한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므로써 학생 개인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교사에 의한 평가외에 학생 스스로 자기평가를 해 봄으로써, 정확한 자기진단 및 수업에 대한 자발성, 적극성, 창의성을 키울 수 있다. 넷째, 동료평가 및 집단평가를 통하여 친구들에 대한 바른 이해, 배려, 양보심을 배우고 협동심을 키울 수 있다. 다섯째,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하여 음악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가치관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앞으로, 특별활동의 본질추구와 진정한 학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가 특별활동에서의 바람직한 평가 방안의 올바른 한 예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This thesis is designed to provide some guidelines in evaluating extra curriculum activity for the upper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To elevate the completeness of this study, the meaning, changes and evaluation of extra curriculum activity are examined, the justification and principles of evaluation in orchestral music class are grouped, and also literature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in music subject are studied. Based on the contents studied above, an evaluating plan and paper of orchestral music class among which well reflect the features of evaluation is suggested focusing on an orchestral work. The skills of evaluation used in this paper are interview, discussion, and fellow evaluation, and an evaluation plan is fobservation, practice, description(narration), check list, self-evaluation, or the five class-hour of the first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by evaluating not only the result and also the process of activity, we can give immediate feedback to students. Second, by evaluating not just achievement level but also each individual s various features, we can give meaningful information to students. Third, doing self-evaluation by students besides that of teacher, we can raise students correct self-evaluation, spontaneity to class and creativity. Fourth, through fellow evaluation and group evaluation, we can make students hav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friends, consideration and concession. Fifth, through various evaluation ways, we can derive desirable attitude and value view forming form students. For the essential pursuit of extra curriculum activity and true school education, we should keep studying evaluation, and this paper can be a good example of actually applying evaluation to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