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주연-
dc.creator신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5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현재 학교교육만으로는 부족한 국악교육을 방송매체를 통해서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현행 중학교 음악과 제6차 교육과정과 2000년대부터 시행될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방송매체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 분석과 방송매체와 교육과의 관계, 방송매체의 음악교육적 기능 등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현행 제6차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결과 중학교 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은 국악의 내용면에서 서양음악에 비해 그 비중도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국악에 대한 무관심, 교과서 내의 국악내용의 문제, 교사의 국악지도 능력 부족 그리고 국악수업을 위한 수업 교자재(악기)의 부족 등을 내세울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실시되고있는 국악교육의 문제점을 방송매체를 통하여 이를 국악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으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방송3사인 KBS, MBC, SBS와 EBS 교육방송의 정규 국악프로그램의 현황(1998.3~현재)을 근거 자료로 삼아 국악방송의 양(量)적인 문제, 국악방송의 시간대 문제, 국악방송의 내용과 질(質)적인 문제, 그리고 국악의 여러장르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의 다양성 문제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과 그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방송 프로그램의 종류나 방송시간이 다른 음악 장르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그 수치가 낮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학생들은 물론, 우리 국민들에게 다양한 음악을 들려주어 건전하고 건강한 음악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라도 프로그램의 수나 방송시간(量)을 증가시켜야 될 것이다. 둘째, 국악방송의 전체적인 시간대가 너무 이른 새벽이라던 지, 늦은 밤에 방송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것은 마치 각 방송사가 국악방송을 하고있다는 명분만 앞세우는 듯한 인상이 짙다. 앞으로는 가족 전체가 우리 음악을 통해서 우리 음악에 대한 애정을 느끼도록 시간대의 조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어떤 국악프로그램의 경우 지나치게 시청률을 의식한 나머지 흥미 위주로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전통 연주 방식에 대한 실험적인 성격을 띄고는 있으나, 기존의 전통양식을 배제한 체 새로운 양식만을 앞세움으로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품위를 손상시킬 위험도 내포되어 있다. 또한 판소리, 민요, 사물놀이 등 국악의 지엽(枝葉)적인 분야만을 고집 하는 사례가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국악의 장르가 다양하다고 하는 점을 인식시키는데 있어서 걸림돌이 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국악방송은 프로그램 선정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되리라 믿는다. 끝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제작진들의 국악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과 또는 전문가들의 조언이나 자문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지적하고 싶다. 간혹 “새롭게”라는 미명하에 전통을 왜곡시키는 사례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현재 국악방송 프로그램의 위와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따른 새로운 국악방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This study has a purpose to grope for a plan that can activat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not good enough with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mass communicatio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tudies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focusing on the 6th curriculum revision and the 7th curriculum revision which come into force on and after the year 2000. Also, this study has the influence analysis of the mass communication to student, the relation to the mass communication and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ass communication in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6th of present music curriculum in middle school and the 7th of music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is low compared with Western music. This is result in the aspect of a teacher s teaching ability and in the faci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lower standard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gropes for using the music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ass communication as a way of educational supplementing the lacing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is researched and analyzed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the broadcast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ontents and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ass communication music, and the variety of contents that can make understand the several genr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regular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Mar. 1998~now)in Korean representative broadcasting studies KBS, MBC, SBS, and EBS. As a result, problems and improving plan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or the amount of its broadcasting time is absolutely low compared with other genres of music.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or broadcasting time to form music culture by playing various music to the public as well as students. Second, the time zon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is mostly early in the morning or late at night. This gives on impression that each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s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just for justifying itself. In the future, the broadcast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modified so that all the family can have affection towar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certain program is composed only of items of entertainment to gain a better rating. In a case like this can damage the quality of our traditional music. Also, the programs mainly focuse on only certain pa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including Pansori, Folk song and Samulnori, and this can be an obstacle in understanding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varies. Therefore, the fu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should be selected more carefully. Finally, produce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should have common sense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y need an expert s advice. More often than not, some examples show the distortion of tradition under the name of new .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how improv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본 론 = 5 A. 국악교육의 필요성 = 5 B. 방송매체의 특성 및 기능 = 8 C.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 17 D. 1930년대 후반의 방송 = 29 E. 우리나라의 방송편성 기준 = 34 F. 외국 전통음악 방송의 현황 = 36 G. 우리나라 국악방송의 현황 = 38 H. 국악방송의 문제점 및 방송시안 = 58 Ⅲ. 결론 및 제언 = 63 A. 결론 = 63 B. 제언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038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방송매체를 통한 국악 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