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기연-
dc.creator한기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49-
dc.description.abstract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음악은 다양한 구성을 통해 수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질이 중요한 부분이며 교사의 바람직한 음악적 자질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음악교육이 충실히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교사를 배출하고 있는 유아교사교육기관의 음악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로서 음악교과과정의 내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음악적 자질 개선을 위한 음악교과과정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에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교 5개교와 2년제 대학 6개교, 유아교육과와 유아교육 관련학과 4개교로 총 15개교를 대상으로 음악 교과과정의 비중 및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교 및 2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서 개설된 음악교과는 총 18과목이었지만 그 내용은 아동활동관계교과, 유아음악교육관계교과, 실기관계교과, 국악교과로 분류되어진다. 아동활동관계교과 8개, 유아음악교육관계교과 4개, 실기관계교과 5개, 국악교과 1개로 나타나 아동활동관계교과가 가장 많은 수의 교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교와 2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의 전공 총 학점에 대한 음악 교과의 비중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교가 9.6%, 2년제 대학이 13.1%로 2년제 대학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 총학점이 다르게 제시되므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음악 교과 학점에 있어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셋째, 학점상의 비율로 분석하였을 때 실기과목이 41학점(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실기관계교과를 살펴보면 1개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에서 피아노 위주의 반주법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개교에서는 실기관련교과가 음악교과 총 학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각 학교간에 학점차이도 크게 보이고 있었다. 넷째,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은 1개교에 미쳤으며 2학점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교육 관련학과는 아동학과, 아동가족학과로 서울시 소재인 대학은 총 4개교가 있었다. 음악교과는 3개교에 각 한 과목씩 개설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1개교에는 전혀 개설되지 않아 유아교육과에 비해 절대적으로 그 수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음악 관련교과로는 아동음악과 율동, 아동예술이 있으며 아동예술 교과에서는 음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예술활동을 포함하므로 음악의 비중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유아교사 교육기관의 음악교과과정은 실기관계교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다른 음악관계교과의 보충 및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세계화 속의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기르기 위해 유아에게 국악교육을 시킨다는 취지에서 실시된 국악교과는 모든 학교로의 확장이 바람직하다. ; Many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put the highest priority on giving music classes because music is a part of each child s life, helps improve the joy of expression and eventually contributes to raising the child into an all-rounded person. To provide high quality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have an ample knowledge of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sic curriculum, which can enhance the musical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was done by studying the current status of music programs given to future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urrent music program of fifteen facilities, including five universities and six colleges which operat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four other universities that have programs related to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se universities and colleges use 18 different titles for childhood music programs. Programs on children s activities, on children s music education, on the practice of music and on Korean classical music accounted for 8, 4, 5 and 1 different title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schools put most importance on programs for children s activities. Second, in giving credits to students majoring in childhood education, two colleges gave higher priorities to the music curriculum. Actuall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credits given to the music programs. Third, the practice of music took up to 46% of the music program. Almost all the schools, except one, provides instrumental education only on the piano. Five facilities g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credits to the practice of music. There were big differences on credit awarding for this program. Forth, only one school was providing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with two credits. Fifth,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the childhood education compared with programs on childhood activities and childhood art, they put less importance on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s on childhood music education mostly consist of childhood music, while programs on childhood art include not only music but also general ar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see the necessity of various and concrete curriculae on the practice of music, for example, by providing education on various instruments as well as the piano. Moreover,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be expanded throughout all schoo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치원 교육과 음악 = 4 1. 유아기 성장과 음악 = 4 2. 유아 음악교육의 목표 및 내용 = 9 B. 유아 교사 교육 = 19 1.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질 및 역할 = 19 2. 유아교사의 음악교과과정 = 24 Ⅲ. 음악 교과과정 분석 및 해석 = 27 A. 연구 대상 및 내용 = 27 1. 연구대상 = 27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7 B. 유아교육과 음악 교과과정 분석 및 해석 = 28 1. 전공교과 총 학점에 대한 음악교과 이수학점의 비율 = 28 2. 유아교육과에서 개설된 음악교과목 및 개설 현황 = 31 3. 유아교육과 음악교과의 학점별 분포도 = 33 4. 음악 교과목 내용 = 35 5. 내용별 음악 교과 분석 = 48 가. 유아 음악교육 관계 교과 = 49 나. 아동활동과 관계된 교과 = 50 다. 실기관계교과 = 51 라. 국악 교과 = 53 6. 유아교육 관련학과의 음악 교과과정 분석 = 54 Ⅳ.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58 참 고 문 헌 = 60 부록 = 65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205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교사 교육의 음악 교과과정 실태조사 : 서울시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