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용자-
dc.creator이용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3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using human nature training program on learned helplessness, general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this study, in order to carry out for the treatment of the group counseling, two groups were set up, one for experiment and the other for control, of which were composed of 30 students each at first grade of high school.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Group Counseling for 2 hours each time, 10 times for 5 month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was measured with the Learned-helplessness Scale by Sin(1990),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by Kim and Cha(1996), and the Rosenberg s Self-esteem scale adapted by Kim, (198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tudents leaned helplessnes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mean of scale was alleviated, however,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Second, regard to the students general self-efficacy, it is difficult to find any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in pre and post testing. Third, regarding the students self esteem, only the means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improved. This means that the treatment was effective to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it helped them 1)to self-examination and understand themselves, 2) to have confidence in all the things they do, 3) to lear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ooperation, love and friendship, 4) to promote their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Group counseling used in this study turns out to be useful in alleviating learned helplessness and in improve self-esteem. ; 본 연구에서는 특별활동의 일환으로 집단상담 반을 편성하여 심성수련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습된 무기력 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여러 가지(18개) 심성수련 프로그램을 동일 집단에 실시하여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고 자신감과 긍정적 기대를 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찾아 우리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집단상담을 받은 학생들은 집단상담을 받기 전에 비해 학습된 무기력이 감소 할 것인가? 둘째, 집단상담을 받은 학생들은 집단상담을 받기 전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증진될 것인가? 셋째, 집단상담을 받은 학생들은 집단상담을 받기 전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증가할 것인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집단에는 집단상담을 1회에 120분씩 10회에 걸쳐서 총 20시간, 약 5개월 동안 특별활동시간에만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서울시 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심성수련 프로그램을 주로 하여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을 키워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 내용들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심성수련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신기명(1990)이 개발한 학습된-무기력 척도와, 김아영·차정은(1996)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그리고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김문주(l98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한글 SPSS 7.5 version을 이용하여 사전·사후의 점수의 차이의 평균을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성수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기 전보다 학습된 무기력이 감소한 반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학습된 무기력이 유의미하게(p< .001) 높아졌다. 학습된 무기력척도의 하위 요인별 비교결과를 보면, 우울·부정적 인지와 자신감에 있어서 특히 큰 차이가 있어서 심성수련 집단상담은 자신감과 삶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성수련 집단상담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가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해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단지 하위요인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자신감에서만 약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이 논문에서 사용된 심성수련 프로그램이 전체 자가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심성수련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지 보기 위한 사전·사후 변화의 차이검증을 한 결과 유의한 차이(p< .03)를 보여 심성수련 집단 상담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끝으로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상담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더 존중하게 되었으며, 발표력 신장, 타인 이해, 진로를 생각해볼 기회와 학교생활에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종이로 나무 자르기", "사랑의 꽃바구니", "15년 후의 나의 모습", "경매"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학생들의 자신감 증진과 가치관 형성 및 자신의 이해와 진로의식 함양 등에 위의 프로그램들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심성수련 집단상담은 인성교육의 차원뿐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의 증가를 예방할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흔히 겪는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역할수행상의 어려움, 사회적 관계의 불만족, 정신적인 문제 등을 특별활동 시간만이라도 서로 털어놓고 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집단상담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심성수련 집단상담 = 6 B. 학습된 무기력 = 10 C. 자기효능감 = 14 D. 자아존중감 = 18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설계 = 20 C. 검사 도구 = 21 D. 연구 절차 = 22 E. 프로그램 내용 = 23 F. 자료처리 = 41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43 A. 동질성 검사 결과 = 43 B. 집단상담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효과 = 44 C. 집단상담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46 D.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48 E. 집단상담에 대한 평가 분석 = 49 V. 요약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57 부록 = 63 영문초록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76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집단상담이 학습된 무기력 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