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2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02-
dc.description.abstract과학-기술-사회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과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과학적 수양의 함양을 내세운 STS 교육이 현행의 제 6차 교육과정 및 2000년부터 시행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점차 강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S 교육이 강조될 가치가 있을 만큼 과학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STS 프로그램을 도입한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대해 연구해 본다. 또한 6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목표에서 강조된 STS 교육이 실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에서 정착되어 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TS 교육 반영 실태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STS 수업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지각의 물질」,「지표의 변화와 지각 변동」단원에 대해 학생 활동이 강화된 실생활 소재를 이용한 ST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광장중학교 1학년 6개반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반(100명)은 강의 위주의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약 8주간의 수업 처치 후, 사전 검사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 검사 점수를 공변량 분석해 본 결과 실험 집단을 통제 집단에 비해 학업 성취도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P<0.05). 또한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 실험 집단은 긍정적 변화를, 통제 집단은 부정적 변화를 보였으며, 공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P<0.01). 따라서 STS 교육이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6차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STS 교육이 교수-학습 과정 및 교육 평가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광진구와 송파구에 위치한 16개 학교의 중간, 기말 고사 평가 문항 중 해당 단원에 속하는 문항에 대해 STS적 문항의 포함 비율을 조사하였다. 3차원 분석틀로 분석한 결과 STS 관련 문항이라 여겨지는 것은 전체 379문항 중 5문항(1.3%)으로, 전체 문항에 대한 STㄴ 관련 문항의 비율이 너무 낮았다. 또한 STS 관련 문항을 Yager가 제시한 STS 교육과정이 특징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를 고르게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학습 시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 의존률은 매우 높으나, 교과서에 포함된 STS 내용 비율은 매우 낮다(최경희, 1996,1997)는 선행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6차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STS 교육의 현장 반영도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TS program including a lot of student activities and various materials related with daily life is being emphasized.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TS program in science education emphasized in the goal of Sixth Curricula. The effect due to STS programs related to「Materials on Crust」and「Change on the Earth Surface」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a is evaluated focusing on scientif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of the students. For this, 200 students in the first grad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s taught by the STS programs.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is taught by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extent of application of STS program in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program. 379 questions of mid-term and final tests from sixteen schools in Seoul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ree 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and component of STS curricula presented by Yager(1984, 1989).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1. In scientific achievement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5). 2.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01) in science-related attitude test. 3. Mos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change in science related attitud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domain of‘the social meaning of science’(P<0.05), and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s a subject’(P<0.001). 4. Analytical results of test in terms of three 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revealed that only a few questions are appropriated to the goal of STS(1.1%). 5.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mponent of STS curricula, the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practice with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is one each. The number of questions of application of science are two. These imply that the extent of achievement of STS education emphasized in the goal of Sixth curricula is very l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 3 1. STS 소재를 도입한 수업의 적용 효과 = 3 2.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알아본 STS 교육 반영 실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STS 교육의 적용 효과 = 5 1. STS 교육의 의미 = 5 2. STS 교육의 목표 = 6 3. STS 교육의 특징 = 7 4. STS 교육의 적용 방안 = 10 5. STS 수업 모형 = 12 B. STS 교육의 반영 실태 조사를 위한 평가 문항 분석 = 15 1. 교육평가의 의의 및 의미 = 15 2.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 및 평가 방향 = 16 3. 평가 문항 분석을 위한 평가틀 = 18 C. 선행 연구의 고찰 = 19 1. STS 수업의 적용 효과 = 19 2. 평가 문항 분석 = 21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22 A. STS 수업의 적용 효과 = 22 1. 연구 대상 = 22 2. 실험 설계 = 22 3. 검사 도구 및 통계 분석 = 24 4. 수업 프로그램 = 31 B. STS 교육의 반영 실태 조사를 위한 평가 문항 분석 = 34 1. 연구 대상 = 34 2. 출제 문항 분석틀 = 34 3. 문항 분석의 내용 타당도 검증 = 41 C. 연구 절차 = 4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3 A. STS 소재를 도입한 수업의 적용 효과 = 43 1. 학업 성취도에 대한 결과 및 논의 = 43 2.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및 논의 = 48 B.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알아본 교육현장에서의 STS 교육반영 정도 = 66 1. 3차원적 분석틀을 이용한 분석 결과 = 66 2. Yager 가 제시한 STS 교육과정의 특징에 따른 분류 = 72 Ⅴ. 결론 및 제언 = 75 A. STS 소재를 도입한 수업의 적용 효과 = 75 B.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알아본 교육 현장에서의 STS 교육 반영 정도 = 76 참고 문헌 = 79 부록 = 85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05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과학 교과의 지질학 영역에 대한 STS 수업의 적용 효과 및 반영 실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