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성격유형과 영어 능력과의 관계

Title
성격유형과 영어 능력과의 관계
Authors
박현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영어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 중 정의적 요인에 속하는 성격 유형과 영어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성격 유형에 따라서 초등학생의 영어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1-1 내향(I) 선호도를 지닌 아동과 외향(E) 선호도를 지닌 아동은 영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2 직관(N) 선호도를 지닌 아동과 감각(S) 선호도를 지닌 아동은 영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3 사고(T) 선호도를 지닌 아동과 감정(F) 선호도를 지닌 아동은 영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4 인식(P) 선호도를 지닌 아동과 판단(J) 선호도를 지닌 아동은 영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성격 유형과 영어 능력은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광진구의 G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격유형의 검사는 MMTIC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영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산 동아 출판사 5학년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예비 검사를 거쳐 문항을 만들었으며 신뢰도 Cronbach α계수가 .86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성격 유형에 따라서 영어 능력의 차이가 없었다. 내향적(I)/외향적(E), 직관적(N)/감각적(S), 사고적(T)/감정적(F), 인식적(P)/판단적(J) 선호도에 따라 영어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외향성, 직관, 사고, 인식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격 유형과 영어 능력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성격 유형은 영어 능력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는데,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EFL의 특성을 지진 우리 나라의 영어 교육은 도구적 동기가 작용하기 때문에 성격 유형은 영어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격유형에 있어서 사고/감정, 직관/감각, 판단/인식 유형에 대한 집단 구성 비율의 불균등으로 인해 성격유형에 따른 영어 능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교 4,5학년은 성격 유형의 변이(transition)가 일어나는 시기로, 이 시기 아동의 성격유형을 이분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성격유형을 측정한 도구는 미국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우리 나라 실정에 맞도록 표준화하여 아동의 성격 유형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English proficienc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Do personality types have mak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1-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glish proficiency between the extroversion subjects(E) and introversion subjects (I)? 1-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glish proficiency between the intuition subjects(N) and sensing subjects(S)? 1-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glish proficiency between the thinking subjects(T) and feeling subjects(F)? 1-4.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glish proficiency between the perceiving subjects(P) and judging subjects(J)?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sonality types and English proficien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198 children in fifth grade were randomly sampled from G elementary school of Kwangjin-Ku in Seoul. The instrument for personality types was the Murphy-Meisgei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And as for English proficiency, a preliminary test was carried out to make question items based on the textbook for the fifth grader published by Doo-san Dong-A Co., Ltd. Those were reliable with Cronbach a. 86.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o receive t-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didn t make any difference in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introversion/ extroversion, intuition/ sensing, thinking/ feeling or perceiving/judging preferences didn 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lish proficiency, while students with extroversive, intuitive, thinking and perceptive preferences showed rather higher degrees of English proficiency than the others. Second, there wasn t any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ersonality types and English proficiency. In conclusion, personality types are not associated with English proficienc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education has been facilitated by instrumental motivation in Korea as a characteristic of EFL. Second, due to the proportional unbalance in thinking/ feeling, intuition/ sensing and perceiving/judging preferences, students personality type doesn t make any difference in English proficiency. Third, trans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may occur in early adolescence age, probably 4th o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personality type of children in this stage can not be strictly defined. Fourth, instrument for personality types is mainly based on the American cultural background, so some standards in them are rather inadequate for defining Korean children s personality ty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