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학교평가에 대한 서울지역 중학교 교사의 인식조사

Title
학교평가에 대한 서울지역 중학교 교사의 인식조사
Authors
최옥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평가제도 운영의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가의 목적과 학교평가 접근 모형 등 학교평가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선진 외국에서의 학교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 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한다. 셋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평가제도의 문제를 진단한다. 넷째, 학교평가 개선 방향을 탐색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학교평가의 접근 방법 및 모형, 학교평가 시행의 방법, 외국의 학교평가에 관하여는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고, 조사연구에서는 서울시 중학교 교사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이해 및 문제인식, 그리고 평가 개선에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 1종이며, 조사대상 규모는 450명이다. 설문조사 회수율은 418부(92.89%)이며, 활용된 조사지는 402부(89.33%)이다. 조사내용은 학교평가에 대한 이해 및 준비, 학교평가 실시에 따른 문제 인식, 학교평가 영역 및 기준에 관한 인식, 학교평가 주제 및 방법에 관한 인식, 학교평가 결과에 대한 인식 등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사결과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백분율, χ²(Chi-Square) 검정을 적용하였다. 조사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이해 및 준비도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도는 20.2%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평가를 실시해야 할 필요나 평가 기능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평가에 대한 이해부족의 주된 원인은 학교평가의 지침이나 관련 자료가 교사 전원에게 공지되지 않는다는 점과 평가 자료가 일부 보직 교사의 주도하에 아래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평가의 기능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평교사의 경우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였는데, 학교평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보는 비율도 교감이나 교장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15년 이하의 경력자가 16년 이상의 경력자보다 평가 활동에 대한 이해 수준이나 평가 효과에 대한 기대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평가 실시에 따른 문제 인식도의 경우, 직위별, 경력별, 참여경험 유·무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교평가가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는 요인으로는 영역과 기준의 모호성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학교평가에 대한 무관심과 인식 부족, 학교평가 결과의 활용 미흡 순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현재의 평가는 선진 외국과는 달리 학업적 성취보다는 인성교육, 자율성, 창의성 신장 등을 주요평가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관해 교사들의 27.4%만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여 평가 영역에 대한 준거의 재검토 필요성을 보여 준 반면, 앞으로 보다 중시해야 할 영역으로 인성교육을 들고 있어 모순되는 관점을 보여 주었다. 평가영역별 하위 영역으로는 학교의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수 학습 방법을, 학생의 교육적 성취 영역에서는 학생의 품성, 가치관, 태도 발달 수준을, 교직원에 관한 사항에서는 교직원의 사기와 직무 만족을, 그리고 학교운영 관리에서는 학교경영 계획의 수립 및 집행을 중요한 준거로 보았다. 넷째, 중학교 학교평가 주관 기관으로는 45.2%가 현재와 마찬가지로 지역교육청을 선호하였으며, 현 평가단원 외에 보충 인원으로 교사와 학부모를 추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평가 자료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일주일 이상이 60.6%로 소요되어 교사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으며, 수업 결손도 32%나 있어 자료 작성에 대한 방법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직위가 낮을수록 학교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접촉할 확률이 낮으며, 교무회의를 통해 결과를 청취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교평가는 교직원에게만 공개되기를 원했고, 결과 활용에서는 학교의 개선점을 알려주고 개선을 요구하는 자료로 활용하기를 원했다. 학교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학교교육을 개선하려는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학교평가가 학교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행정가의 입장인 교장이나 교감은 절반 정도가 학교평가 후 학교가 변화되었다고 응답하여 학교평가에 대한 일선 교사와 행정가로서의 인식차이를 볼 수 있다. 여섯째, 학교평가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에서는 학교의 책무성 이전에 학교의 자율권 신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국·공립은 자율성과 학교간 교육 여건 격차 완화를, 사립은 학교평가의 객관성과 자율권을 중시하여 공·사립간에 교사들의 의식차를 보여 주었다. 평가 주기는 4년이 가장 많았고, 평가단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훈련이 필요하며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홍보와 연수가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평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홍보 및 연수가 있어야 하겠으며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 방문평가 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또한 철저한 관찰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교사들의 서면 평가 보고서에 대한 시간적 부담감도 줄고 실질적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평가단에는 현 평가단 이외에 교사와 학부모의 참여가 바람직하고, 또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평가단의 전문화가 필요할 뿐 만 아니라 평가 전담 기구도 필요하다. 또한 평가 자료 작성시 평가 용어를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여 교사들이 준비하는 데 부담감을 줄여 주어야 하겠다. 학교평가는 반드시 공개되어야 하며, 현행의 우수사례집 발간이나 포상 형식의 재정 지원보다는 개선점을 알려주고 그 후 개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학교평가가 보다 활성화되고 학교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가 높아질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understand the school evaluation and what the teachers perception is on the problem of the school evaluation which is being executed in the middle school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1) to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fferent approaches of organizations on the school evaluation, (2) to analyze the school evaluation system of foreign countries, (3)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evaluation, (4)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chool evaluation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Relevant literature on different views of organizations and the present characteristics of school evaluation were examined. A survey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middle schools was conducted.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418 out of 450 questionnaires (92.89% response rate) were obtain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S 97. Results are then discussed as follows: (1) Teachers do not seem to have enough knowledge on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school evaluation. (2) The current school evaluations do not seem to be eff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assessment criteria of the school evaluation is somewhat unclear; teachers are indifferent of the school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not used appropriately. (3) The current school evaluation seems to be the burden of the stakeholders and thus it causes deficient teaching. (4) To be effective, the results of the school evaluation need to be opened and used appropriately. (5) The advancement of the school evaluation requires the improvement of school management, the specialization of school evaluation committee, the clarification of its standards and methods, and the easy access to the evaluation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