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용남-
dc.creator이용남-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89-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교직사회 진출이 두드러지게 높아지면서 1997년 현재 중학교의 경우 전체교원 대비 여교원의 비율이 무려 51.8%에 달하고 고등학교를 포함한 중등학교에서의 여교원 비율은 38.2%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체교장 대비 여교장의 비율은 5.8%, 전체교감 대비 여교감의 비율은 4.4%로 나타나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이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여교사가 많은 교직사회의 효율적인 운영과 여교사의 사기 진작을 위하여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비율은 더 높아져야 하지만 가부장제 국가자본주의 사회로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사회구조가 가지는 여러 가지 장애요인으로 인해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당하는 여교사에게 적극적인 제도를 도입하고 보완해줌으로써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중등교직사회를 배경으로 여교사가 상위직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겪게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이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 제도의 도입과 보완에 대해 조사, 분석하고 논의함으로써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기회의 확대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인 성차별의식의 고찰, 현재 교직사회에서의 여교사의 지위 분석,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한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에 있어서의 장애요인 분석, 현재까지 진행되는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을 알아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중등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과 상위직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중 제도적인 방법의 도입과 보완을 중심으로 중등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서울·경기의 수도권과 대구·경북의 지방권에 있는 중등학교를 단순무선표집의 방법으로 40개교를 표집하여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유효설문지는 470부로 회수율은 78.3%였다. 결과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를 이용하여 FREQUENCY, DESCRIPTIVES, CROSSTABS, T-TEST, ONEWAY 등을 통하여 검정하였으며 각 문항의 응답결과처리에 있어서 빈도수와 그에 따른 백분율(%)을 구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필요에 따라 분석결과를 도표로 작성하였다. 연속변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응답자를 필요에 따라 성별, 직위별, 경력별, 결혼여부로 분류하여 변인별 응답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χ²검증과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의 비교분석에서 여교사는 가장 큰 장애요인의 순서로 학교행정가의 남교사 선호풍토와 가사·육아 등의 이중역할부담, 승진기회에서의 남교사 우선승진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남교사는 가사·육아 등의 이중역할부담, 남교사 선호풍토, 여교사의 자기발전 노력부족의 순으로 반응하였는데,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 선호풍토와 가사·육아 등의 이중역할부담을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어 우리사회의 가부장의식과 성별분업의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 촉진방안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 볼 때 여교사는 승진에서의 여성할당제가 가장 필요하고 그 다음으로 부장교사 임명시 여교사 비율 고려, 여교사 교직경력 관리과정의 개설 순으로 대답해 여교사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그들의 위치를 보완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특별한 제도적 방안을 원하고 있었다. 남교사는 경력평정 대상기간의 하향화, 도서벽지 가산점의 철폐, 여성교육전담부서의 설치 순으로 응답하였다.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위해 우선 실시해야하는 정책으로는 승진에서의 여성할당제를 첫 번째로 들고 있었는데 제15대 대통령선거공약에서 고용에서의 여성할당제가 거론되면서 많이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당하는 여교사에게 있어 법적인 평등한 기회의 제공으로는 그 불평등을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제도의 도입으로 불평등을 어느 정도는 보완해주어야 한다. 적극적 불평등정책으로써 승진에서의 여성할당제와 같은 적극적 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여성정책 전담부서의 설치 등도 이루어져야만 여교사가 당하는 사회구조적 불평등은 어느 정도 극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교사 자신의 의식전환이 있을 때 제도적인 모든 것이 그 효과를 발휘할 것이기 때문에 ‘여성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As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teachers society rapidly grow, the proportion of female teachers compared to the whole number of teachers is 51.8% in middle school, and that of female teachers among the whole number of teachers including middle and high schools reaches 38.2% in 1997. However, the proportion of female principal compared to the whole number of female principals is 5.8% and that of female vice principal among the whole number of vise principals is 4.4% which indicates the low participation of female teachers in upper level positio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ers society with the bigger number of female teachers and the promotion of female teacher s morale,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teachers in upper level position should be elevated,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m because of various obstacles modern society h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positive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upper level positions for women teachers by analyzing barriers to the process of female teachers participation in upper level position on the background of present middle education society and examining and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proper system and supplement anion which can overcome those barriers. This study performs both literature study and survey and the literature study includes sexual separation in social structure, the status of female teacher in teachers society, barriers to female teachers participation in upper level position focused on precedent studies, and efforts for improvement made until so far. Survey study includes barriers to the participation of female middle school teachers in upper lever position, and plans for the promotion of their participation in upper level position,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systematic method and supplementation. As a study method, I distributed 600copies of questionnaire to 40 middle schools in Seoul-Kyoun ggi province and Taegu·Kyoungbuk area by the what of simple random selection,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470 copies-78.3% of withdrawal rate. As statistic treatment for result analysis, Frequency, descriptive, cross tabs, T-Test, and one way were used for inspection with SPSS for WINDOWS, an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dealing with answer results in each question, and analysis results diagram was made. I also produc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for consecutive variable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barriers to female teachers participation in upper level position, female teachers answered school administrator s preference to male teachers, double burden of home care and child care, and male teacher priority in promotion and male teachers answered double burden of home care and child care and preference to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 s not enough effort for self-development, and it shows our society s patriarchal mind and separated work according to sex, recognizing preference to male teachers and double burden of home care and child care as a big barrier regardless of sex. Second, generalizing opinions on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tion of female teachers in upper level position, female teachers want positive and special system to supplement their disadvantageous position, answering female assignment in promotion, consideration on female teacher proportion in appointing deputy teacher and opening teaching career management course for female teachers. Male teachers answered downward policy for career evaluation period, abolishment of adding point to secluded area and establishment of female education department. Providing equal opportunity to female teachers in law does not make female teachers overcome inequality, and there should be positive system to supplement inequality. As well as positive system such as female assignment in promotion, female policy department should also be established to overcome social-structural inequality which female teachers have. Of curse, all these systems can be effective when female teachers themselves change their thought, and ‘female education should also follo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회구조적인 성차별 의식의 고찰 = 4 1. 평등과 기회균등의 개념 = 4 2. 여성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 불평등 = 6 3. 한국 사회에서의 성역할 구조와 사회적 불평등 = 11 B. 현재 교직사회에서의 여교사의 지위 = 17 C.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에 있어서의 장애요인 : 선행연구 분석 = 23 1. 제도적 요인 = 23 2. 조직풍토적 요인 = 24 3. 사회구조적 요인 = 27 4. 개인적 요인 = 29 D. 현재까지 진행된 개선을 위한 노력 = 31 1. 근본적인 제안으로서'여성교육' = 31 2. 실천적 제안과 노력 = 33 Ⅲ. 연구의 방법 = 37 A. 조사대상 = 37 B. 조사도구 = 39 C. 연구절차 = 40 D. 자료의 처리 = 41 Ⅳ. 결과 및 해석 = 42 A. 연수·연구의 학점 및 승진·전직에 대한 인식 = 42 B.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 52 C.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 전망과 촉진방안 = 67 Ⅴ. 결론 및 논의 = 81 A. 결론 = 81 1. 연수·연구의 학점 및 승진·전직에 대한 인식 = 81 2.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 82 3.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 전망과 촉진방안 = 83 B. 논의 = 84 1. 연수·연구의 학점 및 승진·전직에 대한 인식 = 84 2.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 84 3.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위한 촉진방안 = 86 C. 제언 = 87 D. 연구의 제한점 = 88 참고문헌 = 89 부록(설문지) = 91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903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여교사의 상위직 진출 저해요인 및 촉진방안에 대한 중등교사의 의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