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혜현-
dc.creator황혜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needed for the information development for educating the teachers in examining the present frequncies and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to each interst center by means of participated observation at kindergarte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eacher intervention on the degree of experience, the sexuality of children and the kind of the observed. For the purpose abo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1. What frequencies and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are on the interest center during free play period? 2. What frequencies and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s on the interest center during free play period? 3. What frequencies and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depending on children s sexuality on the interest center during free play period?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limited to the teachers who had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being responsible for 5-year children s class in seven kindergartens in Seoul. Observational data were collected by the event sampling method with behavioral checking lists for the teacher intervention frequencies and patterns in each interest center. The observational categories of patterns of teacher intervention during free play period were made based on Spidell, R. A.(1985) and En-Soo, Sin(1989). Data analysis were based on the frequencies and its percentage to each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the order of the teacher intervention frequencies in the interest center were visual arts, block play, language, math and puzzles, dramatic play, computer, music exploration and science. The order of the intervention patterns were maintenance, instruction, praise, direction, redirection, conversation, setting organization, demonstration and participation. The maintenance of the intervention type were found to be mostly used in block play, dramatic play, math and puzzles, science and visual arts center, the instruction in the music exploration center, the demonstration in the computer center. Second, the intervention frequencies were depended upon the teachers experiences. Beginning teachers inclined to the visual arts center, otherwise experienced teachers to the language center. The intervention patterns had no differences upon the teachers experiences. All the teachers mostly used the maintenance and instruction as the intervention pattern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s. Third, the teacher s intervention frequencies upon the children s sexuality had no difference in the interest centers,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pattern according to each interest center. Teachers relatively used more instruction as intervention pattern to the boys than to girl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pattern upon the sexuality particularly, in the language and the visual arts center. ;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가 각 흥미영역에 개입하는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여 교사교육 자료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에서 참여관찰을 통해 교사의 개입 빈도와 유형을 파악하고, 경력에 따른 교사변인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개업유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실내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개입빈도와 개입유형은 어떠한가? 2. 유치원의 실내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개입빈도와 개입유형은 경력에 따라 어떠한가? 3. 유치원의 실내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개입빈도와 개입유형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7개 유치원의 만 5세 학급 담임교사로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하고 유아교육을 전공한 자로 제한하였다. 하루 일과 중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이 40-60분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흥미영역으로 구분되어 영역별 놀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12명을 선정하였다. 자유선택활동 시각 흥미영역에 교사가 개입하는 빈도와 개입유형을 관찰하기 위해 관찰기록표를 작성하여 사건표집법으로 참여관찰하였다. 관찰기록표는 Spidell이 분석한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가 개입하는 유형과 신은수의 놀이 개입 범주 체계를 참고하고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범주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개입빈도는 조형 영역, 쌓기놀이 영역, 통로 및 출입구 등의 기타 영역, 언어 영역, 수·조작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음률 영역, 과학 영역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시 흥미영역에서의 교사의 개입유형은 유지, 명령, 대화, 교수, 칭찬, 방향재지시, 환경구성, 시범, 참여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쌓기, 역할, 수·조작, 과학, 조형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지의 개입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음률 영역에서는 명령과 교수를, 컴퓨터 영역에서는 시범과 교수를, 기타 영역에서는 대화와 명령의 개입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참여와 시범의 개입유형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선택활동시 교사의 흥미영역 개입빈도는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경력이 낮은 교사는 조형영역에 편중된 개입경향을 나타냈으며 경력이 높은 교사는 언어영역에 편중된 개입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력에 상관없이 모든 교사가 과학 영역과 음률 영역에 가장 적게 개입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은 교사는 다른 경력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에 매우 적게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흥미영역 개입유형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경력과 상관없이 모든 교사가 유지와 명령의 개입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참여와 환경구성, 시범의 개입유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유선택활동시 성별에 따른 교사의 흥미영역 개입은 총 개입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각 흥미영역에 따라 개입빈도의 차이가 있었다. 교사가 흥미영역에서 남아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빈도는 쌓기놀이 영역, 조형영역, 수·조작놀이 영역, 언어영역, 기타 영역, 컴퓨터 영역, 역할놀이 영역, 과학영역, 음률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흥미영역에서 여아를 대상으로 하는 개업빈도는 조형영역, 기타영역이, 언어영역, 역할놀이 영역, 컴퓨터 영역, 수·조작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 음률영역, 과학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아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빈도는 쌓기영역에서 가장 많았으며, 음률 영역에서 가장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여아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은 조형 영역에서 가장 많았으며 음률 영역과 과학영역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특히 조형영역에서의 개입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매우 편중된 경향을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시 성별에 따른 교사의 흥미영역 개입유형은 전체 흥미영역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각 흥미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는 쌓기, 역할, 수·조작, 컴퓨터, 기타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명령의 개입유형을 사용할 때 여아보다 남아에게 명령의 개입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와 조형 영역에서는 성별에 따라 개입유형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자유선택활동 = 7 B. 교사의 역할 및 개입유형 = 13 C.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개입 = 17 III.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경력에 따른 교사의 개입빈도와 개입유형 = 36 C.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개입빈도와 개입유형 = 39 V.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3 부록 = 60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51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교사의 흥미영역별 개입빈도 및 유형-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