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68-
dc.description.abstract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의 목적은 첫째, 자아실현을 통해 사회 공헌을 꾀함이며, 둘째, 전인 교육과 생애 교육을 지향하기 위함이며, 셋째, 개인의 능력이 최대한으로 신장됨으로써 인력 자원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함이며 넷째, 가속화하는 직업 세계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킴에 있다. 이러한 진로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자신의 인생에서 최초로 진로를 선택하여 결정하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의식과 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와 효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의 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조사 연구를 위해 강남의 2개 학교와 강북의 2개 학교를 선정해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진로의식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회수된 설문지를 문항별로 백분율을 산출하고 변인별 유의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의 종류는 약 30개 정도로 요약할 수 있었고 대부분 전문직에 치우쳐 있었다. 만여종이 넘는 현대의 직업과 15개의 직업군을 생각할 때 다양한 직업군 탐색에 의한 잠정적 진로선택이라는 중학교 진로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하는 직업의 종류를 보면 여학생은 교직을 남학생은 의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최초로 진로에 대해 인식한 시기를 보면 여학생은 초등학교 때가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중학교 2학년 때가 가장 많았다. 이를 볼 때 여학생의 진로 성숙도가 남학생보다 높으며, 많은 학생들이 이른 시기에 진로에 대해 인식하기에 조기 진로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님이나, 학교보다 매스컴이 학생들의 가장 주된 진로 인식의 매개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매스컴의 내용은 통제가 어렵고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생계 유지를 위하여 직업을 가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직업을 가지는 목적에는 생계유지의 이유도 있지만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의 목적도 있음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은 직업에 있어서 육체노동과 정신 노동의 차이나 직업의 귀천, 남녀의 역할 차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보아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직업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교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절실히 공감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 지도 방법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면담과 산업 현장에서의 직접 실습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어려운 방법이나 학생들의 필요를 고려하여 학교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진로 지도 방법은 인쇄물에 의한 방법으로 그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실용적이면서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The goal of career education at school firstly is to make students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realization of self, secondly to pursue whole man and life-long educations, thirdly to induc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by extending individual faculties to the utmost, and finally to extend students coping ability with rapidly changing word of occupation. Based upon this goal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ir course in life who are to make a choice and decision about their course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and actual condition and efficiency of career education at school. For this study, literature reference and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As a subject of this study, third graders of two middle schools in Kangnam district and another two in Kangbuk area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see their recognition of their course in life. And returned answers were calculated by items of question into a percentage, and significant difference by variables was examined. And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 of work students wanted came up to about 30. Considering above ten thousand kinds of work,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aiming at potential choice of career through exploration of various occupations hasn t been correctly executed. As for the occupations wanted, female students preferred teaching most while male students preferred medical profession most. As for the period of first recognition of their course in life, female students mostly recognized it whil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male students mostly recognized when they were in the 2nd grade. Upon this fact, it seems female students career maturity i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early career education is needed since many students recognized their course in the early year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mass communication is the most principal medium for career recognition than parent or school. Since content of mass com. if difficult to control and exerts a direct influence upon students that some counter plans should be considered. Third, regarded of sex, students answered they should have a job to make a living. This could be one of reasons for having a job, but realization of self through work needs to be informed by teachers as one important reason. Fourth, since students answered all trades are equally honorable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labor and mental labor or between man s role and woman s role that we can see they have open and positive views on job Fifth, as to career education at school, mod a deep sympathy st students thought present education is inappropriate but they hawith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What students want in career education are systematic, continuous interviews and direct practices in the industrial scene which are somewhat difficult to carry out in the school scene, but students demand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school curricular. In career education, guiding by prints i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but it has revealed to have low degree of efficiency. Therefore, the school should make plans for giving students practical and direct hel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Ⅱ.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 = 5 A.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 5 B. 진로교육의 발달 과정 = 8 C. 진로발달이론과 진로교육모형 = 11 D. 중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 = 19 Ⅲ. 조사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25 A. 조사연구 방법 = 25 B. 조사대상 = 25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28 A. 학생들의 진로의식 = 28 B. 중학교 진로교육 실태 = 42 Ⅴ. 요약 및 결론 = 53 참고문헌 = 57 부록 = 60 영문초록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054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진로교육의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