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해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금까지 우리의 다 인수 학급의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어 온 획일적인 교육으로는 다가오는 21세기에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할 수 없다는 비판이 대두되면서 최근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에 부응하여 중학교에서는 2001년부터 실행하게 되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에 차이가 있는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2 학년 과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 일부에 대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 후, 학습능력별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학습 결과 학습자가 가지는 개인차를 최대한 줄이고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여자 중학교 2학년 학생 14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의 집단을 학업성취도 사전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학습능력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세분화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개발된 수준별 교수-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수준차가 고려되지 않은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직 교사 10명에게 타당도를 의뢰한 결과 90%였다. 총 40문항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는 8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chronbach α계수는 0.94였다. 전체 수업은 주당 1시간씩 총 8차시를 실시하였고 수업처치 후 학습능력별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효과는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수업처치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은 전체 집단의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은 전통적인 수업보다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둘째, 학습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은 전통적인 수업보다 학습능력 하위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셋째, 학습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은 전체 집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은 전통적인 수업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있지 않았으나(p>0.05) 하위영역 중 ‘과학 교사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다(p<0.01). 넷째, 학습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은 전통적인 수업보다 학습능력별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지 않았으나(p>0.05) 상위그룹 학생들에게는 ‘과학적 태도의 수용’(p<0.05), ‘과학 교사에 대한 태도’(p<0.05) 영역에서, 하위그룹 학생들에게는 ‘과학 교사에 대한 태도’(p<0.01) 영역에서 효과적이었다. ; Traditional instruction with the same lessons being given to all student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can not develop stud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of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This study developed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lessons for "Structures and Functions of Plants", a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1 and then applied these lessons in the classro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e hundred and forty two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s about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were given to both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on scientific knowledge, both groups were then subsequently divided into a higher level and a lower sub-group. The study was then implement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instruction. Post-tests about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were given to both groups at the end of the eight week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rveyed on their preference of i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raditional instruction in the area of learning achievement in science (p<0.01). 2.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raditional instruction in the area of learning achievement in science for the lower level group of students (p<0.01). 3.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not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raditional instruction in the area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p>0.05). However in the category, "Attitude Toward the Science Teacher",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p<0.01). 4.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not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raditional instruction for the higher level sub-group nor for the lower level sub-group. However in the categories, "Attitude Toward the Science Teacher" (p<0.05) and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p<0.05) for the higher level sub-group, and "Attitude Toward the Science Teacher" (p<0.05) for the lower level sub-group, ability orientat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