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0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형감상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Title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형감상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Authors
송도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조형감상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조사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 조형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조형감상교육의 필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조형감상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유아조형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사전교육 경험은 경력, 학력에 따라 어떠한가? 2-2. 교사의 사전교육 경험의 유용정도는 경력 학력에 따라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조형감상교육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형감상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의 교사 26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김정, 이수경, 이주연(1996), 이영자, 이정욱, 유혜숙(1998), 이명호(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조사법이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T-test, Chi-Square검증하여 결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조형감상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그 이유로는 미술표현 능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를 가장 많이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형감상교육의 목표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미적인 아름다움 느끼기 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전교육경험을 살펴보면, 교사의 68.7%가 사전교육과정에서 조형교육관련 과목을 이수했다고 응답했고, 그 중 68.1%의 교사만 교육경험이 실제 감상교육의 실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로 표현위주의 교육을 받았기 때문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형감상교육의 실태를 보면, 감상의 소재로 유아작품 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표현활동과 감상활동을 통합해서 실시 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형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계획은 활동주제 에 따라 조형교육계획 에 포함시켜 세우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형감상교육의 실시는 주1회 실시한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중 미술가 작품을 감상하는 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상활동의 그룹형태는 자연 및 사물 감상, 유아작품 감상 , 미술가 작품 감상 모두 대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작품 감상을 지도할 때에는 누구의 작품인지만을 소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미술가 작품 감상을 지도할 때에는 작품의 느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자연 및 사물 감상을 지도할 때에는 교사가 대상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해 주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으로는 작품을 관찰하고 재미있는 것이나 특징을 찾아 이야기하는 토론법 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전문가를 직접 초대하여 작업과정이나 작품을 감상하는 초대법 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실행하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모든 교수방법에서 필요하다고 보는 정도보다 실행하고 있는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료수집의 어려움 을 가장 많이 들었다. 조형감상교육의 매체로는 사진, 책, 인쇄물 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매체의 보유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 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그 종류도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요구를 살펴보면, 교사의 80%가 유아조형감상 관련 현직 연수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교사만이 교사연수 를 통해 미술의 통합적 접근 에 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가 교사연수를 통해 조형감상교육에 관한 재교육을 받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형감상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지원되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형감상교육매체의 개발 및 보급 을 첫 번째로 꼽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fundamental data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a general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earch questions below are set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a general recognition that teachers have regarding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1-1. What is a general recognition that teachers have regarding a need of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1-2. What is a general recognition that teachers have regarding a purpose of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2. How their preliminary education experience affect their concern for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2-1. How a preliminary education experience make a difference in holding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s? 2-2. How a preliminary education experience does help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s? 3. What are the current condition of practicing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for teacher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4. What does the teachers require to acquire in order to activate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a more effective wa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265 Kindergarten teachers who teach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City, Questionnaire based on Jung Kim, Sukyoung Lee, Juyeon Lee, Youngja Lee, Jongwook Lee, Hyesuk Yoo, and Myungho Lee s was modified main method for collecting data for this study. The materials are analyzed with the tool of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eacher s recognition about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t was shown that most teachers answered positive about the need of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a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most of them feel that it would improve children s ability to express the aesthetic knowledge. It was also shown that 37.1 percent answered that they think it most important to "feel the beauty of art". Regarding the second questions of their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the 68.7 percent of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swered they had previously taken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related courses while they were in College. Also, it was interesting to notice that 68.1 percent of these teachers answered the courses were actually helped them to practice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after graduation. In a case of teachers who answered otherwise, the most frequent reason was that their prior education was emphasized only on expressing aesthetic values while they studied. Regarding the third questions, it was shown that they used children s works as their study materials and learned through incorporating both expression and observation learning process. The plan that the teachers had about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was set upon a consideration of each subject of study which was related with their whole education plan and was sometimes set with no specific plans. Regarding the frequency of practicing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practiced it "once a week," and "appreciating the works of artists" was fairly rare. As for the size of the group, the most teachers tend to hold classes by large group regardless of the study material such as children s work , works of artists and nature and things . When teachers guide the appreciation of children s work as their class discussion, they tend to introduce the name of the artist only. And, when teachers lead their class discussion about the works of artists , they were more likely to discuss the impression of it. In addition, when teachers guide the discussion of, they provided a brief explanation about the subject matters in those paintings.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s, it was shown that class discussio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invitation method was little used. It seems that recognition about the need of implementing various methods and practicing them showed little difference. The reason for that was chosen as "a difficulty of collecting material."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were photographs, books, and printed matters. Also, some teachers replied that the study materials were insufficient, and were also insufficient in kinds. Fourth, 80 percent of teachers in this study replied that they did not have a prior training experience about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That is, only 20 percent of teachers had a prior training experience about accessing integrated world of art. Most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y want to be retrained about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They also mentioned that developing and spreading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al media is the most crucial thing to do in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activate The Fin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