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조사

Title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조사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도의 산업화로 이루어진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기계화되어가는 일상의 삶에서 우리는 인간적인 감성의 필요성을 절감한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의 감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술, 특히 중요한 감각 기관인 시각을 사용하는 미술 감상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미술 감상 교육은 유치원 교육과정상 점차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현행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감상에 관련된 내용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황 조사를 통해 유치원에서의 미술 감상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유치원 미술 감상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유아 미술 감상 교육의 실시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 미술 감상 교육의 실시 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총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이영자, 유혜숙, 이정욱 (1998)이 사용한 유치원 미술 교육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설문지와 이명호 (1998)의 유아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인이 수정,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아동학 박사 1명, 미술교육 박사과정 1명 총 2명에게 타당도를 의뢰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1) 미술 감상 교육의 내용 10문항, (2) 미술 감상 교육 방법 31 문항, 총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키지 (SPSS 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감상교육의 내용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것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작품을 소중히 다루기였으며, 가장 미비하게 실시된 내용은 다양한 조형 작품 접하기 였다. 둘째, 표현 생활 영역 내의 탐색, 표현, 감상 활동은 대체로 불균형하게 이루어졌으며, 감상 활동이 미비한 가장 큰 이유는 자료나 활동안의 부족 이었다. 감상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감상과 표현을 함께 실시하고 있었다. 이용 시간은 주로 자유선택 활동시간에, 중 집단인 15∼20명 정도로, 주 1회 실시되며, 소요시간은 5∼10분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다. 감상 활동 소재로는 자연 및 사물 과 유아의 작품 이 주로 이용되었는데, 교사가 감상 활동시 사용하는 소재와 유아가 흥미로워 하는 감상 활동 소재는 모두 유아들의 작품이었다. 반면 미술가의 작품 감상 활동은 대체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유치원내에서 하는 미술가 작품 감상 활동이 가장 미흡하였다. 미술 감상 활동 시 교사가 가장 어려워하는 점은 전문적 이해부족, 조형적 요소, 미술가에 대한 이야기순을 보였고 감상 교육의 확대를 위해 요구되는 점은 교사 연수, 자료 개발, 활동안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Kindergarten s art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mong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kindergartens? 2. How are the implementa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aking place in kindergarte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64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chon, and Kyu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was revised by this investigator based on the studies by Lee Young-ja, Yoo Hye-sook, and Lee Jung-wook(1998) and Lee Myung-hee(1998 ). The revised questionnaire consists of 10 questions on the conten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31 questions on th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validity of the revised questionnaire was examined by two persons who hold doctoral degree in child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respectively. The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of SPSS 8.0 for Window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ent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Treating self and other s artwork valuably", and the most least used content was "Experiencing various formative arts". 2. The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area of expression were ill-balanced which was mostly due to "the lack of materials and activity plans". The main method used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appreciation and expression together" which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5-l0mins in free choice activity in groups of 15∼20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used subject matter was "nature and things" and "children s artwork". On the other side the activity regarding famous artists was not carried out often. Teachers felt that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was needed the most in order to exp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activity plans follow in or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