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최미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개인 변인(학력, 경력, 교육 연수 경험, 근무 기관, 원장의 전공 여부)이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유아간 상호 작용과 교사의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은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학력, 경력, 교육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은 교사의 환경학적 변인(근무 기관, 원장의 전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교사들의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내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3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유아 상호 작용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김명자(1991)가 유아 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S.D Holloway와 M. Reichhart-Erickson의 「Early Childhood Observation Instrument: ECOI」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도구는 이분려(1998)가 유치원 조직 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연구에서 번역하여 사용한 Jorde-Bloom(989)의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ECJSS)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5점 척도로 교사들의 직무만족 60문항, 교사-유아 상호 작용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One-way ANOVA, t-test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은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교사의 학력과 연수 경험에 따른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유아간 상호 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학력이 높고 교육 연수 경험이 많을수록 보다 질 높은 교사-유아간 상호 작용을 보이지만,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교사 유아간 상호작용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은 교사의 환경학적 변인 가운데 원장의 전공 여부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은 교사가 근무하는 근무기관 원장의 전문성에 따라 다르며, 교육기관의 유형(공립/사립)에 따라서도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사 유아의 상호 작용과 직무만족은 높은 상관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해 긍정적, 적극적으로 지각할수록 교사-유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유아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질 높은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자신의 노력과 교육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둘째, 교사-유아의 상호 작용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은 유아 교육 기관의 교육 정책 및 운영 방침과 원장의 전문성 및 지도성에 의해 좌우되므로 유아 교육 기관과 원장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teachers-children interaction, which influences job satisfaction and private factors of teachers effect to the relationships of the teachers-children interaction in the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 they are listed below. 1. Do influences on the teachers-children interaction differ between groups with private populational factors? 2. Do influences on the teachers-children interaction differ between groups with private environmental factors? 3. Which relations do teachers job satisfaction have with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35 teachers from (90)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or Kyeong-Ki Province. To examine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utilized a widely known questionnaire. The ECJSS which was translated and used by Bun-Ryeo Lee in her Thesis for Master s degree entitled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he Kindergartens", was used as the tool for examining the degree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examin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ECOI which was also used by Kim, Myeong-Ja in her Thesis for Master s Degree which subject was the study about kindergartens qual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applied. All variables within the research model were measured by using a 5 point Likert type scale.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60 questions abou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10 questions about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techniques for analysis that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esting research questions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For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ere was dispar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ce in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2) For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here was dispar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ce in the type of kindergarten and the course of study of supervisor. (3)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a strong relation with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