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유치원 교사 자아 개념에 따른 교사 관심사 분석

Title
유치원 교사 자아 개념에 따른 교사 관심사 분석
Authors
박명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in kindergarten teachers self-concepts and concerns to understand what their self-concepts and concerns are like. Concrete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kindergarten teacher s self-concept like? Does it differ by variables (education, experience, institution)? 2. What are concerns realized by the teacher like? Do they differ by variables (education, experience, institution)? 3. Do kindergarten teacher s concerns differ by their self-concep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6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area. To see certain tendencies in teachers self-concepts and concerns, the author of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ing tool for the teacher s self-concept, the tool devised by Jin Seung-yeon (1986) was revised to use in which there are 100 question items for five-point measurement. As for the teacher s concerns, the tool devised by Lee Seung-yeon (1994) was used, and it is composed of 52 question items for five-point measuremen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undergone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t-test, and F-tes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have relatively positive self-concepts in general, and their self-concepts differ by education, experience, institution. Teachers with about 3-6 year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degree of self-concept, while those with about 6-10 year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degree. This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eneral self-concept, usual self-concept, and self-concept on profession or social position. As for self-concept by the working plac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 and only usual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eachers self-concepts did not differ by the degree of educ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had generally higher degree of concern about their profession, characteristically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survival concerns (3.94) and the lowest degree of maturity concerns (3.67). Teacher s experience is one variable exerting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development of concerns, like teachers concerns increase until they have 10 years of experience but decrease after that period. This tendency appeared in significantly different consolidation, renewal and maturity concern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oncerns between higher rank group of self-concept and lower rank group, both self-concept and concerns showed a difference,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all of survival, consolidation, renewal and maturity concerns.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아 개념과 교사 관심사 경향을 알아보고, 교사 관심사는 자아 개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자아 개념은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교사 관심사는 어떠하며, 교사의 학력, 경력,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는 자아 개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246명이었으며, 연구를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 자아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성연(1986)이 제작한 교사 자아 개념 척도를 수정하여 유치원 교사 자아 개념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5점 척도의 1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 관심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rroyo와 Sugawara(1983)의 교생 관심사 척도와 Tsai(1990)의 유치원 교사 관심사 평정 척도를 번역하여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한 이승연(1994)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5점 척도의 5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F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자아 개념은 대체로 긍정적 자아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아 개념은 경력,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 3년에서 6년 미만의 교사가 제일 낮게 나타났고, 6년에서 10년 미만의 교사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자아 개념전체와 자아 개념의 하위요인 중 일상적 자아, 직업·신분적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었다.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공립 유치원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아 개념의 하위 요인 중 일상적 자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 자아 개념은 학력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교직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범주별로는 생존 관심사에 가장 높은 관심을, 성숙 관심사에 가장 낮은 관심을 나타냈다. 교사의 경력은 관심사 발달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경력 10년까지는 교사 관심사가 증가하다가 10년 이상이 되면 다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강화, 갱신, 성숙 관심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었다.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생존, 강화 관심사에서는 사립 유치원 교사가, 갱신, 성숙 관심사에서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아 개념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교사 관심사 생존, 강화, 갱신, 성숙 관심사의 모든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