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Title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Authors
김영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경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의 변인(학력, 직업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문제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세 유아의 어머니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 Cook(1971)의 연구 및 국내의 선행연구들(이경희,1993; 최연희,1992)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를 참고로 도혜숙(1997)이 작성한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전화면접용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및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통제할 때 어머니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은 지위지향적 통제였으며, 그 다음으로 인성지향적 통제, 그리고 명령지향적 통제 순으로 나타났다. 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인성지향적 통제를, 학력이 낮을수록 지위지향적 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문제상황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문제상황에서는 지위지향적 통제와 명령지향적 통제를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 부모 자신의 문제상황에서는 인성지향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문제상황 중 미성숙한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명령지향적 통제와 지위지향적 통제, 그리고 인성지향적 통제를 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반사회적, 습관으로 인한 문제상황에서는 지위지향적 통제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How about are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according to sex of their childre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occupation conditions?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according to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or themselv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65 mothers who have 4-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instrument made by Do, Hye-Sook in 1997 was revis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verbal control types of mothers. Frequency analysis and χ2 test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others controlled their children mostly by position-oriented type, next person-oriented type and then imperative typ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 s control types according to sex of their children. 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other s control typ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higher they are, the more person-oriented type was showed and the lower they are, the more position-oriented type di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type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 conditions. 4.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other s control types according to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or themselves. In the case of problems attributed by children, mothers controlled their children mostly by position-oriented and imperative typ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problems attributed by themselves, they did their children mostly by person-oriented type. For contolling children s immature behaviors, mothers used all types, but for doing antisocial behaviors and habit disorders, they mostly did position-oriented ty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