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명희-
dc.creator박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본격적으로 또래관계가 발달하기 시작하는 만 2세아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만 2세아의 또래간 갈등의 구체적인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2세아의 또래간 갈등은 성의 구성에 따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 2. 만 2세아의 또래간 갈등의 내용은 성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2세아의 또래간 갈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반응전략은 성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Z어린이집의 만 2세아 학급 영아 2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내 자유선택활동 중 갈등을 기본단위로 녹화 또는 현장기록하고 사본화한 뒤 분석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갈등의 단위는 Shantz와 Hobart(1989)의 범주를 사용하였고, 갈등의 내용은 Malloy와 McMurray(1996)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김희진·이지현(1997)이 사용한 것과 Laursen과 Hartup(1989)의 연구를 기초로 엄정례(1997)가 사용한 것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갈등진행 중 반응전략에 대한 도구는 Malloy와 McMurray(1996)와 Eisenberg와 Garvey(1981)의 연구를 기초로 김희진·이지현(1997)이 사용한 것과 Laursen과 Hartup(1989)을 기초로 엄정례(1997)가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갈등해결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한 관찰범주는 Laursen과 Hartup(1989)의 범주를 참고로 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빈도,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아 또래간의 갈등은 성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갈등의 발생빈도는 동성 남아간 갈등, 이성간 갈등, 동성 여아간 갈동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또래간 갈등이 진행되는 상황은 2단위 갈등보다 3단위 갈등 이상의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갈등이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놀이영역은 블록영역, 조작영역, 소꿉영역 순서로 나타났으며, 영아가 갈등상황에서 갈등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요구전략은 비언어적 전략, 물리적·신체적 전략, 언어적 전략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또 갈등을 해결하는 주체는 영아 스스로 해결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제삼자가 자발적으로 갈등의 해결을 도와주는 경우, 영아가 스스로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한 경우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 2세아 또래간 갈등의 내용은 성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성 남아간의 갈등은 사물 차지하기, 신체적·언어적 공격하기, 망가뜨리기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성 여아간의 갈등은 사물 차지하기, 영역 차지하기, 의견 불일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이성간의 갈등은 사물 차지하기, 신체적·언어적 공격하기, 영역 차지하기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만 2세아 또래간의 갈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반응전략은 성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성 남아간 갈등에서는 순응하기, 울기, 고집 부리기 전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성 여아간 갈등에서는 이유대기, 순응하기, 대안 제시하기 전략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이성간 갈등에서는 순응하기, 고집 부리기, 울기 전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eer-conflict in 2-year-olds children who begin to experience and develop peer-relation through careful observation of interaction procedure in free and natural circumstanc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following agenda for study. 1.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do they show in the peer-conflict in 2-year-olds childre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 composition?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ponse strategies between gender-composition? The participants for observation were 20 children of 2-year-olds in Z Children s House located in Seoul city. The method adopted for study includes video-taping, on-site recording in self-selection(free-play) in the class-room and voluminous data collected thereby were copied for analysis. The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es referred to were one by Shantz and Hobart(1989) in the observation category, one by Malloy and McMurray(1996) which was later adopted and used by Kim, Hee Jin and Lee, Jee Hyn(1997) in the nature of peer-conflict and one by Laursen and Hartup(1989) which was later used by Eum, Jung Rae(1997). The studies and researches quoted above were in many parts modified, supplemented or adapted in contents so a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ies. The response strategies or tools that children adopt during the process of conflict were indebted to the researches carried out by Malloy and McMurray(1996), Eisenberg and Garvey(1981) which later were supplemented and adopted by Kim, Hee Jin and Lee, Jee Hyun(1997). Also the studies by Laursen and Hartup(1989) which later were referred to by Eum, Jung Rae(1997) were used after supplement and modification. The observation category as to identify the entities of conflict resolve were indebted to the studies by Laursen and Hartup(1989) in the field. Data collected in this way were analysed by the methods of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mposition percent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First,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eer-conflict of 2-year-olds children between gender composition. Higher frequencies of peer-conflict were detected in the order of male-male children interaction, male-female children and female-female children relationship. In the field of block assembly and block building, higher rate of conflict was observed and manipulation and role play denoted lower possibility of peer-conflict. The tactics that children use at the time of conflict are in the order of non-verbal, physical and verbal. The entities to resolve conflicts are in many cases self-solution between conflicters, followed by third parties who voluntarily intervened and settled conflicts and the third cases are that children themselves voluntarily request aid from third parties who willingly Handed out necessary assistance.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of peer-conflicts of 2-year-olds children by gender composition. Peer-conflicts between the boys arise mostly from article-holding, physical/verbal attack of article-breakdown, while, those between the girls arise mostly from article-holding, area-keeping of disagreement. Those between the opposite gender are in many cases by article-holding, physical/verbal attack of area-keeping. Third, some distinc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major response strategies of 2-year-olds by gender composition. Response strategies resultant from conflicts between boys are in the order of yield, crying, insistence while, those between girls are excuse, yield, and substitution. However, those between opposite genders are yield, insistence and cry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만 2세아의 발달적 특징 = 5 1. 또래관계의 발달 = 5 2. 의사소통수단의 발달 = 8 B. 또래간 갈등의 특성 = 11 1. 갈등의 개념 = 11 2. 갈등의 내용 및 반응전략 = 13 III.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연구도구 = 21 1. 갈등의 단위 관찰범주 = 22 2. 갈등의 내용 관찰범주 = 23 3. 갈등의 진행 중 반응전략 관찰범주 = 25 4. 갈등해결의 주체 관찰범주 = 28 C. 연구절차 = 29 1. 예비연구 = 29 2. 본 연구 = 31 D. 자료분석 = 32 IV. 결과 및 해석 = 33 A. 성의 구성에 따른 만 2세아의 또래간 갈등의 특성 = 33 B. 성의 구성에 따른 만 2세아 또래간의 갈등의 내용 = 38 C. 성의 구성에 따른 만 2세아 또래간의 갈등에서 사용하는 반응전략 = 39 V. 논의 및 결론 = 42 A. 논의 = 42 B.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7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2세아의 또래간 갈등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