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유치원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Title
유치원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Authors
최수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이 보다 바람직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함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1. 프로젝트 접근법의 일반적인 실시 배경과 실시 방법은 어떠한가? 1-2. 프로젝트의 주제 및 주제 선정의 배경은 어떠한가? 1-3.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가? 2.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교사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을 무엇으로 보는가? 2-2.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과정에서 교사가 느끼는 점은 무엇인가? 3. 바람직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를 위해 교사들이 제시하는 방안은 무 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유치원 중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고 있는 24개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7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고안한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현황,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사들이 제시하는 방안에 대해 총 5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유기술식의 문항은 유형별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주로 반일제 학급에서 학급 원아 수 26명-30명이하의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프로젝트 활동을 도와주는 보조 교사나 보조 인력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들은 1-2번의 교사연수 기회를 통해 프로젝트 접근법을 알게 되었고, 프로젝트 접근법 실시 기간이 6개월 이하인 교사들이 가장 많았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대부분 기존의 단원 접근법과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었으며, 프로젝트 활동은 주로 주제에 관심을 갖는 10명 이내의 소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야기나누기 시간과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프로젝트의 주제를 선정할 때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주제인지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었으며, 유아 자신, 지역사회, 자연과학,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 일반 지식 및 개념에 관한 주제로 분류되었다. 또한 단원 접근법 실시 후 심화되어 나온 프로젝트나 이전 프로젝트에서 나온 후속 프로젝트, 유아 주변의 행사로 인하여 시작된 프로젝트, 유아 주변에서 일어난 우연한 사건을 계기로 시작된 프로젝트, 사회적 관심을 배경으로 한 프로젝트 등 다양한 배경에서 주제가 선정되었다. 프로젝트 접근법 실시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와 실제 실시 정도간에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모든 문항에서 중요성 인식 정도가 실제 실시 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프로젝트 활동의 1단계에서 교사들은 주제에 관해 토의하고 경험을 표현하도록 하며 이것을 전시나 토의 시간을 통해 상호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2단계에서 교사들은 탐구·표상활동시에 유아가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3단계에서 교사들은 진행되었던 프로젝트의 내용을 기록하고 문서화하여 보관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주제망과 질문 목록을 유아들과 함께 검토하고 평가해 보면서 어떤 내용이 다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으로 유아들의 발달, 교사의 발전, 부모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지적하였다. 특히 유아의 발달에서는 지식, 기술의 발달 뿐만 아니라 성향과 감정의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교사의 발전으로는 교육과정의 운영이나 유아를 이해하는 면, 교사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부모와 지역사회와의 연계로 인하여 부모와 지역사회의 유치원에 대한 이해, 유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고 하였다. 반면에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이나 교육환경면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바람직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시를 위해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셋째, 바람직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기 위해 교사들은 부모, 유치원,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원체제 수립, 체계적인 교사 연수, 프로젝트 활동 전개에 있어서의 개선 및 보완, 한국의 유아교육 현장에 적합한 프로젝트 모델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practical helps to the teachers through checking the present practice situation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ject approach.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as follows 1. How is the practice situation of project approach? 1-1. How are the general background and methods of practice of project approach? 1-2. What is the background of topics and selection of topics? 1-3. What are the roles of teacher during the process of project approach? 2. How are the perception of teacher about project approach? 2-1. What does the teacher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 approach? 2-2. What does the teacher feel as he/she is using project approach? 3. What are the ways for the desirable practice of project approach? The samples of the study are the working 73 teachers in the 24 kindergartens which are practicing project approach in Seoul.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used to find out the practice situ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on the base of the literature or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practice stuati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the teachers ideas about practice of project approa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nd the answers of open questions were categorized by each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project approach is mostly used with combination of unit/theme and, most of teachers had chances to know project approach through 1-2 times teachers training program. The duration of practice was mostly under 6 months, and the activities of project approach are done for the small group(under 10) children in the time of storytelling or free-choice activity. The teachers firstly considered how much the project topics could get attention and gather interests from children. The topics are about child him/herself, community, science, actual events, common knowledge or concept. In addition,they were selected from unit/theme or preceded projects, child s life events, or sudden events around child, of social issues, et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perception about importance of teacher s role and actual practice. They consider as most important things are discussing about the topics, expressing child s experiences, and sharing each other in the class at the first step of project approach activity. They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at the second step is helping children to do their activities with confidence in the class. Lastly, at the third step, they consider as most important things are recording, profiling and keeping the documents, but actually, they spend most of time for evaluating the topic-web and the list of questions with children and checking about contents which were dealt during the class. Second, project approach improved the children s development on their knowledge, disposition, skill, and feeling especially, it influenced for the development on their disposition and feeling. Also, they said that the project approach helped their management of their curriculum,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their own growth, and the connection of parents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y have some difficulties on practice of project approach at the view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education condition. So they feel needs of the supplement about these problems.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s role, and they think that family, kindergarten, community have to make efforts together for the practice of project approach. Third, they suggest improvements or supplements for the various support system, systematic teacher s training, project approach activities among parents, kindergarten,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proper project approach model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