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선희-
dc.creator문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은 한반도의 통일이 필연적인 민족적 과업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 교육 분야의 통일을 위한 준비작업의 한 시도이다. 남한과 북한은 한 민족으로서 같은 언어와 문학 유산을 공유하고 교육하고 있으므로, 국어교육 특히 문학 교육은 통일의 발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우선 북한의 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해 알아야 하고, 남북한의 비교를 통해 이질성과 동질성을 찾고, 나아가 통일을 위한 지향점을 모색해야 한다. 북한의 문학 교육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는 우선 그 상위 범주인 국어 교육, 그리고 더 상위인 전반적인 북한의 교육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 틀 속에서 문학 교육의 성격과 방향도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비평의 기준이 되는 문예이론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그래서 Ⅱ장에서는 그 전제 작업으로 북한의 교육과정과 국어 교육(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의 측면에서)의 모습을 살펴 보았다. 북한의 교육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주체교육’으로 ‘공산주의적 새 인간, 혁명적 인재 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크게 정치사상교양(덕), 과학기술교육(지), 건강한 체력(체)이다. 교육의 방법은 ‘깨우쳐 주는 교수 방법’이 기본이고, 교육 평가는 구두시험, 집단적 상벌주의, 미리 문제 주고 답을 외워서 시험보는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국어교육도 이러한 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 Ⅲ장에서는 먼저 북한의 문예이론인 주체적 문예이론의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등중학교 4,5,6학년의 국어 교과서인 『국어문학』을 통해 문학 교육의 분야인 문예이론, 문학사, 작품, 외국문학 교육의 각 내용을 정리했다. Ⅳ장에서는 북한 문학 교과서의 작품의 수록 양상과 개별 작품의 교육 내용을 남한의 것과 비교하고 지향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범위는 고전 문학과 근대문학으로 한정하였다. 현대문학 부분은 동질성을 찾고 지향점을 모색하기에는 공통된 작품이나 내용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남북한 문학 교과서의 작품 수록 양상 비교는 고전문학에서는 갈래별(구전문학, 국어시가, 한시, 소설)로, 근대문학은 갈래 구분 없이 다루었다. 작품 수록 양상의 비교를 통해 남북 문학 교육의 특성을 살피고, 동질성을 찾고 지향점을 모색해 보았다. 개별 작품의 교육 내용 비교는 남과 북이 공동으로 수록하고 있는 작품 중에서 선택하여 시도하였다. 그 작품으로는 구전문학은 <주몽신화>, 국어시가는 정철의 <관동별곡>, 소설은 허균의 <홍길동전>, 한문학은 이규보의 한시, 근대문학은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Ⅴ장(결론)에서 북한 북한 문학 교육의 특징을 정리하고, 남한과의 동질성을 밝히고, 지향점 모색으로 연구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 This research is a preparation for the attempt to bring unity to the area of literature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unity in Korea is an inevitable national task. Since the peopl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originally of one national, using and educating the same language and literature inheritance, Korean education, expecially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an play the role of the footing of unity. In order to do this, we have to know the contents and the course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ind the differences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rough comparison, and furthermore, we need to find the aiming direction for unity. For the discussion of North Korea s literature education,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e Korean education which is the precedence area, and moreover, the overall education in North Korea s.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 and the course of literature education exists in this boundary. Also,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art theory, which is the standard of literature criticism, is needed. Therefore, in ChapterⅡ, I ve studied the North Korea s education process and Korean education (in the area of education objective,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methods, education evalutation) as a premise task. In Chapter Ⅲ, I ve looked through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subjective literary art theory which is the North Korea s literary theory. Then, I ve looked at the literary theory,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literary work, and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which are in the Korean textbook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used in 4th, 5th, and 6th grade in Middle-High School. In Chapter Ⅳ, I ve compared the appearance of the recorded literary work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of individual literary work of North Korea with those of South Korea and search for the aiming direction. I have limited the range to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This is because in comtemporary literature, common literary work or content cannot be found which are needed in order to find similarities and aiming direction. In comparing the recorded literary work between the literature textbook in north and South Korea, the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classified (oral literature, Korean poetry, chinese poem, novel), and the modern literature has not been class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corded literary work, I hav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s education of literature and found the similarities and aiming direction. For the comparison of the education content of the individual literary work, I have chosen from those which both the South and North have in record. For the literary work, I ve chosen 〈The Mythology of Ju-mong〉 for the oral literature, Chung Chul s 〈The Song of Kwan-dong〉 for the Korean peotry, Huh Kyoon s 〈The story of Hong Gil-dong〉 for the novel, and Lee Sang-hwa s 〈Would the spring come in the stolen field?〉 for the modern literature. In Chapter Ⅴ(conclusion), with these discussions as the basis, I have arrang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education in North Korea, found the similarity with those of South Korea and searched for the aiming direction to present my vie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북한의 교육과 국어 교육 = 5 A. 북한의 사회주의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제도 = 6 1. 교육의 이론적 배경 = 6 2. 북한의 교육 제도 = 9 B. 북한의 교육과정과 국어교육 = 14 1. 교육이념과 목표 = 14 2. 교육 내용 = 16 3. 교육 방법 = 20 4. 교육 평가 = 24 C. 남한과의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26 1. 남북의 교육과정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26 2. 남북한 국어교육의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30 Ⅲ. 북한의 문예이론과 문학교육 = 34 A. 북한의 문예이론: 주체문예이론 = 34 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사실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식 = 35 2.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 비타협성 = 36 3. 종자, 속도전, 전형 등 = 38 B. 북한의 문학 교육 = 40 1. 문학관과 문학 교육의 방향 = 40 2. 문학 교육의 내용 = 41 가. 문예이론 = 41 나. 문학사: 문학사의 흐름, 대표작과 작가 = 47 다. 외국문학 = 56 C. 남한과의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60 1. 문학관과 문학 교육의 방향 = 61 2. 교과서에서 다루는 문학이론 = 63 3. 문학사 교육 = 66 4. 외국문학 = 68 Ⅳ. 남북한 문학교육의 작품 수록양상과 문학 작품의 교육내용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72 A. 작품 수록 양상의 비교 = 72 1. 구전문학 = 72 2. 국어시가 = 78 3. 한시 = 84 4. 소설 = 86 5. 근대문학 = 91 B. 문학 작품의 교육 내용 비교 및 지향점 모색 = 96 1. 〈주몽신화〉 = 97 2. 정철 〈관동별곡〉 = 100 3. 이규보의 한시 = 102 4. 허균 〈홍길동전〉 = 104 5.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108 Ⅴ. 결론 = 111 참고문헌 = 115 부록1: 남한의 문학 교육과 다른 북한『국어문학』의 고전문학 작품 = 119 부록2:『교수요강- 국어문학 고등중학교 (4~6학년)용』 = 126 부록3: 남한 문학 교육에서 수용되어야 할 작가들 = 150 ABSTRACT = 1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91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북한의 고등중학교 문학 교육 : 남한과의 비교 및 지향점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