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순-
dc.creator박은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34-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中學校 漢文 學習이 他 敎科 學習에 미치는 影響을 客觀的으로 가장 關係가 없어 보이는 數學科目을 통해 檢證하고 이를 토대로 中學校 漢文敎育은 반드시 必須化하여야 함을 보여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目的을 위하여 基礎 資料로 第 6次 敎育課程의 性格과 目標를 검토하고 仁川市 中學校 漢文 選擇校와 非選擇校의 比率을 알아본 뒤 設問紙를 통하여 1學年 漢字·漢文 實力을 대략이나마 가늠해 보았다. 本論에서는 中學校 數學敎科書에 나오는 漢字語를 學年別로 1學年은 110개, 2學年 37개, 3學年 17개를 조사하여 提示했고, 그 結果 數學用語들이 대부분 漢字語로 이루어졌음을 確認했다. 따라서 만약 學生들이 漢字語를 잘 알고 있을 경우 數學時間 학습 도입시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數學敎育이 더욱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 仁川 廣域市內 中學校 8개 學校를 無作爲로 選擇한 후 學生의 경우 1學年 1學級씩 8學級 341명을 對象으로 設問調査를 실시하였고, 敎師는 出場中이거나 不在中인 敎師를 제외한 8學校에 근무하는 數學敎師 50명을 對象으로 設問調査를 실시하였다. 部分的으로는 敎師·學生 面談도 竝行하였다. 數學敎師用 質議紙는 10問項으로 構成되었고, 그 內容을 要約하면 첫째, 數學 敎科書에 나온 순 한글로 기재된 同音異議語의 區別이 可能한가? 둘째, 漢文 學習이 선수학습 또는 병행되었을 시 數學 學習用語 理解에 도움이 되는가? 셋째, 數學敎科書에 한·漢 倂記式 表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넷째, 數學敎師로서 漢文은 他 科目 學習을 위하여 必須化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를 묻는 問題로서 構成되었고 學生 對象으로는 18개항으로 이루어 졌는 바 그 內容을 要約하면 첫째, 漢字·漢文實力을 묻는 質問으로 授業時間에 배운 漢字를 日常生活에 얼마나 活用하며, 또한 자신이 記憶하고 있는 漢字와 쓸 수 있는 漢字는 몇 글자가 되는가? 둘째, 學生 자신의 이름은 漢字로 쓸 수 있는가? 셋째, 數學 敎科書에 나온 同音異議語에 대한 區別이 可能한가? 넷째, 漢字語로 된 數學用語에 대한 認識을 바로 갖고 있는가? 다섯째, 漢文을 選擇해서 배우겠는가? 選擇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로 構成하였다. 調査된 設問紙는 百分率에 의하여 分析하였고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敎師對象으로 同音異議語 ‘소수(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소수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A.소수(素數)는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수로서 2, 3, 5, 7, 11 등과 같은 수를 말하는 것이고, B.소수(小數)는 1보다 작은 수로서, 0.1, 7.56등과 같은 수를 말한다)’를 한글로 기재했을 때 區別이 可能한가의 質問에 “구별이 가능하지 않다”가 48%로 나타났다. 똑같은 問題를 學生들에게는 ‘소수’를 알고있는 데로 적게 한 結果 소수(素數)라고 적은 學生이 46%로 가장 많고, 소수(小數)라고 적은 學生은 16%이고, 소수(素數)와 소수(小數)를 둘 다 적은 學生은 14%, 무응답 24%로 나타났다. 이러한 結果로 보아 순 한글로만 적는 것은 學習用語 理解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漢文學習이 선수학습 또는 병행되었을 시 수학 學習用語 理解에 도움이 됩니까”라는 質問에 “도움이 된다”가 88%로 나타났다. 數學 敎科書에 나오는 學習用語를 理解하는 데 漢字學習이 必要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中學校 1學年 漢字·漢文 實力을 묻는 問題로서, 漢文을 選擇해 배우는 學校의 경우 日常生活의 活用度가 70%로 많고, 자신이 記憶하고 있는 漢字로는 100-150字 이내가 27%이고, 150-200字는 22%로써 100-200字가 49%로 가장 많고, 자신이 기억하고 쓸 수 있는 漢字 질의는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選擇하지 않은 學校의 경우 “활용하고 있지 않다”가 82%이고 자신이 記憶하고 있는 漢字는 0-30字 이내가 42%로 가장 많고, 記憶하고 쓸 수 있는 漢字는 0-30字 이내가 61%이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漢字로 쓸 수 있는가의 質問은 選擇한 學校의 경우 38%이고, 選擇하지 않은 學校는 25%로 응답하였다. 이 부분은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學生들이 活用하고 있다는 것은 좀더 積極的으로 漢文學習을 强化시키면 他 敎科 學習에 기여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넷째, 數學敎科書에 나오는 學習用語를 어떻게 表記해야 되는가의 質議에 “한자 한글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는 66%로 나타났다. 다섯째, 漢文敎育의 必要性에 대하여 數學 學習 科目을 위하여 “한문교육이 필요하다” 72%이고 一般的인 漢文敎育의 必要性을 묻는 質議에는 “꼭 필요하다”가 78%, “그저 그렇다”가 22%로 나타났다. 이 問題를 學生들에게는 “1995년부터 한문을 선택해서 배우게 되었는데 본인이 선택해서 배우겠는가?”의 質問에 “선택해서 배우겠다”가 過半數였다. 이러한 調査 結果에 대하여 우리의 漢文敎育은 어떠한 認識을 가지고 改選해야 할 것인가의 要點은 다음과 같다. 첫째, 漢字 漢文은 外來語나 中國 文字가 아닌 한글과 함께 國字의 하나임을 認識 해야하며 최소한 中等 敎育에서는 漢文 敎育은 반드시 必須化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他 科目 學習用語 理解을 위하여 必須不可缺하기 때문이고, 또 現行과 같은 方法으로 一律的으로 中學校에서 漢文이 選擇, 非選擇이 될 경우 漢文을 배우지 않은 學生들은 高等學校 漢文Ⅰ과 漢文Ⅱ의 學習이 不可能하여 본의 아니게 피해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모든 敎科書에 한글·漢字를 적절히 竝行하여 表現해야 한다는 것이다. 客觀的으로 漢字·漢文과 가장 關係가 없어 보이는 數學科目을 對象으로 調査된 바로는 漢字·漢文 學習을 통하여 數學 敎科書에 나오는 用語의 뜻을 분명히 認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최소한 學生 자신의 이름은 漢字로 쓸 수 있는 敎育이 되어야 한다. 姓은 血統을 말하는 것이고, 行列은 血統 사이의 關係를 보이는 것이며, 이름 字는 父祖의 子孫에 대한 愛情이나 所望이 담겨져 있다. 그러므로 최소한 學生 자신의 이름은 漢字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內容이 本 論文의 始終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論議가 漢文敎育의 定着에 도움이 되고 敎育課程 運營에 미력이나마 바탕이 되었으면 한다. ; This Study verifies the influence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on other subjects through math, which seems the most unrelated, and it claims that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should be mandatory based on the verification. For this purpose, it examines the character, Chinese writing subject is an instrumental one for other subject learning, goals of the 6th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schools selecting Chinese writing and others not, in Inchon city middle schools as the basic material and roughly evaluates th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vel of the first graders through questionnaire. Based on the body, selecting 8 middle schools in Inchon city at random, I did survey with the subject of 341 students in 8 classes in the unit of 1 class in the first grade, Another survey was done to 50 math teachers working in 8 schools (except for teachers travelling on business or in absence). Partially, interview with teacher and student was also done. The following are the 10 questions for the math leachers. First, is Chinese writing helpful to math learning when it is taken as preliminary learning or the two subjects go simultaneously? Second, what do you think of Korean. Chinese marking on the math text book? Third, do you think, as a math teacher, Chinese writing should be compulsory for other subject learning? The 13 questions for th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can you recognize homonym in math text book? Second, do you have a correct recognition on mathematical term in Chinese character? Third, would you choose to learn Chinese character? If so, what s the reason? Based on the results, here are the main points of how we should improve our Chinese writing education. First, We should recognize that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is one of our national character with Hangul, not just foreign language or Chinese literature, and at least in middle school education, it should be a mandatory course. Because it is necessary as an instrumental subject for other subjects, and students who didn t choose Chinese writing will have difficulty learning Chinese writing Ⅰ, Ⅱ in high school when all middle schools make selections for Chinese writing in the uniform base. Second,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marked on all textbooks properly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study through math which seems most unrelated to Chinese writing, we should correctly recognize the meaning of math terms through Chinese character learning, and help students elevate their interest in learning all subjects by expanding their vocabulary written both in Hangul and Chinese. The contents written above are the start th the ending of this thesis. Hopefully, this discussion will be the basis of decreasing the number of Chinese illiterate by becoming the reference to Educational ministry, city and province education administrators including the press and broadcasting, and it will also be reflected on our education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 論 = 1 A.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B. 先行硏究의 檢討 = 3 Ⅱ. 中學校 漢文科 敎育의 現況 = 6 A. 第6次 中學校 漢文科 敎育의 性格과 目標 = 6 B. 中學校 1學年 漢文 選擇 校와 非選擇 校의 比率 = 9 C. 中學校 1學年 漢字 漢文 實力 = 10 Ⅲ. 中學校 數學敎科에 사용된 漢字語 實態 調査分析 = 19 A. 數學 敎科에 나타난 漢字語의 實態 調査分析 = 19 1. 數學 敎科書에 나오는 漢字語 調査 = 19 2. 數學 敎科書에 나오는 漢字語 分析 = 25 B. 漢字·漢字語 認識 및 有用性 調査分析 = 26 1. 漢字·漢字語 認識 및 理解度 分析 = 26 2. 漢字·漢字語 有用性 調査 = 37 C. 漢文 學習이 數學 敎科 學習用語에 미치는 影響 = 56 1. 同音異議語의 區別可能 = 56 2. 造語機能 = 57 3. 漢字語와 數學 學習用語와의 關係 = 58 Ⅳ. 漢文敎育의 問題點 및 改善方案 = 61 A. 漢文敎育의 問題點 = 61 B. 漢文敎育의 改善方案 = 66 Ⅴ. 結 論 = 69 參 考 文 獻 = 74 부 록 = 77 英 文 抄 錄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028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수학교과에 사용된 한자어 실태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hinese character and words us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