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말하기, 듣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지식과 소집단 토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itle
말하기, 듣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지식과 소집단 토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uthors
김희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말하기·듣기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새로운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어 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기존 연구과 제 6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말하기·듣기의 특성과 말하기·듣기 지도의 목표·내용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말하기·듣기 능력은 의미를 언어화하고 언어에서 의미를 추출하고 재구성하는 고차적 사고 작용이라는 것과 이러한 고차적 사고 기능으로서의 말하기·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정 하나 하나를 살피면서 어디에서 학습자가 잘못하고 있는지, 어느 단계에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주는 과정 중심 지도를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말하기·듣기의 현장 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말하기·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인수 학급체제·시간부족·입시위주 등의 열악한 교육 환경과 사고 과정으로서의 말하기·듣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없어 말하기·듣기 교육에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Ⅲ장 말하기·듣기 현장 교육실태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으로 ‘준비된 소집단 토의를 통한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준비된 소집단 토의를 통한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에 도입된 전략은 두가지로 첫째는 다인수 학급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소집단 토의이며, 두 번째는 사고 과정으로서의 말하기·듣기 과정에 대한 지도 즉 읽기 자료를 통한 배경지식의 활성화와 학습지를 통한 말할 내용 구성하기이다. ‘준비된 소집단 토의 학습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이 모형을 적용한 집단의 학생들이 토의 전략만을 적용한 집단, 결과 중심으로 말하기·듣기를 지도한 집단의 학생들에 비해서 말하기·듣기 능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준비된 소집단 토의 학습 모형’의 효과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내용면’과 ‘조직면’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왔으나, ‘표현면’에서는 그 성과가 드러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표현 영역에 대한 지도 전략의 부족과 실험의 단기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말하기·듣기 지도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너무나 포괄적이고 복잡하여 현장적용에 실용도가 낮았던 것에 비해, 현장 교육 실태 조사에서 드러난 문제점 즉, 다인수 학습체제와 사고 과정으로서의 말하기·듣기 과정에 대한 지도 방법의 미비를 해결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실제 현장에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말하기·듣기 과정이 고차적 사고 과정이며 그렇기 때문에 인지적 도제에 의해서 가르쳐야 한다는 논의점과, 사고 과정으로서의 말하기·듣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면 말하기·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성과도 얻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험 기간이 짧고, 차수가 적어 본 실험 결과로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의 장기적인 내면화 효과에 대해서는 단정할 수 없으며, 일반화하기에 부족함이 많다. 또한 말하기·듣기의 세가지 평가 영역 중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인 표현 전략의 부족 등으로 ‘표현면’에서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모형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of current teaching-learning education state and based on that, to find new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applicable to the field. In chapter Ⅱ, based on previous study, and with the 6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listening and the goal,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is analyzed. And, it is found that the speaking-listening process is high level thinking reaction, including converting meaning to language, extracting meaning from language and regrouping. Also, it is found that process oriented teaching, which includes checking every step to find what is wrong with students and what is they can t understand, is needed to improve the speaking-listening ability of student. In chapter Ⅲ, the current education state of speaking-listening is studied.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But, the inferior education environment-too many students in class, lack of time, examination oriented education, and the lack of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make speaking-listening education ineffective. In chapter Ⅳ, based on study results in chapter Ⅲ, as the new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through prepared small group discussion is suggested and the effectiveness of model is tested. The strategies introduced into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through prepared small group discussion are first, small group discussion for overcoming too many students in class problem and second, activating schema with reading materials and constructing contents with study book.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the speaking-listening ability of students applied to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through prepared small group discussion is encouraged better than that of students applied to only small group discussion and that of students applied to previous education. As the effectiveness of the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through prepared small group discussion is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ontent territory and structure territory is significant, but the effectiveness of expression territory is insignificant because teaching strategy is vacant and experiment period is short. The previous study is too complicated and inconclusive to apply to the field, bu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model that can solve the exist problems - too many students in class, the lack of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program. This study also finds the discussion point that speaking-listening is high degree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at speaking-listening is taught through recognition process. And this study finds that the concrete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helps encourage speaking-listening ability of students. Because of short experiment period and small number of experiment, the long term internalization effect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speaking-listening education is inconclusive and hard to generalize. The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make concrete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ble to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