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은희-
dc.creator신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30-
dc.description.abstractAlternative education is an alternative movement which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and change the ways of life. Alternative schools are founded to realize this idea. In our country there are various kinds of alternative schools are being established. But the curriculum developments and the researches on actual state to realize the idea are in w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operating curriculum of alternative school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o find the ideal ways of them for the future.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is the educational idea which alternative schools pursue? In the other hand what is educational ideal man or educational purpose? 2. What do alternative schools teach to bring up the ideal man who they pursue? What is the standard in choos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ing and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s? 4.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of alternative schools? 5. What are the problems of alternative schools and how to overcome? And what do they suggest to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high schools, Pulmoo school , ‘Gandhi Schools , Hanbit school , Sunggi school , Wonkyoung school , Hwarang school were sampled as cas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terviewing curriculum operators, using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ttending seminar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examining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educational idea of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is a personal development which strengthen the self restraint in the community. It means that alternative schools concentrate both on personal development and community spirit. 2. Alternative schools emphasize humanism, educating for real life, ecological life, community participation. These reflect the educational idea which intends to bring up an independent and sound person. The education for the community spirit is realized through dormitory life and daily life. The standard in choos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is the relevance of real life and students interest. And the schools intend to change the ways of students lives through this.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 that the schools prefer to set the time table according to the student s bio rhythm and they operate 3 terms, multi-terms for every subject or intensive courses. These characteristics do not stress the students and consider their interests. 4.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 are that teachers organize all the processes of the class according to student s and the interest and choice. For strengthening self-learning ability, teachers continuously try to develope text book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And they prefer individualized learning and small group operation. Teacher roles are information provider, learning facilitator, and joint researcher. These are comparatively we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which alternative education pursue. Extra characteristics are the rappor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 s self governing activities ar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Teacher s organization is operated communally and democratically. 5. The problems alternative schools have are systematical ones and inner ones of the school. Systematical problems are detail rules in need, national curriculum period acceptation and rate limitation in specialized subject. Inner problems are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 the wa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ir restraining end over respectation of parents and the society. It is a beginning level but alternative schools try to organize their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to bring up independent and whole person. The schools consider the regular class, student s daily life and dormitory life as education sites. Theses kinds of alternative education samples and the diffusion of their curriculum could be a great help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schools education. And the problems which alternative schools have must be solved through the efforts of individual school and alternative education committee. And also the relation with various educational meetings have to lead the social attention and agreement. Through this,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could be expended. ; 대안 교육은 공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교육을 통해 삶의 방식을 바꾸려는 대안적 운동이다. 대안 학교는 이러한 대안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세워진 학교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대안 학교가 세워지고 있다. 그러나 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 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의 현 실태를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교육 이념 및 교육적 인간상은 무엇인가? 둘째, 대안 학교에서 지향하는 인간상을 기르기 위해 어떤 내용을 가르치고 있는가? 이러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고 조직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셋째, 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편제와 운영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대안 학교의 교수 방법 및 평가의 특징은 무엇인가?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섯째, 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문제는 무엇이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과정의 풀무, 간디, 한빛, 성지, 원경, 화랑 학교 등 총 6개의 대안 학교이며,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 교육과정 담당자 면담과 교사 설문조사, 대안 교육 연구 모임 참관 등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 학교의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 이념은 공동체 안에서의 자주적이고 전인적인 개인의 발달이다. 이를 통해 대안 학교는 학생 개개인의 발달이나 공동체성을 모두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안 학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 내용은 인성 교육, 실생활 교육, 일하기 교육, 환경 교육, 사회참여교육 등과 관련된 것이다. 이런 내용은 대안 학교의 교육 이념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대안 학교는 특히 기숙사 생활을 통한 공동체 교육을 중요하게 보고 있으며,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기준은 실생활과의 연관성, 학생의 관심과 흥미이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셋째, 편제와 운영상의 특징을 보면 학생들의 생체 리듬을 고려하여 시간표를 짜서 운영하고 과목별 이동 교실을 선호하며 3학기제, 과목별 다학기제, 집중 이수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은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이 부담이 되지 않고 그들의 흥미를 고려한다는 관점을 일관되게 반영하고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넷째, 교수 방법상의 특징은 교사들이 학생의 흥미와 선택권을 중심으로 수업의 전 과정을 조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교재, 수업 방법, 수업 자료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개별화 학습과 소집단 학습 조직을 선호하며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습 정보 제공자, 학습 촉진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대안 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 방법이나 평가의 특징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볼 때 교사들이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대우하고, 학생의 자치 활동과 적성을 기르는 동아리 활동, 특별 활동을 중시한다. 교사 조직은 공동체적이고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섯째, 대안 학교의 교육과정이 가지는 문제점은 제도적 문제와 학교 내적인 문제가 있다. 제도적 문제로는 세부 규정 미비, 국민공통교육기간 적용의 문제, 특성화 교과목 편성 비율의 제한을 들 수 있다. 학교내적인 문제로는 교육 이념을 반영하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 내용의 개발 문제,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교사 수급 및 재연수 부족, 학부모나 사회의 과도한 기대를 들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아직 시작 단계이기는 하지만, 대안 학교의 교육과정은 공동체 안에서의 전인적인 개인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육 내용이나 교수 방법, 평가까지 일관성있게 조직하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 수업이나 학생의 일상적 생활, 기숙사 생활까지도 교육의 장으로 인식하여 민주적이고 공동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대안 교육의 실천 사례나 교육과정의 확산은 일반 학교 교육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현재 대안 교육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은 개별 학교의 노력과 함께 대안 교육 협의회를 통해 공동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교육 내용이나 교육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에는 다양한 교육 모임들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대안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합의를 이끌어내고, 대안 학교 발전의 기반을 넓혀나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자유주의/공동체주의 교육론 = 5 1. 개인주의에 기초한 자유주의 교육론 = 5 2. 공동체주의 교육론 = 7 3.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관계 = 10 4. 한국의 교육 이념과 교육적 인간상 = 11 B. 대안 교육의 개념·이념·실태 = 14 1. 대안 교육의 개념 = 14 2. 대안 교육의 이념 및 특성 = 16 3. 대안 교육 실태 = 21 4. 대안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특성 = 27 C. 교육 이념과 교육과정의 관계 = 30 1. 교육 이념과 교육과정의 일관성 = 30 2. 교육과정 개념과 교육과정 의사결정 수준 = 31 3.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34 4. 한국 교육 내용과 수업 방법의 문제 = 39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40 A. 연구 대상 = 40 B. 분석의 틀 = 40 C. 연구 방법 및 절차 = 41 1.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 = 41 2. 면담 = 42 3. 설문 조사 = 43 4. 대안 교육 연구 모임 및 워크?? 참관 = 44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6 A. 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실태 및 특성 = 46 1. 교육 이념 = 46 2. 교육 내용 = 47 3.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상의 특징 = 54 4. 교수 방법 및 평가의 특징 = 56 5. 잠재적 교육과정 = 64 B. 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극복 방안 = 67 1. 제도적 문제 = 68 2. 학교 내적인 문제 = 69 3. 학부모나 사회의 과도한 기대 = 71 C. 연구 결과 논의 = 71 1. 교육 이념 = 72 2. 교육 내용 = 73 3. 교육과정 편제와 운영상의 특징 = 75 4. 교수 방법 및 평가 = 75 5. 잠재적 교육과정 = 77 V. 결론 및 제언 = 81 참고문헌 = 85 부록 = 90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082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안 학교 교육과정의 실태 및 특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