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itle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Authors
김인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several basic data in establishment of new leadership required at an epoch of changeability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following categories of hypothesis were induced. Firs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rincipal’s behavior represented by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recognized by teachers. Second,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the sub-pattern of such leadership. Third,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with those features. Fourth,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ose features. Fifth, there might be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behavi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satisfaction. Sixth, there might b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b-pattern of the leadership and the satisfaction. Seventh, there might be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sub-variables of the satisfaction. After selected 301 teachers of the schools located at Seoul and new towns in Kyoung-ki do were answered to questions correlated with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of that leadership on teacher’s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features of school were composed of by the level systems, the locations, the proprietaries of schools and by the aspects of teacher’s gender, history, and position. Noh’s measuring instrument (1996) was used for examining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ub-patterns of principal’s behavior represented by t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composed of by several factors which were a setting and a joining of vision, humanism, intellectual stimulation, increased expectant outcome, acceptance of purpose, exemplary behavior, creation of school culture, and permission of group anticipation. Kim’s measuring instrument (1983) was used for examining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 sub-variables of it were school facilities and services, compens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personnel administration, recognition for teaching, curriculum management and community rel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the categories which were the level system of school, teacher’s history and position. Second,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sub-pattern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 were differences in two sub-pattern, a setting and a joining of vision and creation of school culture, with four features of schools, and in three which were intellectual stimulation, increased expectation, and exemplary behavior, with three, and in the other which were humanism, acceptance of purpose, and permission of group anticipation, with two. Thir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with their position. Fourth,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sub-variables of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features of their schools.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parts of school feat ures, school facilities and services and community relations in three parts, curriculum management in two par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recognition for teaching in one part. But compensation didn’t show difference with any features. Fifth, teacher’s satisfaction was in direct proportion to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ixth, there was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ree sub-patterns of principal’s behavior which were permission of group anticipation, increased expectant outcome and acceptance of purpose. Seventh, there was some tendency of increased sub-variables of the satisfaction in proportion to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owever, the recognition for teaching did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 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 theor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s required at new age is useful in educational fields, and such a leadership support every aspect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 outcomes of teacher’s performance with their job satisfaction.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변화의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지도성 정립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덟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특성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의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 특성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의 하위 행동차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교 특성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의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강북과 강남)과 경기도 신도시에 위치한 학교에서 근무하는 301명의 교사들을 무선표집하여 소속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후, 지도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학교 특성은 학교 급별, 학교 소재지별, 학교 설립별, 교사 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노종희(1996)가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도성의 하위 행동차원은 비전(vision)설정 및 공유,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김창걸(1983)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하위변인들은 행정적 지원, 유인체제, 인간관계, 인사관리, 교직관, 교육과정 운영, 사회관계 등이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 행동은 학교 급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변혁지향적 지도성의 하위행동차원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비전설정 및 공유와 학교문화 창조차원은 네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지적자극, 높은 성과기대, 솔선수범 차원은 세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인간존중, 목표수용, 집단참여 허용 차원은 두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직위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교 특성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인사관리 요인이 가장 많은 네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행정적 지원과 사회관계 요인은 세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교육과정 운영은 두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인간관계와 교직관 요인은 각각 한 부분의 학교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섯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의 세 가지 하위 행동차원 즉 집단참여 허용, 높은 성과기대, 목표수용 차원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곱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 교직관 요인은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학교장이 변혁지향적 지도성을 많이 발휘할수록 교사가 직무에 높은 만족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새 시대에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속성의 하나인 변혁지향적 지도성이 교육분야에서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