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관계에서 감정의 역할 : 청소년 봉사활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관계에서 감정의 역할 : 청소년 봉사활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곽정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emotion in the moral education to overcome the ga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tual influences of the youth’s service activities upon their emotional, cogni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are presented by the examples, along with a theoretical discussion of emotion. Subjects of study have been set up as follows ; First, what kind of approaches there have been to get over the ga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 second, how the concept and role of emotion has been defined in the moral education ; third, what kinds of influences the youth’s service activities have upon their emotions to induce the unification of moral knowledge and moral behavior. In the 2nd chapter of this study, those approaches centered on moral knowledge and other approaches centered on moral behavior which occupy a dominant position in the education are analyzed. The two approaches emphasizing moral reasoning and habits can be pointed out their limits in the respects that they cultivate knowledge not being followed by behavior or behavior not founded on knowledge. In the 3rd chapter, the concept and role of emotion in the moral education discussed. Emotion becomes a motivation to behavior and has rather positive and rational characteristics than passive or irrational ones since it possesses cognitive elements. Especially, such moral emotions as empathy, sympathy, and guilt stimulate the subject of behavior to practise moral behaviors on the basis of his cognition of other people. In the 4th chapter, examples of the youth’s service activities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analysis after carrying out an in-depth interview method over 33 boy and girl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Pun-dang area. By moral emotions like empathy, sympathy and guilt felt during the service activities, students’ indifference toward the others turned into concern and they could do various moral behaviors in everyday life. Examples of the youth’s service activities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as follows ; First, the process of the youth’s service activities’ influencing their emotions and ultimately bringing the unification of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is multilateral and dynamic. That is the change occurs more circularly around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an linearly by the sequence. So we can see those approaches centered one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trying to accomplish the unification of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by emphasizing one single element have failed to narrow the ga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as they overlooked the dynamic process of unification and made rather plain attempts. Second, emo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ifying moral knowledge and behavior as a psychological motivation. Besides the motivative moral emotions, somewhat selfish emotions also act as a catalyst to induce behavioral and cognitional changes. Selfish emotions of students switched indifference toward others to concern and helped them respond to moral situations sensitively according to moral point of view. Therefore, we can see another emotions besides moral ones are also important in the moral aspect. Third, the process of deepening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emotion and doing things to take care of others can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morality of care. The morality of care unlike the morality of justice emphasizing right and duty against and for others emphasizes that humanbeings are not isolated but linked together and responsibility and caring is important in such linked to the morality of car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learning experiences related with real life to realized that humanbeings do not stand alone but stand together. ;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덕 교육에서 감정의 의미를 재정립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감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청소년 봉사활동이 학생의 감정적·인식적·행동적 측면에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던 기존의 접근법은 무엇이며 그 한계점은 무엇인가. 둘째, 도덕교육에서 감정의 개념과 역할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셋째, 청소년 봉사활동이 학생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줌으로써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통합을 이루는가. 제2장에서는 도덕교육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도덕적 지식중심의 접근법과 도덕적 행동 중심의 접근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도덕적 추론과 습관을 강조한 두 접근법은 행동이 뒤따르지 않는 지식과 지식에 기초하지 않은 행동을 양산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지적받을 수 있다. 제3장에서는 도덕교육에서 감정의 개념과 역할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감정은 수동적, 비합리적이기 보다 행동의 동기가 되며 인지적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적극적, 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 특히 감정이입, 동정심, 죄책감과 같은 도덕적 감정은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행위 주체자가 도덕적 행동을 수행하도록 자극한다. 제4장에서는 서울과 분당 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33명의 남·여 학생에게 심층 면담법을 실시함으로써 분석한, 학생들의 청소년 봉사활동 경험을 사례로서 제시하였다. 청소년 봉사활동 과정을 통하여 느꼈던 감정 이입, 동정심, 죄책감과 같은 도덕적 감정으로 인해서 학생들의 다른 사람에 대한 무관심이 관심으로 전환되었고,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유형의 도덕적 행동을 수행하게 되었다. 청소년 봉사활동에 대한 사레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첫째, 청소년 봉사활동이 감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통합을 야기하는 과정은 다면적이고 역동적이었다. 즉, 순서에 따라 단선적으로 변화가 일어나기 보다 감정, 인식, 행동의 변화가 병행하며 순환적으로 일어났다. 따라서 하나의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던, 도덕적 지식과 행동 중심의 접근법은 역동적인 통합과정을 간과하며 평면적인 시도를 하였기 때문에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간극을 줄이는 데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도덕적 지식과 행동의 통합을 이루는 과정에서 감정은 동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동기 부여의 역할을 하는 도덕적 감정 외에 이기적인 수준의 감정도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계기로서 작용하였다. 이기적 수준의 감정은 다른 사람에 대한 무관심을 관심으로 전환시켰고, 도덕적 관점에 따라 도덕적 사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덕적 감정 외의 감정도 도덕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정을 통해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를 깊어지고, 다른 사람을 돌보는 행동을 하게 되는 과정은 ‘배려’의 도덕성을 기초로 설명된다. 배려의 도덕성은 다른 사람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강조하는 정의의 도덕성과는 달리 인간이 고립되지 않고 연결된 존재임을 강조하며 연결된 인간관계 속에서의 책임과 보살핌을 강조한다. 따라서 배려의 도덕성과 관련된 감정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은 고립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삶과 관련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