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연진-
dc.creator김연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전통놀이의 실시현황을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들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전통놀이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였을 때 어려운 점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전통놀이를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적인 놀이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에서의 전통놀이 교육의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1. 유치원에서의 전통놀이 교육의 실시정도 및 방법은 어떠한가? 1-2.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통놀이의 종류는 무엇인가? 1-3. 교사들이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전통놀이의 종류는 무엇인가? 2. 전통놀이의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전통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2-2. 전통놀이 교육의 필요성 정도는 어떠한가? 2-3. 전통놀이를 실시하는데 어려운 점과 전통놀이를 증진시키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치원에서 전통놀이 교육 현황과 전통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정도 및 전통놀이 교육의 증진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한 교사용 설문지 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통놀이교육에 대한 실시현황 분석결과에서 첫째, 전통놀이 교육 실시정도에서는 교사들이 전통놀이를 유아교육과정에 포함시켜 학습 활동으로 가끔 한다고 나왔으며(57.2%), 우리나라 단원이나, 고유의 명절을 다루면서 전통놀이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9.9%). 또한, 전통놀이 실시방법에 관한 분석에서는 실외놀이시간과 자유선택 활동시간에 실시하는 것으로 나왔다(46.2%). 둘째,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과 실시한 전통놀이의 종류는 총 77가지로 나타났으며, 이중 30가지가 실시 빈도 5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 중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전통놀이로는 윷놀이(44.5%), 두꺼비집(11.5%), 비석치기(8.7%), 줄다리기(8.1%) 등의 순으로 밝혀졌다.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분석에서는 첫째, 교사들의 전통놀이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62.4%), 둘째, 전통놀이 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전통놀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76.3%). 셋째, 유아교육과정에서 전통놀이를 실시하는데 어려운 점에 관한 분석에서는 교사들의 전통놀이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1.6%) 전통놀이교육을 증진시키는데 바람직한 교육방법으로 모든 생활주제와 연관시켜 전통놀이를 실시해야 된다고 나왔다(63.6%). 그리고 전통놀이의 활용 및 보급을 장려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전통놀이의 연수 및 교육기회(52.6%)강화와 동요와 게임판, 표현활동 등 전통놀이와 관련된 다양한 교재교구 보급으로 나타났다(38.2%). 따라서 대부분의 교사들이 전통놀이를 유아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실시해야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전통놀이교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놀이에 대한 연수, 강연 등의 교육기회가 강화됨과 동시에 유아발달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를 위한 교재 및 교구 개발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lays an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traditional plays in oder to spread traditional plays among children. To investigate above purpose I mad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is the present of application of traditional plays? 2. How i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traditional play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for teachers at the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s in Anyang, Kyonggi province. The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tests were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about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raditional plays for the educational programs revealed that many kindergardens applied traditional plays for educational time table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to apply traditional plays for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the lack of teachers information and play tools for traditional plays education. Therefore, the way to spread out traditional plays for the educational program is to develop and supply the play tools and information.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s was very high. This revealed that many teachers dealed with traditional plays and were aware of traditional plays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way to spread out traditional plays education was to apply traditional plays with the routine daily educational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전통놀이의 개념 및 특징 = 4 B. 전통놀이의 유형 = 6 C. 전통놀이의 교육적 가치 = 10 D. 관련연구 = 13 III. 연구 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도구 = 17 C. 연구절차 = 19 D. 자료처리 = 19 IV. 연구결과 및 해석 = 20 A. 전통놀이 교육의 실시 현황 = 20 B.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26 C. 전통놀이 교육실시의 어려운 점과 증진 방안 = 28 V. 논의 및 결론 = 33 A. 논의 = 33 B. 결론 및 제언 = 36 참고문헌 = 39 설문지 = 4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84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현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