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미정-
dc.creator장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15-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age demands for "The New Way of Life Style" to build the social system where the human being and the environment can coexist together.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an be the most popular issue these days. To experience and comprehe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the environment education at school for the future and th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existing generation is certainly necessary. In Korea, the necessit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alized but it is not yet systematized, and there aren t much standard materials especially on the public level,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s. Moreover there are no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public level.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proposed the standardized module for the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process model and laid the foundation to develope the new materials.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 part of the study by Lee, Suk-Im etc(1998); Development of the standardized model for the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process and the unification program . By the results from the basic studies, the field of water and air is selected a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which is the most seriously concerned problems by people.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on this study had several features. It is composed independently to be applied to the education target flexibly. The Activity Materials composed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which can connect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real life was proposed. And the Local Characteristics was added to accommodate the local characteristics. This developed module is improved and modified by evaluating and analyzing process by the 49 textbook-rating-systems of arbitrarily chosen 75 persons and the results of 8 rating regions. The general evaluation results is as follows. The composition and reading level part was good, but the picture and illustration part came out to be the worst. The evaluation result by each evaluator group was as follows; There were three groups such as a school environment educator group, a social environmental educator group, and a learner group. The evaluation value of a school environment educator group ranked the first place, that of a social environment educator group the second, and that of the leaner group the last. The school environment group was most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and the learner group was relatively very much dissatisfied with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The general composition of module was appropriate to be used as a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but the data, such as pictures, illustrations, etc, needed to be sharpened and modified for the learners. The male group, the older group, the environment-related specialist group showed the higher evaluation value than the others. As a result, the model was revised by sharpening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modifying the data, and adding the practical contents and the substitute proposals. Through this evaluation process, the standardized model of water & air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cess was develop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both on the specialized and the practicalized sides of the textbook develop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actual and practical resources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s needs to be followed. ; 현대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 체계의 형성을 위한 ‘새로운 삶의 양식’을 요구하고 있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들 가운데 최근 가장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표제가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기의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친환경적 생활 습관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위한 학교환경교육과 더불어 현재의 기성세대들을 위한 사회환경교육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우리나라의 사회환경교육 분야에서는 표준화된 교재가 없고, 더우기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기에 적합한 수준의 교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사회환경교육 과정의 모형으로서의 모듈을 제시하고, 교재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숙임 등(1998)의 ‘사회환경교육 과정의 표준화 모형 및 통합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일환으로, 크게 문헌조사 및 모듈개발과 평가과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과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시민들이 가장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환경오염분야 가운데에서도 물과 대기분야를 주제로 선정하고, 각 분야의 주요 주제를 선정하여 다루었다. 각 주제들은 독립된 형태로서 교육대상에 따라 융통성있게 활용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교육을 통하여 환경 의식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을 도울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형태와 현실생활과 관련된 실천적 내용이 포함된 ‘활동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특성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로서 ‘지역별 특성’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모듈은 임의로 선정된 평가자 75명의 교재분석틀 49개 항목, 8개 평가영역의 평가결과를 수렴하여 평가과정 및 분석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되었다. 전체적인 평가결과는 구성면과 독해수준면, 표와 그래프면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고, 사진 및 삽화면의 평가결과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자 그룹별 평가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학교환경교육자의 평가가 양호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사회환경교육자, 피교육자 순이었다. 그러나 구성면에 있어서는 사회환경교육자들의 평가가 오히려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였고, 사진 및 삽화면의 평가에서는 피교육자의 평가결과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은 사회환경교육 교재로서 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사진, 삽화 등의 자료 제시면에서 피교육자를 고려한 참신성이나 선명도가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자의 성별 평가결과에서는 대체로 남성의 평가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났고, 연령별 평가결과에서는 연령층이 높을수록 평가결과가 양호하였으며, 전공별 평가에서는 환경관련 전공자들의 평가결과가 더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평가과정을 거쳐 모듈평가에서 지적된 사진·삽화의 선명도를 검토하고 최신 자료를 보충하였으며, 현실적인 내용과 대안제시 부분을 보충하여, 물·대기 분야에 대한 사회환경교육 과정의 표준화 모형으로서의 모듈을 완성하였다. 끝으로 앞으로의 사회환경교육 분야 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교육대상이 구체적으로 세분화된, 전문성과 실용성에 있어서의 양면을 모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일반인을 위한 환경교육이 일회성 교육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반인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속에 친환경적인 의식이 깊숙이 뿌리박을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사회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방향 = 2 Ⅱ. 이론적 배경 = 3 1. 사회환경교육의 정의와 목적 = 3 2. 사회환경교육의 필요성 = 5 3. 사회환경교육의 현황 = 7 4. 사회환경교육의 과제 = 11 5. 용어의 정의 = 1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7 1.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접근 = 17 2. 모듈주제 선정 및 개요 설계 = 17 3. 표준화 모형으로서의 모듈 개발 = 18 4. 모듈 평가 = 18 5. 모듈 검토 및 수정 =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1 1. 교육대상의 환경의식 파악 및 모듈 구성 원칙 수립 = 21 2. 모듈의 개요 설계 = 22 3. 표준화 모형으로서의 모듈 개발 = 22 4. 모듈의 평가 = 23 (1) 평가자들의 일반적 특성 = 23 (2) 평가영역별 평가결과 = 25 A. 그룹별 평가결과 = 27 ① 내용면 = 27 ② 구성면 = 30 ③ 개념 및 원리의 이해면 = 31 ④ 독해수준면 = 31 ⑤ 사진·삽화면 = 32 ⑥ 표·그래프면 = 33 ⑦ 활동자료면 = 34 ⑧ 교육대상 수준면 = 35 B. 평가자 특성별 평가결과 = 37 ① 평가자 성별 평가결과 = 37 ② 평가자 연령별 평가결과 = 37 ③ 평가자 전공별 평가결과 = 40 C. 기타제언 = 45 5. 모듈의 수정 및 보완 = 47 Ⅴ. 요약 및 결론 = 50 참고 문헌 = 54 관련추천웹사이트 = 61 부록 = 62 Abstract = 165 감사의 글-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245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환경교육을 위한 물, 대기 분야의 표준화 모형으로서의 모듈개발 및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